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담배연기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25초

일반 주택에서의 실내 VOCs 농도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indoor VOCs concentration at residences in Seoul)

  • 문지영;신동천;양지연;이석주;조성준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9-300
    • /
    • 2000
  • 최근 경제적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도시인의 생활 양식에도 큰 변화가 초래되어 1일 실내 생활 활동시간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실내 생활의 비중이 많은 현대인에게는 실외 대기 오염 물질에 대한 노출 기회보다 실내 공기 오염물질에 대한 노출 기회가 많아 실내 오염의 중요도가 높다(Bloemen and B)urn, 1993). VOCs의 실내 발생원은 주로 건축자재 혹은 가구 및 담배연기 둥이며, 페인트나 유기용제 둥을 사용하는 생활용품에서도 다량 배출되어 인체에 직접적인 노출의 원인이 되고 있다.(중략)

  • PDF

다양한 실내 구역에서의 알데히드류의 농도 분포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aldehydes in various indoor microenvironments)

  • 이지호;박성은;신동천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9-440
    • /
    • 2000
  • 알데히드류는 실내의 다양한 오염원에서 발생되어 하루의 대부분을 실내에서 보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건강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으며, 특히, 포름알데히드는 발암성 물질로 알려진 대표적인 실내 환경 오염 물질이기도 하다(Zhang junfeng et al., 1999). 포름알데히드는 urea 또는 phenol-formaldehyde 수지를 합성하는 주요 물질이며, 건축물 단열재, 가구의 염료 및 광택제, 접착제, 합판, particle board, 악취 제거제, 제지, 가스 스토브, 담배연기, 화장용품, 세제등 생활 용품에서 공업용품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그 사용량도 증가되고 있다(Thomas J. Kelly et al., 1999). (중략)

  • PDF

담배연기의 평가를 위한 새로운 계수 (Quality Indexes for the Evaluation of Cigarette Smoke.)

  • 신영국;노동석;유광근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23-128
    • /
    • 1981
  • For evaluating the cigarette smoke quality of nonblended and commercial cigarettes, four modified smoke quality indexes were deduced from considering the reactivity of the thiol group in cystine (SH value) with the cigarette smoke constituents, and from the maximum limited contents of tar. nicotine, and carbon monoxide for the less harmful cigarette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respect to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indexes and tar/nicotine ratio which had been known reliable for smoke quality evaluation. Among the three indexes, the SH/[(N/O.6) +($\frac{C+T}{8}$)] index was found to be the most reliable and applicable.

  • PDF

담배연기 없는 사업장 정책 가이드 36 - 금연사업의 평가

  • 박정래
    • 월간산업보건
    • /
    • 통권284호
    • /
    • pp.24-34
    • /
    • 2011
  • 여기서는 사업장 금연프로그램의 성공을 평가할 수 있는 적절한 방안들에 대해 살펴 보기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연성공을 평가하기 위한 추적기간을 어느 정도로 정할 것인가? 금연성공을 과연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금연성공여부를 증빙할 수 있는 생의학적 검사 수단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흡연자들의 금연상태 지속여부와 중도탈락률을 반영할 수 있는 평가지표들은 어떤 것이 있는가? 다양한 금연성공 평가지표들의 장단점과 효용성을 평가하고, 다양한 금연사업의 상황에서 어떤 평가지표가 선호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주로 다루고자 한다.

  • PDF

광촉매공정과 필터를 이용한 흡연부스 공기정화연구 (Air Purification of Smoking Booth Using Photocatalytic Process and Air Filter)

  • 김태영;조영태;김재용
    • 공업화학
    • /
    • 제27권4호
    • /
    • pp.433-43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CO, HCHO, $CH_3CHO$, PM10, PM2.5 등의 담배연기 내에 포함된 유해물질들의 농도를 지표로 광촉매와 필터로 구성된 공기정화장치를 부착한 흡연부스 내의 공기질을 평가하였다. 또한 광촉매에서 발생되는 OH 라디칼과 담배연기 내 가스상 유해물질들과의 반응성을 향상시켜 제거효율을 높이기 위해 적외선을 주사하였다. 공기정화장치와 필터를 활용한 흡연부스의 실험 결과, 시스템 가동 전보다 가스상 오염물질은 포름알데히드 포함 최대 85.2% 향상된 제거효율을 나타냈다. 처리 후의 미세먼지는 최대 89.4% 향상된 제거효율을 나타냈다.

