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당함량

Search Result 3,538,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Sugars in Korean and Japanese Beer - 1. Sugar Contents - (한국 및 일본산 맥주의 당에 관한 연구 - 1. 당함량 -)

  • 안용근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11 no.2
    • /
    • pp.143-149
    • /
    • 1998
  • Sugars in Korean beer(3 brands) and Japanese beer(21 brands) were studied by HPLC and TLC. Total sugar of beer were estimated to 1.71∼3.93%(average 3.15%). Ethanol 4.5% class beers were estimated to 3.24% for Korean brands and 2.5% for Japanese brands. Ethanol 5% and 5.5% class beer were estimated to contain 3.2% for Japanese brands, respectively. Maltooligosaccharide series from glucose to maltodecaose were detected in the test of TLC and HPLC. No fermentable maltooligosaccarides and limit dextrin were estimated to 2.32%. But sugars in Korean Sikhye, rice drink saccharifide by malt, were not detected maltooligosaccharide series form maltotetraose to maltoheptaose.

  • PDF

Effects of the Kind and Mixture Ratio of Sugars on the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ugar Snap Cookies (당 종류와 혼합비가 쿠키의 물리적,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Lee, Gang-Chul;Kim, Gyu-Hyeon;Kang, Byung-Sun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24 no.2
    • /
    • pp.239-24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sugar-snap cookies containing various types and mixture ratios of sugar. The characteristics of sugar-snap cookies prepared with fructose, high-fructose corn syrup and invert sugar were examined through physical properties measurement and sensory evaluation.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sugge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okies made with various sugars. High-fructose corn syrup was better than others for making sugar-snap cookies. The quality of cookies baked with high-fructose corn syrup was improved compared to cookies baked with invert sugar or fructose. Varying the formula, with high-fructose corn syrup had little or no effect on the quality of the final product. Using different quantities of invert sugar and high-fructose corn syrup significantly affect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okies. Sugar-snap cookies containing invert sugar had an extremely positive effect.

배 품종별 생장시기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 Jang, Sun;Na, Chang-Soo;Eun, Jong-B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05.2-106
    • /
    • 2003
  • 배 폐과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식품소재나 이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개발을 위하여 배 품종별 생장시기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나주 지역에서 생산한 풍수, 신고, 추황 등 3품종을 시료로 하여 생장시기에 따라 배 무게의 증가를 관찰하였고 표면의 착색도는 Hunter 색차계로 L, a, b값을 측정하였으며 수분함량은 상압가열건조법으로 측정하였다. pH와 가용성 고형물은 각각 pH meter와 refractometer로, 총산은 적정법으로 측정하여 citric acid로 나타내었다. 총당은 phenol-황산법으로, 환원당의 함량은 DNS법으로 정량 하였고 총탄수화물의 함량과 전분의 함량은 산 가수 분해시킨 후 DNS법으로 측정하였다. 유기산과 유리당은 HPLC를 이용하여 정성, 정량 분석하였다. 풍수 과중의 증가는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하였고 신고와 추황은 생장전기에는 급속히 증가하다가 후기에는 완만한 증가를 보였다. 풍수는 L, a, b값이 모두 약간의 증가를 보였고 신고와 추황은 a값이 각각 -1.80, 4.01에서 9.22, 9.70으로 증가하였으며 L, b값은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과피의 수분함량은 약 61%에서 79%로 증가하였고 과육의 수분함량은 76%에서 90%로 증가하였다. 풍수와 추황의 경우 과육의 수분함량은 생장초기에 이미 생장후기와 비슷한 수분함량 비율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품종 모두 생장초기 총산의 함량은 수확시기의 함량보다 높았고 추황의 경우 성장이 진행됨에 따라 과피와 과육의 총산의 함량은 감소하다가 다시 약간의 증가 추세를 나타내었다. 유기산은 주로 tartaric acid, malic acid, oxalic acid, citric acid 그리고 shikimic acid가 검출되었고 수확시기에 3품종에서 모두 mal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고 malic acid와 citric acid의 함량이 풍수와 신고에서는 약 0.3%, 추황은 0.4% 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3품종 모두에서 총산과 같은 추세로 성숙기의 유기산의 함량이 생장초기의 함량보다 많이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배의 가용성 고형물은 전체적으로 과실의 성장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풍수와 신고 과피의 총당과 환원당은 거의 같은 추세로 증가하였고 성숙이 가까워지면서 환원당이 감소하였다. 배 과육의 총당과 환원당 또한 거의 같은 추세로 증가를 하다가 수확 전 20일 혹은 30일부터 총당의 함량은 계속 증가하지만 환원당의 함량은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 과실의 전반 성장과정에 있어서 전분함량은 감소하였고 총탄수화물의 함량은 과육에서는 증가하나 과피에서는 반대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풍수의 전분함량은 최고 2.19%에서 0.23%로 감소하였고 신고에서는 0.43%로 추황에서는 0.48%로 감소하였다. 배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orbitol, sucrose 둥 4종류의 당이 검출되었고 3품종 모두에서 생장과정 중 비환원당인 sucrose 함량은 계속 증가하였고 fructose, glucose, sorbitol의 함량(추황의 sorbitol을 제외)은 생장이 촉진됨에 따라 증가하다가 다시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총당과 환원당의 측정결과와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배의 성장에 따라 산 함량은 감소하였고 당 함량은 증가하였다.

