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담수직파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21초

동해안 지역에서 벼 요철골 담수직파시 적정 파종량 (Optimum Seeding Rate of Water Seeded Rice on Corrugated Paddy Surface in East Coastal Area)

  • 이점식;박성태;이기영;신상욱;김순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22-527
    • /
    • 1997
  • 담수직파와 건답직파의 절충형 직파양식인 벼 요철골 담수직파방법에서 적정 파종량을 구명하고자 영남농업시험장 영덕출장소에서 1994년과 1995년 2년가 파종량 3, 4, 5, 6, 7kg/10a으로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m^2$당 입모수는 97~161개로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입모수가 많았으나 파종량 3kg /10a에서도 요철골 담수직파재배시 안전 입모수 확보는 가능하였다. 2. 도복관연형질중 분얼결당 생중, 간벽두께 중심고비율 등은 파종량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파종량이 많을수록 좌절중이 떨어져 도복지수가 컸고, 포장도복은 파종량 5kg /10a이상에서 1~3정도 발생하였다. 3. 출수기는 10a당 파종량 5~7kg이 3~4kg보다 1일이 빨랐다. 4. 수량 구성요소는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수수는 많았으나 등숙비율은 떨어졌고 수당 입수 및 천립중은 파종량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5. 건물중은 파종량 증가에 따라 증가했으나 수확지수는 떨어졌고, 2개년 평균 쌀 수량은 518~552kg /10a당 파종량 5kg /10a에서 가장 높았다. 6. 2차 회귀곡선식으로 추정한 최고수량을 나타낸 파종량은 4.3~4.8kg /10a이었고 이때 $m^2$당 입모수는 126~135개였다.

  • PDF

담수직파재배시(湛水直播栽培時) 질소분시방법(窒素分施方法)에 따른 벼 생육(生育)과 수량성(收量性) (Effect of Nitrogen Split Application on Growth and Yield in Direct Seeding Rice on Flooded Paddy)

  • 유철현;신복우;이상복;이경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12-318
    • /
    • 1995
  • 본(本) 연구(硏究)는 벼 담수직파(湛水直播) 재배시(栽培時) 질소(窒素) 분시방법별(分施方法別) 토양(土壤)의 무기태질소(無機態窒素) 함량(含量),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 및 생육(生育) 및 수양성(收量性)을 검토하고자 호남(湖南) 평야지(平野地) 대표토양(代表土壤)인 전북통(全北統)에서 요소(尿素)와 벼 측조시비용(側條施肥用) 완효성복비(緩效性複肥)(LCU)를 공시비종(供試肥種)으로 하여 포장시험(圃場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소시비효율(窒素施肥效率)은 기비(基肥)-3엽기-5엽기-수비(穗肥)에 40-0-30-30%와 70-0-0-30%로 시용시(施用時) 담수표면직파(湛水表面直播)보다 무논 골뿌림재배(栽培)에서 높았고 LCU전양기비구(全量基肥區)에서는 요소(尿素) 시용구(施用區)보다 효율(效率)은 높았으나 파종방법간(播種方法間)에는 요소시비구(尿素施肥區)와 같았다. 2. 정조(精粗)로의 질소전이률(窒素轉移率)은 추비(追肥)중점(0-40-30-30%)을 제외(除外)하고는 분시방법(分施方法) 공히 무논골뿌림재배(栽培)보다 담수표면직파(湛水表面直播)에서 높았다. 3. 무논골뿌림재배시(栽培時) 논 굳힘을 위해 시비(施肥) 1일후 강제(强制) 배수(排水)에 의해 유출(流出)되는 질소량(窒素量)은 0.1134ton/ha이었다. 4. 전(全) 생육기간(生育期間) 토양중(土壤中) $NH_4-N$ 발현(發現) 양상(樣相)은 요소(尿素)로 시용(施用)할 경우(境遇) 담수표면직파(湛水表面直播)보다 무논골뿌림재배(栽培)에서 높았던 반면 LCU시용시(施用時)는 재배법간(栽培法間)에 요소시용시(尿素施用時)와는 상반된 경향(傾向)을 보였다.

