Influence of Large-Scale Environments on Tropical Cyclone Activity over the Western North Pacific: A Case Study for 2009

대규모 순환장이 북서태평양 태풍활동에 끼치는 영향: 2009년의 예

  • Choi, Woosuk (School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Ho, Chang-Hoi (School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Hyeong-Seog (School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최우석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부) ;
  • 허창회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부) ;
  • 김형석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부)
  • Received : 2010.07.23
  • Accepted : 2010.09.20
  • Published : 2010.09.29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ropical cyclone(TC) activity over the western North Pacific(WNP) in 2009. Twenty-two TCs formed in 2009, which is slightly below normal(1979~2009 average: 25.8) and most of these occurred during the months of July to October. Most TCs in 2009 was formed over the northern Philippines and the eastern part of the WNP and they moved towards the South China Sea and the east of Japan, resulting in less TC affecting the East China Sea and Korea. The TC activity in 2009 is modulated by the large-scale circulations induced by the El $Ni{\tilde{n}}o$ and vigorous convection activity over the WNP. A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l $Ni{\tilde{n}}o$ year, the difference in sea surface temperature between the central Pacific and the eastern Pacific causes an anomalous westerly winds, expanding the WNP monsoon trough farther eastward. Accordingly, TC formation has relatively increased in the east part of the WNP. Active convection activities over the subtropical western Pacific excite a Rossby wave propagating from the South China Sea to mid-latitudes, resulting in an anomalous easterly steering flow in the South China, anomalous northwesterly over the East China Sea and Korea, and anomalous southwesterly over the east of Japan. Summing up, the TCs cannot enter the East China Sea and Korean region and instead they move towards the South China Sea or south-east of Japan. There were no effects of TCs in Korea in 2009.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hich analyzed unusual TC activity and large-scale circulations in 2009 would help the predictability of TC effects to increase according to climate change in the East Asia.

이 연구에서는 2009년 북서태평양 태풍활동의 특성과 이에 영향을 끼친 대기 순환장을 분석하였다. 2009년에 북서태평양에서는 평년(1979~2009 평균값: 25.8개)보다 적은 22개의 태풍이 발생했는데, 7~10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태풍의 발생은 필리핀 북쪽 해역과 북서태평양 동쪽 지역에서 많았고, 발생한 태풍은 대기순환 흐름에 의해서 대부분 남중국해와 일본 동쪽으로 향했다. 상대적으로 동중국해와 우리나라로 접근하는 태풍은 적었다. 대기대순환 관점에서 보았을 때, 2009년 태풍활동은 엘니뇨 현상과 서태평양 지역의 평년보다 활발한 대류활동에 의해 유도된 대기순환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엘니뇨 시기에는 열대 해수면 온도의 동서 경도에 의해 서태평양 적도 지역에서는 강한 서풍 아노말리가 유도되는데, 2009년에도 이들의 영향으로 북서태평양 몬순 기압골이 동쪽으로 크게 확장되었고, 태풍의 발생 위치도 평년보다 동쪽으로 치우쳤다. 또한, 서태평양 지역의 강한 대류활동으로부터 유도된 로스비파가 남중국해로부터 중위도로 전파되면서 남중국 지역에서는 지향류의 동풍 아노말리, 동중국해 및 한국 근처에서는 북서풍 아노말리, 일본 동쪽에서는 남서풍 아노말리가 연이어 나타났다. 이로 인해 태풍의 진로가 동중국해 및 한국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남중국해와 일본 동쪽 해상으로 유도되었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는 최근 21년 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 태풍이 없는 무태풍년으로 기록되었다. 2009년의 예와 같이 평년과 크게 다른 태풍의 활동과 관련 대규모 순환장 패턴을 분석하는 연구를 통해 앞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동아시아에서 지역별 태풍 영향에 대한 예측성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기상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