  • PDF

Quantification and Varietal Variation of Free Sugars in Mulberry Fruits (뽕나무 계통별 오디의 유리당 조성 및 함량)

  • 김현복;김선림;문재유;장승종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 /
    • v.45 no.2
    • /
    • pp.80-84
    • /
    • 2003
  • The component and content of free sugar in mulberry fruits were evaluated. In all accessions, fructose and glucose were identified as the major free sugar. The ratio of two components appeared in the same level. But CV (coefficient of variation. %) of fructose and glucose were 23.6%, 23.4%, respectively. It might suggest that varietal variation exists in sugar contents. The mean of total free sugars were 9.11${\pm}$2.14%. Among the tested 49 accessions, ‘Geunanosang’ showed the highest total free sugars in 14.67%, whereas ‘Cheongsipyung’ showed the lowest total free sugars in 5.57%. Also fruity characteristics as well as total free sugars to select the desirable mulberry varieties for the production of fruit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From that results, four suitable varieties such as ‘Hwansipchosaeng’, ‘Junggojo’, ‘ Kaery-angchosaengsipmunja’, and ‘Geunanosang’ were selected.

뽕나무 계통별 오디의 유리당 조성 및 함량

  • 김현복;김선림;문재유;장승종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ericultural Science Conference
    • /
    • 2003.04a
    • /
    • pp.39-39
    • /
    • 2003
  • 과실류의 단맛 결정인자인 유리당의 함량을 계통별로 분석하여 생식 및 가공 식품의 원료로서 오디의 이용성을 높이고 오디의 과실화 촉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은 물론 오디 생산용 뽕나무 육종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유전자원으로 보존 중인 뽕나무 계통에 대하여 결실 오디를 채취하여 유리당의 조성과 함량을 비교ㆍ분석하였다. 동시에 유리당의 함량이 높은 계통을 선발하여 수량, 과중, 당도 등 과실적 특성을 고려하여 오디생산용 계통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중략)

