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일 클래스 분류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8초

단계형 구조와 SVDD를 이용한 실시간 얼굴 탐지 시스템 (Real-time Face Detection System using Cascade structure and SVDD)

  • 송지영;이한성;임영희;박대희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2 No.1 (B)
    • /
    • pp.763-765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점증적 분류 성능을 갖는 단계형(cascade) 분류기를 이용한 새로운 실시간 얼굴 탐지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시스템의 첫 단계는 전처리 단계로써 매우 빠른 속도를 갖는 새로운 피부색 탐지기를 이용하여 탐색 공간을 대폭 축소하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빠른 분류가 가능한 유사-하(Haar-like) 특징을 이용한 단계형 분류기를 배치하여 빠른 속도로 후보 얼굴을 검출한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탐지율을 높이기 위해 단일 클래스 SVM인 SVDD를 분류기로 사용하였으며,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시스템의 우수성을 보인다.

  • PDF

IKONOS와 AIRSAR 영상을 이용한 계층적 토지 피복 분류 (Hierarchical Land Cover Classification using IKONOS and AIRSAR Images)

  • 염준호;이정호;김덕진;김용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35-444
    • /
    • 2011
  •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다중분광자료만을 이용하여 토지 피복도를 제작할 경우, 낮은 분광해상도와 단일 토지 피복 내에 존재하는 불균질성으로 인해 분류 결과의 정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식생 클래스의 경우 단일 토지 피복임에도 불구하고 절감 특성에 따라 해당 영역 안에 산림, 초지, 농업지역 등이 함께 분류되는 문제가 두드러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광학 영상 기반의 사전분류를 수행한 후 식생으로 분류된 영역에 대해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다중분광정보와 SAR 영상 산란 정보를 통합하고 식생을 세분류하였다. 사전 분류와 식생분류는 최대우도 감독분류를 통해 수행되었으며 식생 세분류 결과와 사전 분류결과 중 비식생 클래스의 융합을 통해 계층적 분류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 기법은 SAR 영상이나 GLCM 질감 정보를 영상 전체에 걸쳐 단순 통합한 분류결과뿐만 아니라 GLCM 질감 정보를 식생 지역에 적용한 계층적 분류결과에 비해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특히 식생과 비식생의 분류 정확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마우스 동작 기록 기반 비정상 게임 이용자 감지를 위한 단일 클래스 분류 기법 (One-Class Classification based on Recorded Mouse Activity for Detecting Abnormal Game Users)

  • 송민준;김인기;김범준;전영훈;곽정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1호
    • /
    • pp.39-42
    • /
    • 2023
  • 최근 온라인 게임 산업이 급속도로 확장됨과 더불어 Gamebot과 같은 비정상적인 프로그램으로 인한 게임 서비스 피해사례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대표적인 게임 장르 중 하나인 FPS(First-Person Shooter)에서 Aimbot의 사용은 정상적인 이용자들에게 재미 요소를 잃어버리게 하고 상대적 박탈감을 일으켜 게임의 수명을 줄이는 원인이 된다. 비정상 게임 이용자의 근절을 위해서 메모리 변조 및 불법 변조 프로그램 접근 차단 기법과 불법 프로그램 사용의 패턴 모니터링과 같은 기법들이 제안되었지만, 우회 프로그램 및 새로운 패턴을 이용한 비정상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에는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상적인 게임 이용자의 패턴만 학습함으로써 비정상 이용자 검출을 가능하게 하는 딥러닝 기반 단일 클래스 분류 기법을 제안하며,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치트(Cheat) 유형인 FPS 게임 내 Aimbot 사용 감지에 초점을 두었다. 제안된 비정상 게임 이용자 감지 시스템은 정상적인 사용자의 마우스 좌표를 데카르트 좌표계(Cartesian coordinates)와 극좌표계(Polar coordinates)의 형태로 패턴을 추출하는 과정과 정상적인 마우스 동작 기록으로 부터 학습된 LSTM 기반 Autoencoder의 복원 에러에 따른 검출 과정으로 구성된다. 실험에서 제안된 모델은 FPS 게임 내 마우스 동작을 기록한 공개 데이터셋인 CSGO 게임 데이터셋으로 부터 학습되었으며, 학습된 모델의 테스트 결과는 데카르트 좌표계로부터 훈련된 제안 모델이 비정상 게임 이용자를 분류하는데 적합함을 입증하였다.