담배연기와 담뱃잎 내 함유된 방사능 농도분석 및 위해도 평가 (Analysis of Radioactivity Concentrations in Cigarette Smoke and Tobacco Risk Assessment)

  • 이세령;이상복;김정윤;김지민;방예진;이두석;조형준;김성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4권5호
    • /
    • pp.489-494
    • /
    • 2021
  • In this study, radioactivity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radon contained in cigarette, and the effective dose was calculated using the result value to determine the amount of exposure caused by smoking. A total of 5 types of cigarettes were sampled. Cigarette smoke was collected by using activated carbon, and tobacco were measured by homogenizing for quantitative analysis. For each sample, Bi-214 and Pb-214 were subjected to gamma nuclide analysis to observe the uranium-based radioactive material contained in cigarette, and a measurement time of 30,000 seconds was set for the sample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radioactivity of tobacco, a maximum of 0.715 Bq/kg was derived, and in the case of cigarette smoke measured using activated carbon, a maximum of 3.652 Bq/kg was derived. Using this measurement, the average effective dose to the lungs is 0.938 mSv/y, and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receiving exposure up to 1.099 mSv/y depending on the type of tobacco. It was found that the exposure dose due to cigarette occupies a large proportion of the annual effective dose limit for the general public. Therefore, more diverse studies on radioactive substances in cigarette are needed, and measures to monitor and reduce the incidental exposure to radon should be established.

폐기종과 만성기관지염의 흡연습관 차이 (The Differences of the Smoking Habit Between Emphysema and Chronic Bronchitis)

  • 문영철;유성근;박혜정;신경철;정진흥;이관호;이정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6호
    • /
    • pp.693-703
    • /
    • 2001
  • 배경 및 목적 : 만성폐쇄성 폐질환은 대부분 후천적으로 발생하며, 흡연은 가장 중요한 유발인자이다. 흡연력이 있는 만성폐쇄성 폐질환 환자들이 임상적 그리고 병리학적으로 차이가 분명한 만성기관지염과 폐기종의 두가지 형태로 진행한다는 사실은 단순한 흡연력 이외에 흡연과 관계가 있는 다른 인자가 관여함을 시사하고 있다. 저자들은 흡연력이 있는 남자 중 만성폐쇄성 폐질환으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흡연력과 흡연습관 및 행태를 조사하여 만성기관지염과 폐기종의 발생과 관련이 있는 흡연습관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영남대학교 부속병원 호흡기내과를 방문하였던 환자 중 만성폐쇄성 폐질환으로 진단되고 흡연력이 있는 333명의 남자(폐기종 ; 143명, 만성기관지염 ; 190명)를 대상으로 흡연력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러나, 악성 폐종양, 간질성 폐질환, 기관지 확장증, 진폐증, 폐허탈, 흉수 및 흉막유착 등이 있는 경우와 폐렴이나 폐결핵 등 현증 감염성 질환이 있는 경우, 그리고 1초간 노력성 호기량($FEV_1$)이 ${\beta}_2$ 항진제 사용후 10% 이상 증가하는 경우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결 과 : 만성기관지염 환자에 비해 폐기종 환자는 평균 나이가 많고, 흡연량 및 절대흡연량이 많았으며, 흡연을 일찍 시작하였고, 담배연기를 갚이 흡입하는 경향이 있었다(p<0.01). 또한 필터가 없는 담배를 피운 기간도 폐기종환자가 훨씬 길었다(p<0.01). 그러나 피우는 담배의 평균길이는 두 질환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나이와 흡연력 및 절대흡연량에 대하여 보정한 후 연기의 흡연정도를 비교한 결과 역시 폐기종 환자에서 더 깊게 흡입하는 경향이 있었다. 결 론 : 폐기종의 발생은 담배연기의 흡입정도와 관계가 깊으며, 담배연기에 대한 폐포의 지속적인 노출은 폐기종 발생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담배 연기중(煙氣中)의 유해물감소(有害物減少)에 관한 연구(硏究)[제이보(第二報)] -용매추출(溶妹抽出)의 영향(影響)- (A Study on the Reduction of Harmful Compound in Cigarette Smoke [Part II] -Influence of solvont extraction-)

  • 박택규;김기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2권1호
    • /
    • pp.58-63
    • /
    • 1979
  • 담배향기성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엽중(葉中)의 nicotine이 용매추출(溶媒抽出)로서 제거되는 효과를 규명하고 연기중의 tar, nicotine함량(含量) 및 무처리(無處理)와 처리(處理) 담배에 대한 이화학성(理化學性)을 시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3%알콜추출로 황색종잎담배의 전질소함량은 36.4%가 감소(減少)되었고 당(糖)은 감소(減少)되지 않았다. 2) 용액의 침지시간이 길수록 엽중(葉中)이 nicotine함량(含量)은 감소(減少)되었고 산성용액이나 알칼리성용액을 첨가한 용액에서도 대체로 같은 결과를 얻었다. 3) 열중량분석(DTG)골선은 담배성분중 $150^{\circ}{\sim}350^{\circ}C$에서 분해(分解)되거나 휘발되는 성분이 추출되었음을 나타냈다. 4) 3% 알콜용액 추출에서 (1) filling power는 황색종과 burley 각각 10%와 24%의 개선효과(改善效果)가 있었으며, (2) 연소성(燃燒性)은 burley와 황색종담배에 각각 3분과 2분이 단축되었으며, (3) nicotine의 감소율(減少率)은 burley와 황색종 담배에 각각 61.5%와 54.5%이었고, (4) tar의 감소율(減少率)은 burley와 황색종 담배에 각각 23%와 15%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