  • PDF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5 Types of Conventional Citrus (Citrus grandis Osbeck, Citus junos, Citrus unshiu × sinensis, Citrus natsudaidai, Citrus × hassaku) (재래귤 5종(당유자, 유자, 청견, 하귤, 팔삭)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 Ji-Won Seo;Mi-Kyeong Jang;Won-Seob S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3.04a
    • /
    • pp.65-65
    • /
    • 2023
  • 제주도에서 재배되어 온 재래귤 5종(당유자, 유자, 청견, 하귤, 팔삭)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DPPH radical 소거 활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5종 재래귤(당유자, 유자, 청견, 하귤, 팔삭)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 가운데 당유자의 외피(244.84mg/g)와 중피(200.70mg/g) 처리구에서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 총 폴리페놀의 함량 측정에서와 마찬가지로 5종 재래귤(당유자, 유자, 청견, 하귤, 팔삭)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 가운데 당유자의 외피에서 102.12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청견과 하귤, 팔삭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폴리페놀 처리구와 같이 당유자 처리구보다 적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의 경우,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의 결과에 같은 경향으로 5종 재래귤(당유자, 유자, 청견, 하귤, 팔삭)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 가운데 당유자의 외피(79.39%)와 중피(70.73%)에서 가장 양호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당유자의 두꺼운 과피 구조인 외피와 중피에 에센셜 성분인 limonene, myrcene, β-ocimenes 등과 같은 향기성분들의 영향으로 생각되어 앞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Variation of Sugar Content and Its Relationship with Some Major Characteristics in Collection of Colored-Soybean (유색대두 수집계통의 당함량 변이와 주요 특성과의 관계)

  • 이홍석;손범영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7 no.6
    • /
    • pp.521-527
    • /
    • 199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fundamental inform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gar content variation and other major characteristics in colored-soybean strains collected in Korea. Sugar content varied from 8.3% to 12.1%, and averaged to be 10.1% in collected colored-soybean strains. On the basis of maturity, soybean growth types were distributed 0.5%, 1%, 5.7%, 16%, 19%, 22%, 14%, and 19% in maturity group 0 (less then 115 days), group I(116 to 123 days), group II (124 to 131 days), group III (132 to 139 days), groupIV(140 to 147 days), group V (148 to 155 days), group Ⅵ(156 to 163 days), and group Ⅶ(over 164 days), respectively. Most of colored-soybean strains were in the middle and late maturity group(maturityIII group toⅦ). Sugar content was tended to be higher in soybean seeds of late than early maturity group. Difference in sugar content was not present according to the seed coat color, whereas strains with bloom seed was higher in sugar content than those with non-bloom seed. Higher seed sugar content was shown in green seed embryo than yellow one. Total sugar content was correlated negatively with protein content (-0.29$^{**}$), positively with oil content (0.21$^{**}$) and growth period(0.36$^{**}$) in all collected colored-soybean strains, and within respective maturity group except early maturity group strains, total sugar content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protein, oil, ADV, and other characteristics.stics.

  • PDF

Effect of Growth Retardants on Free Sugar and Protein Content of Sedirea japonica Seedlings Cultured In Vitro (생장억제제 처리가 기내 배양한 나도풍란 (Sedirea japonica) 유묘의 유리당 및 단백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 Cho Dong-Hoon;Jee Sun-Ok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v.32 no.2
    • /
    • pp.145-149
    • /
    • 2005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several plant growth retardants on changes of endogenous free sugar and protein content in seedlings of Sedirea japonica cultured in vitro. The content of free sugar in the leaf was decreased as the treated growth retardant concentration was increased. Glucose content was higher than fructose and sucrose content in the leaf. Free sugar content of the root was increased as concentrations of growth retardants were increased. Sucrose content was higher compared with the content of fructose and glucose. The content of protein in the leaf was decreased as the growth retardants concentration was increased, but the tendency of protein content in the root was contrary to that in the leaf.

