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지)
- Volume 37 Issue 6
- /
- Pages.521-527
- /
- 1992
- /
- 0252-9777(pISSN)
- /
- 2287-8432(eISSN)
Variation of Sugar Content and Its Relationship with Some Major Characteristics in Collection of Colored-Soybean
유색대두 수집계통의 당함량 변이와 주요 특성과의 관계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fundamental inform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gar content variation and other major characteristics in colored-soybean strains collected in Korea. Sugar content varied from 8.3% to 12.1%, and averaged to be 10.1% in collected colored-soybean strains. On the basis of maturity, soybean growth types were distributed 0.5%, 1%, 5.7%, 16%, 19%, 22%, 14%, and 19% in maturity group 0 (less then 115 days), group I(116 to 123 days), group II (124 to 131 days), group III (132 to 139 days), groupIV(140 to 147 days), group V (148 to 155 days), group Ⅵ(156 to 163 days), and group Ⅶ(over 164 days), respectively. Most of colored-soybean strains were in the middle and late maturity group(maturityIII group toⅦ). Sugar content was tended to be higher in soybean seeds of late than early maturity group. Difference in sugar content was not present according to the seed coat color, whereas strains with bloom seed was higher in sugar content than those with non-bloom seed. Higher seed sugar content was shown in green seed embryo than yellow one. Total sugar content was correlated negatively with protein content (-0.29
우리나라 각 지역에서 수집한 유색대두 계통에 관한 당함량변이와 그의 주요 특성과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색 대두 수집계통의 당함량의 변이는 최저 8.3%에서 최고 12.1%의 범위로서 평균 10.1%를 나타내었다. 2. 국내 지방수집 유색대두 1087계통에서 성숙군 분포는 O군 (--115일) 0.5%, 1군(116--123일) 1%, II군(124--131일) 5.7%, III군(132--139일) 16%, Ⅵ군(140-147일) 19%, V군(148--155일) 22%, Ⅵ군(156--163일) 14% 그리고 군(164--일) 19%로 나타났고, 대부분 III, IV, V, Ⅵ, Ⅶ군에 속하는 중ㆍ만생계통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생종일수록 당함량이 많은 경향이었다. 그리고 각각의 지역에 있어서 성숙일수가 긴 성숙군 계통들의 당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종피색에 따른 당함량의 차이는 볼 수 없었고, 피분유무에 따른 당함량의 차이는 피분이 있는 계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유색대두 종실의 자엽색에 따른 당함량의 변이는 노란 자엽계통보다 녹색 자엽 계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전체 수결 계통에서 당함량은 단백질함량과는 부의 상관(-029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