  • PDF

담수(湛水) · 건답직파(乾畓直播) 벼재배(栽培)에서 잡초(雜草)의 발생특성(發生特性) 및 효과적(效果的)인 잡초방제(雜草防除) (Weed Infestation and Effective Weed Control in Direct - Seeded Rice)

  • 김현호;이순계;이재철;송인만;신철우;문창식;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1
    • /
    • 1998
  • 벼 직파재배시 효율적인 잡초방세 체계를 확립하고자 건답직파재배 및 담수표면산파재배에 따른 잡초의 발생특성과 제초제 체계처리에 따른 잡초방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1. 건답직파재배시 발생된 초종은 22종으로 주로 일년생이 대부분이었으며 주요 우점 초종은 알방동사니(28.3%), 피(24.8%), 너도방동사니(14.0%), 사마귀풀(6.3%), 바랭이(5.5%) 이었고, 담수표면산파재배에서는 12초종이 발생되어 그중 피가 81%로서 최우점초종이었으며, 알방동사니 (6.8%), 물달개비(6.4%), 올챙이고랭이(3.5%) 등이 차우점초종이었다. 2. 건답직파답에서 주요 초종의 출현시가는 피가 파종후 7일로 가장 빨랐고, 바랭이는 파종후 10일, 나머지 초종들은 파종후 16~30일에 출현되어 평균출현시기는 파종후 20일경이었으며, 담수표면산파논에서는 피가 파종후 5일에 출현되었고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알방동사니는 파종후 8~10일로 주요 초종들의 평균출현기는 파종후 13일경이었다. 3. 잎의 생장속도는 건답직파재배의 경우 피와 바랭이는 생육초기부터 최고분얼기까지 벼보다 빨라 파종후 60일에는 벼보다 1.5~2.5엽이 더 발달되었고, 나머지 주요 초종들은 파종후 60일에서 0.8엽이 더 많았으며, 담수표면산파답에서 잎의 생장은 피의 출현이 빨라, 파종후 5일부터 60일까지 벼 잎의 생장보다 왕성하였으며, 나머지 주요 초종들은 벼보다 잎의 발달이 같거나 늦었다. 4. 건답직파재배논에서 초종 개체수 및 건물중은 파종후 30~60일사이에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담수표면산파재배에서 주요 개체수 및 건물중은 피, 알방동사니,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에서 발생빈도가 높았으며, 파종후 20일부터 급격히 증가하였고 40일후 부터는 그 증가 정도가 완만하였으나, 60일까지 계속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5. 건답직파재배시 가장 효과적인 잡초방제 체계는 Cyhalofop/bentazon Me를 파종후 20일에서 처리하고 Fenoxaprop/bentazon Ec를 파종후 45일에, 그리고 Pendimethalin/propanil Ec를 파종후 15일에 처리하고 Pyribenzoxim Ec를 파종후 45일에 처리하는 것이 높은 방제 효과를 보였다. 6. 벼 건답직파재배시 제초제 처리후 공시된 모든 처리약제에서 약해는 없거나 경미하였으며, 담수표면산파에서는 Cyhalofop/bentazon Ec 1차처리후 1정도의 가벼운 약해증상을 보였을 뿐 나머지 약제처리에서는 약해가 없었고, Fenoxaprop/bentazon 2차처리시 약해 증상을 보였으나 벼의 수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해독제(害毒劑) Fenclorim이 담수직파(湛水直播) 재배조건(栽培條件)에서 벼의 제초제약해(除草劑藥害) 경감(輕減)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Fenclorim on Reducing Herbicidal Injury in Direct-seeded Rice)

  • 이현용;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14-220
    • /
    • 1989
  • 벼의 담수직파(湛水直播) 재배조건(栽培條件)에서 약해(藥害)가 발생(發生)되기 쉬운 제초제(除草劑)에 대한 약해경감(藥害輕減)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해독제(害毒劑) fenclorim을 공시(供試)하여 benthiocarb, butachlor 및 pretilachlor에 대한 약해경감효과(藥害輕減效果)를 담수직파(湛水直播) 재배조건(栽培條件)에서 조사(調査)하였다. 1. Benthiocarb 210g/10a, butachlor 180, 270g/10a, pretilachlor 60g/10a와 fenclorim 10g/10a 이상의 혼합처리(混合處理), 그리고 benthiocarb 315g/10a, pretilachlor 90g/10a와 fenclorim 20g/10a 이상의 혼합처리(混合處理)에 의해서 약해(藥害)가 경감(輕減)되어 입모율(立毛率)이 증가되었다. 2. Benthiocarb 210, 315g/10a 와 fenclorim 20g/10a 이상의 혼합처리(混合處理)에서, 그리고 butachlor 180, 270g/10a, pretilachlor 60, 90g/10a 와 fenclorim 10g/10a 이상의 혼합처리(混合處理)에 의해서 약해(藥害)가 경감(輕減)되어 초장(草長)이 증가되었다. 3. Benthiocarb 210, 315g/10a, pretilachlor 60, 90g/10a와 fenclorim 10g/10a 이상의 홈합처리(混合處理)에서, 그리고 butachlor 180, 270g/10a는 fenclorim 20g/10a 이상의 혼합처리(混合處理)에서 약해(藥害)가 경감(輕減)되어 건물중(乾物重)이 증가되었다. 4. 본(本) 실험(實驗)의 결과(結果) benthiocarb, butachlor 및 pretilachlor에 대한 해독제(害毒劑) fenclorim의 약해경감효과(藥害輕減效果)가 안정됨에 따라 fenclorim은 벼의 담수직파(湛水直播) 재배조건(栽培條件)에서 실용화(實用化)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벼 성력재배를 위한 담수직파 파종시기와 등숙환경 분석 (Environmental Mechanism on Seeding Stage and Ripening Period in Labour Saving-Direct Sowing Rice Culture)