된장절임기간에 따른 새송이버섯의 품질 변화 특성

  • 황성희;이예경;윤광섭;김순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17.2-118
    • /
    • 2003
  • 절임식품은 우리 고유의 먹거리이지만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하여 품질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우리의 전통식품을 세계적인 식품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전통식품을 과학화하고 현대화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새로운 된장절임 가공법을 개발하고자 blanching, salting, drying 등의 전 처리를 행한 후 된장 절임기간에 따른 새송이 버섯의 수분함량, 염도, 색상, 조직특성, 관능특성 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된장절임기간에 따른 새송이 버섯의 수분함량 변화는 숙성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염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무처구를 제외하고는 숙성 30일 이후부터는 변화가 거의 없었다. 숙성기간에 따른 색상의 변화를 보면 블랜칭이 매우 효과적으로 변색을 방지하였다. 숙성 30일부터는 모든 처리구에서 강도가 저하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관능평가 결과 숙성 40일째에 맛과 조직감 그리고 기호도 등 모든 항목에서 B(B)와 E(BSD) 처리구가 높은 점수를 받아 관능적 품질 특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전처리공정에 있어서는 7$0^{\circ}C$에서 10분간 블랜칭처리한 B(B)처리구가 가장 우수하였으나 된장 절임후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서는 7$0^{\circ}C$에서 10분간 블랜칭처리후 5% 염용액에서 72시간 절임한 후 4$0^{\circ}C$에서 30분간 탈염하고, 다시 5$0^{\circ}C$의 온도에서 3시간 건조시킨 E(BSD)처리구도 우수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어 새송이 버섯을 이용한 장류절임가공법으로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d, citric acid 그리고 shikimic acid가 검출되었고 수확시기에 3품종에서 모두 mal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고 malic acid와 citric acid의 함량이 풍수와 신고에서는 약 0.3%, 추황은 0.4% 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3품종 모두에서 총산과 같은 추세로 성숙기의 유기산의 함량이 생장초기의 함량보다 많이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배의 가용성 고형물은 전체적으로 과실의 성장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풍수와 신고 과피의 총당과 환원당은 거의 같은 추세로 증가하였고 성숙이 가까워지면서 환원당이 감소하였다. 배 과육의 총당과 환원당 또한 거의 같은 추세로 증가를 하다가 수확 전 20일 혹은 30일부터 총당의 함량은 계속 증가하지만 환원당의 함량은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 과실의 전반 성장과정에 있어서 전분함량은 감소하였고 총탄수화물의 함량은 과육에서는 증가하나 과피에서는 반대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풍수의 전분함량은 최고 2.19%에서 0.23%로 감소하였고 신고에서는 0.43%로 추황에서는 0.48%로 감소하였다. 배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orbitol, sucrose 둥 4종류의 당이 검출되었고 3품종 모두에서 생장과정 중 비환원당인 sucrose 함량은 계속 증가하였고 fructose, glucose, sorbitol의 함량(추황의 sorbitol을 제외)은 생장이 촉진됨에 따라 증가하다가 다시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총당과 환원당의 측정결과와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배의 성장에 따라 산 함량은 감소하였고 당 함량은 증가하였다.luco-pyranosi

  • PDF

Comparison of Free Sugar Content and Related Enzyme Activities on Different Parts of 'Changhowon Hwangdo' Peach Fruit (복숭아 '장호원황도' 과실의 부위별 유리당 함량 및 관련 효소활성 비교)

  • Kim, Sung-Jong;Park, Hye-Young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 v.28 no.3
    • /
    • pp.387-393
    • /
    • 2010
  • The free sugar content and related enzymes of four different parts, inner, outer, stylar end and stem end, of 'Changhowon Hwangdo' peach ($Prunus$ $persica$, L. Batsch) fruit were compared from August to September in 2006, i.e., from 120 to 150 days after full bloom (DAFB). The soluble solids content (SSC) of stylar end was the highest among the four fruit parts at 150 DAFB. Changes of free sugar content were similar to that of SSC in the four parts. The starch content at the stylar end was the highest at 120 DAFB, while all the other parts showed low starch contents at 150 DAFB. The free sugar composition of peach changed during fruit development. The sucrose was low at 120 DAFB and increased gradually in all parts of peach fruit. On the contrary glucose, fructose and sorbitol decreased with fruit development. The free sugar contents and related enzymes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during fruit development. The rapid increase of sucrose contents during fruit development was more affected by sucrose synthase than sucrose phosphate synthase. Activity of SS in the four fruit parts increased continuously over the fruit development period, but activity of acid invertase showed a downward trend. This study found that the free sugar content was affected by enzyme activity for the synthesis or the cleavage. However, it was very difficult to explain sugar accumulation of peach segments with related-enzy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