  • PDF

일반 필기 데이터와 단일 클래스 SVM을 이용한 온라인 서명 검증 기법 (Online Signature Verification Method using General Handwriting Data and 1-class SVM)

  • 최훈;허경용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1호
    • /
    • pp.1435-1441
    • /
    • 2018
  • 온라인 서명 검증은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본인 확인 방법의 하나로 생체 인식에 따른 거부감이 적은 장점으로 본인 확인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서명 검증을 분류 문제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모조서명이 필요하지만, 대부분의 실용적인 응용에서 모조서명을 확보하기는 쉽지 않으며 진서명 역시 많은 양을 확보하기는 쉽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모조서명의 확보가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일 클래스 SVM을 사용하고, 진서명의 양이 제한되는 문제는 다른 사람의 서명 데이터를 일반 필기 데이터로 사용하여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다른 사람의 서명 데이터는 검증하고자 하는 서명과 형태적인 유사점을 찾을 수 없지만, 서명에서의 일반적인 특징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적은 수의 진서명만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에 사용하면 검증률을 높일 수 있으며 이는 실험 결과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검색과 분류를 위한 친근도 전파 기반 3차원 모델의 특징적 시점 추출 기법 (Selecting Representative Views of 3D Objects By Affinity Propagation for Retrieval and Classification)

  • 이수찬;박상현;윤일동;이상욱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828-837
    • /
    • 2008
  • 본 논문은 단일 3차원 모델과 모델의 클래스의 특징적인 시점을 추출하여 3차원 모델 검색 및 분류를 수행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3차원 모델을 투영한 2차원 형상 중에 특징적인 형상을 추출하는데, 이때 고르게 샘플(sample)된 형상들을 최근 개발된 친근도 전파 (affinity propagation) 기법을 이용하여 군집화(clustering)한다. 친근도 전파는 데이터를 군집화하는 동시에 각 클러스터의 대표 값을 계산하므로, 군집화된 형상들로부터 대표 형상이 자연스럽게 지정된다. 제안하는 기법은 친근도 기법을 클래스별로 각 모델의 대표 형상 집합에 재차 적용하여 클래스의 대표 형상을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3차원 모델의 분류도 가능하게 한다. 3차원 모델의 검색 뿐 아니라 분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분류를 검색의 전처리 과정으로 하여 연관된 클래스의 모델 중에서만 검색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단위가 큰 데이터베이스에서도 효율적인 검색을 가능하게 한다. [16]에 제안된 프린스턴 벤치마크 데이터베이스(Princeton benchmark database)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검색 및 분류 기법의 유용함을 보인다.

산출물 추출 및 분류를 위한 Index/XML순서관계 시스템 설계 (A Design of Index/XML Sequence Relation Information System for Product Abstraction and Classification)

  • 선수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2D권1호
    • /
    • pp.111-120
    • /
    • 2005
  • 소프트웨어 개발은 다양한 산출물(클래스 부품, 클래스 다이어그램, 폼, 객체, 디자인 패턴)을 생성한다. 단 논문은 이런 산출물의 효율적인 추출 및 분류를 위한 Index/XML 순서관계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에서 산출물 순서 관계 추출은 패턴 관계정보를 메타 모델링 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 할 수 있어 재사용 및 저장이 용이하다. 이 Index/XML 순서관계 시스템은 산출물의 추출과 분류를 위한 여러 가지 산출물의 관계 정보를 쉽게 변형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디자인 패턴을 효율적으로 분류 추출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기능적인 인덱싱, 표준 패턴을 위한 순서 기준 인덱싱은 인덱스 아이디로 그룹화 할 수 있으며 분류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이 정보론 이용하여 산출물들을 효과적으로 분류 및 추출을 할 수 있다.