  • 곽태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541-549
    • /
    • 1992
  • 벼 담수표면직파재배시 파종기 및 품종을 기상 및 재배 환경과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분석하여 담수직파에서 흔히 발생하는 도복의 방상대책과 후기등숙생리를 검토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초기생육형수질중에서 출아일수는 조기파종일수록 길었으며 단립면적당 입묘수 및 입묘율은 파종이 늦을수록 그리고 만생종일수록 많고 양호하였다. 2. 단립면적당 수수는 파종이 늦을수록 감소하였으며 유효경비율은 만파인 5월 21일 파종구에서 가장 낮았다. 출수개화일수는 파종기가 늦을수록 단축되었으며 등숙기간중 강우분포는 조생종의 등숙기에 많았고 중ㆍ만생종의 등숙기에는 비교적 적었다. 파종기별 및 품종의 숙기별 포장도복정도는 파종이 빠를수록, 그리고 숙기가 빠를수록 컸다. 5. 수량 및 수량구성형질은 파종이 빠를수록 많고 양호했으며 특히 등숙비율은 그차이가 뚜렸하였다.

  • PDF

벼 담수표면직파 재배시 중간낙수 회수가 생육 및 도복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idsummer Drainage Times on Growth and Lodging of Rice Plant in Direct Seeding on Flooded Paddy Surface)

  • 백남현;김상수;박홍규;신현탁;조수연;이선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722-728
    • /
    • 1997
  • 벼 담수표면직파재배시 물관리 방법이 생육 및 도복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994~1995년까지 3개년에 걸쳐 호남농업시험장 시험포장인 전북통(미사질양토)에서 동진벼를 공시하고 중간낙수회수를 달리하여 생육 및 도복형질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중간낙수 회수가 많을수록 상시담수보다 초장과 간장이 단축되었고 $m^2$당 최고 분벽수, 수수는 적어졌다. 2. 중간낙수 회수가 많을수록 토양경도가 높았고, 뿌리량이 많았으며 뿌리의 심층분도 비율도 높은 경향이었다. 3. 중간낙수 회수가 많을수록 중심고, 생체중, 모멘트는 낮아지고 좌절중은 무거워져 도복지수가 낮아졌으며, 포장도복도 경감되었다. 4. 중간낙수 회수가 많을수록 등숙비율 및 1,000 입중이 증가되었고, 쌀수량은 상시담수에서 보다 8~9% 증수되었다. 따라서 벼 담수표면직파재배시는 중간낙수를 2~3회 실시하는 것이 도복경감, 수량증대 및 미질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물관리 방법으로 생각되었다.

  • PDF

벼 담수직파재배에서 벼모썩음병에 관련된 Pythium속 균의 병원성 (Pathogenicity of Pythium Species Associated with Seed and Seedling Rot in Water-Seeded Rice)

  • 문병주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02-406
    • /
    • 1996
  • Pythium 5종, 16균주를 공시하여 담수직파한 벼에 대한 병원성을 CMA 배지와 growth chamber 검정법에 의하여 검정한 결과 P. arrhenomanes 1398 균주가 가장 강한 병원성을 보였으며, 다음은 균주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P. irregulare와 P. spinosum도 병원성이 강하였으며, P. dissotocum과 P. catenulatum의 균주는 병원성이 약하거나 없엇다. CMA 배지 검정때 P. arrhenomanes 1398 균주의 병원성은 주.dirks 2$0^{\circ}C$ 또는 3$0^{\circ}C$의 항온처리보다 주간 3$0^{\circ}C$, dirks 2$0^{\circ}C$의 변온 처리에서 높았다. Growth chamber 검정법으로 병원성을 검정할 때에는 벼알접종원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