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Associated with the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of the Elderly with Type 2 Diabetes

노인 당뇨환자의 당뇨 자가관리와 관련요인

  • Kim, KiSook (Department of Nursing,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o, JiWoon (Department of Nursing, Sun Moon University)
  • 김기숙 (국립 창원대학교 간호학과) ;
  • 고지운 (선문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12.05.31
  • Accepted : 2012.11.29
  • Published : 2012.11.30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levels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and find associated factors of the elderly with Type 2 diabete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264 elderly Koreans over 65 years old who visited one general hospital in S city in South Korea for their medical treatment. In the results, there are fe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sease related variables according with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DSCA). DSCA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r=-.278, p=.033)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ADLs(r=.310, p=.013)and IADLs(r=.415, p=.001).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implementing self-care activities to the elderly with diabetes based on their psychological factors (depression) and functional capacities (ADL and IADL). In addition, the advanced research will be needed for developing tailored nursing educations and interventions to improve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of elderly patients.

본 연구는 노인 당뇨환자의 당뇨 자가 관리 정도를 파악하고 관련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당뇨로 진단받고 S시의 일개 종합 전문 의료기관에 외래진료를 위해 방문한 65세 이상의 노인 당뇨환자 264명이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당뇨 자가관리 행동 일수는 일반적 당뇨식이일수가 1주일 중 5.5일로 가장 많았고 특수 당뇨치료 식이 일수가 3.3일로 가장 낮았다.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에 따라 당뇨 자가관리 행동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당뇨 자가관리 행동은 우울과 음의 상관관계가(r=-.278, p=.033), 일상생활 수행능력(r=.310, p=.013) 및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r=.415,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의 의의는 노인 당뇨환자의 자가관리정도와 관련 요인을 확인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가관리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한 것 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심리적 변인(우울)과 기능적 역량(ADL, IADL)에 따른 노인 당뇨 자가관리 중재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환자 수준에 맞춘 개별화된 당뇨 자가관리 교육 및 관리도구 개발을 위한 추후 확대 연구의 시행을 제언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Changwon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