고분광 영상에서의 지형보정 효과 (Topographic Correction Effects on Hyperspectral Imagery)

  • 현창욱;박형동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5-298
    • /
    • 2006
  • 본격적인 지표 피복 분류 수행 전 국내 지형 특성에 부합하는 분석을 위해 위성영상 전처리 과정으로 지형보정 수행이 필요하다. 수치지형도로부터 추출된 수치고도모델과 고분광영상을 이용하여 충청남도 홍성군에 위치한 암반 사면에서의 지형보정을 cosine 보정법, Minnaert 보정법, c 보정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세 방법을 사용하여 화강암 단일 암종으로 이루어진 클래스의 화소값 표준편차를 비교 분석한 결과 cosine 보정법, c 보정법보다 Minnaert 보정법을 이용한 방법에서 향상된 결과가 도출되었다.

  • PDF

단일 클래스 분류기를 이용한 위조 홍채 검출 방법 (A Fake-Iris Detection Method using SVDD)

  • 이성주;김재희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7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7-288
    • /
    • 200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fake-iris detection method. In order to detect the fake-iris, we measure physiological features which are the reflectance ratio of the iris to the sclera at 750 nm and that at 850nm. In order to classify live and fake iris features, we use support vector data description (SVDD). From our experimental results, it is clear that our fake-iris detection method achieves high performance when distinguishing between a live-iris and a fake-iris.

  • PDF

Focal Loss와 앙상블 학습을 이용한 야생조류 소리 분류 기법 (Wild Bird Sound Classification Scheme using Focal Loss and Ensemble Learning)

  • 이재승;유제혁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15-25
    • /
    • 2024
  • 효과적인 동물 생태계 분석을 위해서는 동물 서식 현황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는 동물 관제 기술이 중요하다. 특히 울음소리로 종을 판별하는 동물 소리 분류 기술은 영상을 통한 판별이 어려운 환경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기존 연구들은 단일 딥러닝 모델을 사용하여 동물 소리를 분류하였으나, 야외 환경에서 수집된 동물 소리는 많은 배경 잡음을 포함하여 단일 모델의 판별력을 악화시키며, 종에 따른 데이터 불균형으로 인해 모델의 편향된 학습을 야기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클래스의 데이터 수를 고려하여 페널티를 부여하는 Focal Loss를 사용한 여러 분류 모델의 예측결과를 앙상블을 통해 결합하여 잡음이 많은 동물 소리를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공개 데이터 셋을 사용한 실험에서, 제안된 기법은 단일 모델의 평균 성능에 비해 Recall 기준으로 최대 22.6%의 성능 개선을 달성하였다.

단일 시기의 Landsat 7 ETM+ 영상을 이용한 산불피해지도 작성 (Fire Severity Mapping Using a Single Post-Fire Landsat 7 ETM+ Imagery)

  • 원강영;임정호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1년도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통권 4호 Proceedings of the 2001 KSRS Spring Meeting
    • /
    • pp.71-76
    • /
    • 2001
  •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산불피해지역을 분석하기 위해 KT(Kauth-Thomas)변환기법과 IHS(Intensity-Hue-Saturation)변환기법을 적용하여 비교해 보고 산불피해등급지도를 작성하였다. 방사보정과 지형보정을 수행한 영상을 각각 IHS와 KT로 변환시킨 후 최대우도법에 의하여 분류하였다. 정확도 평가에서 KHAT statistic은 각각 0.67와 0.76을 나타내었다. 현장데이터가 부족하여 cross-validation을 수행하였으며, 일관되게 KT변환기법에 의한 분류결과가 IHS기법에 의한 분류결과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KT feature space 와 IHS 컴포넌트의 분광 분포를 그래프 상에서 분석해 보았다. 3개의 KT feature 중, greenness와 wetness가 brightness 보다 각 클래스에 대해서 보다 높은 분리성을 제공하였다. 하니만 IHS 컴포넌트의 분광분포는 뚜렷한 분리성이 나타나지 않고 서로 섞여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KT변환기법이 IHS변환기법보다 산불피해지역을 추출함에 있어 더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고, 산불과 관련된 지표의 물리적 특성을 더 잘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