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fferences of the Smoking Habit Between Emphysema and Chronic Bronchitis

폐기종과 만성기관지염의 흡연습관 차이

  • Mun, Yeung-Ch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horacic,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Yu, Sung-Ke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horacic,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Park, Hye-J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horacic,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Shin, Kyeong-Cheo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horacic,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ung, Jin-H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horacic,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Kwan-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horacic,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Jung-Cheol (Department of cardiovascular Surge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문영철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유성근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혜정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신경철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진흥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관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정철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1.06.30

Abstract

Background : Smoking is the most important and consistent determinant of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COPD(Ed Note : Define COPD). The fact that cigarette smokers develop a different type of COPD, chronic bronchitis and emphysema, with different clinical and pathological aspects,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of COPD has a relationship with other smoking-associated factors beyond just a simple smoking history. The aim of this was to analyze the smoking habits and history of patients with COPD and to evaluate the development of different types of COPD according to patient's smoking habits. Method :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the smoking patterns of patients with chronic bronchitis and emphysema, a pulmonary function test was conducted, and the smoking history and patterns was obtained through a smoking history questionnaire by a direct personal interview from 333 male cigarette smokers diagnosed with COPD, in the Yeungnam university medical center(190 patients diagnosed with chronic bronchitis, 143 patients diagnosed with emphysema). Result : The patients with emphysema smoked earlier and had a higher smoking history(ie, more packyears, more total amounts of smoked cigarette, and more deep inhalation and longer duration of plain cigarette exposure) than those with chronic bronchitis. The depth of inhalation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mphysema patients after taking into account age, cumulative cigarette consumption and the type of cigarette smoked. Conclusion : Emphysema was more associated with the increasing degree of inhalation as assessed by the depth of inhalation. A high alveolar smoke exposure may be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emphysema.

배경 및 목적 : 만성폐쇄성 폐질환은 대부분 후천적으로 발생하며, 흡연은 가장 중요한 유발인자이다. 흡연력이 있는 만성폐쇄성 폐질환 환자들이 임상적 그리고 병리학적으로 차이가 분명한 만성기관지염과 폐기종의 두가지 형태로 진행한다는 사실은 단순한 흡연력 이외에 흡연과 관계가 있는 다른 인자가 관여함을 시사하고 있다. 저자들은 흡연력이 있는 남자 중 만성폐쇄성 폐질환으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흡연력과 흡연습관 및 행태를 조사하여 만성기관지염과 폐기종의 발생과 관련이 있는 흡연습관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영남대학교 부속병원 호흡기내과를 방문하였던 환자 중 만성폐쇄성 폐질환으로 진단되고 흡연력이 있는 333명의 남자(폐기종 ; 143명, 만성기관지염 ; 190명)를 대상으로 흡연력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러나, 악성 폐종양, 간질성 폐질환, 기관지 확장증, 진폐증, 폐허탈, 흉수 및 흉막유착 등이 있는 경우와 폐렴이나 폐결핵 등 현증 감염성 질환이 있는 경우, 그리고 1초간 노력성 호기량($FEV_1$)이 ${\beta}_2$ 항진제 사용후 10% 이상 증가하는 경우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결 과 : 만성기관지염 환자에 비해 폐기종 환자는 평균 나이가 많고, 흡연량 및 절대흡연량이 많았으며, 흡연을 일찍 시작하였고, 담배연기를 갚이 흡입하는 경향이 있었다(p<0.01). 또한 필터가 없는 담배를 피운 기간도 폐기종환자가 훨씬 길었다(p<0.01). 그러나 피우는 담배의 평균길이는 두 질환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나이와 흡연력 및 절대흡연량에 대하여 보정한 후 연기의 흡연정도를 비교한 결과 역시 폐기종 환자에서 더 깊게 흡입하는 경향이 있었다. 결 론 : 폐기종의 발생은 담배연기의 흡입정도와 관계가 깊으며, 담배연기에 대한 폐포의 지속적인 노출은 폐기종 발생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