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위 조정

Search Result 38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ata accessibility control for Workflow System using HTML document (워크플로우 시스템에서 HTML 문서를 이용한 데이터 접근성의 조정)

  • 김홍숙;한동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273-275
    • /
    • 1998
  • 기존의 워크플로우 시스템의 단위 업무간의 흐름 조정이 제어의 흐름에 중점을 두고 연구되었으나 실제 단위 업무간에 흐름 조정 시에 데이터도 같이 흘러가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워크플로우 시스템에서 단위 업무간의 흐름 조정 시에 제어의 흐름에 따라 데이터에 대한 접근성을 HTML문서를 이용하여 표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단위 업무간의 흐름 조정의 형태에 따른 데이터의 접근성에 대한 요구사항을 고찰하고 이를 제안된 데이터 접근성 표현 방법을 사용하여 구현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시한다.

  • PDF

A case study on the quadratic function problem solving proc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ifferent unit coordination stages (단위 조정 단계가 다른 중학생의 이차함수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

  • Lee, Jin Ah;Lee, Soo Jin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61 no.3
    • /
    • pp.441-456
    • /
    • 2022
  •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report a part of our larger project whose focus is to understand a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units coordination and K-12 school mathematics. In particular, in this paper we report how students who exhibit distinct levels of units coordinations used their knowledge of proportion to solve quadratic function problems of the form y = ax2. To this end, three 7th grade students all of whom assimiliated whole number problem situations with three levels of units but showed different levels for fraction problems were chosen. We carried out clinical interviews not only to understand their ability to coordinate units but to understand their problem solving process of proportion and the quadratic function problems. The analysis suggest that their abilities to coordinate units influenced their ways to solving proportion problems, and in turn influenced their ways to solve the specific form of quadratic functions. We have finalized our study by discussing how students' ability to construct and coordinate units, their proportion knowledge, and their knowledge associated with expressing the specific type of quadractic functions could be related.

A Study on Introducing Fractions in Mathematics Textbooks: Focused on Stages of Units Coordination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분수 도입 방법에 대한 고찰: 단위 조정 단계를 중심으로)

  • Lee, Jiyoung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23 no.3
    • /
    • pp.323-345
    • /
    • 2019
  • This study examines the introduction of fractions in the third grade mathematics textbooks focusing on stages of units coordination and suggests alternative activities to help students develop their understanding of fractions. As results, the sessions of introduction units in textbooks was well organized to allow students to construct more extensive fraction schemes (i.e., Part-whole fraction scheme → Partitive unit fraction scheme → Partitive fraction scheme). However, most of the activities in textbooks were related to stages 1 and 2 of units coordination. In particular, the operations and partitioning schemes (i.e., equi-partitioning and splitting schemes), which are key to the development of students' fraction knowledge, were not explicitly revealed. Fraction schemes also did not extend to the Iterative fraction scheme, which is central to the construction of improper fract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introduction of fractions in textbooks focusing on stages of units coordination to teachers and textbook developers.

  • PDF

Splitting operation for composite units and construction of fractions as multipliers (합성 단위에 대한 스플리팅 조작과 분수 곱셈 연산자 개념의 이해)

  • Yoo, Jin Young;Shin, Jaehong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62 no.1
    • /
    • pp.1-21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student, who interiorized three levels of units, constructed fractions as multipliers by analyzing her ways of conceiving improper fractions with three levels of units and coordinating two three-levels-of-units structures. Among the data collected from our teaching experiment with two 4th grade students meeting 13 times for three months, we focus on how Seyeon, one of the participating students, wrote numerical expressions in the form of "× fraction" for the given situations using her splitting operation for composite units. Given the importance of splitting operation for composite units for the construction of fractions as multipliers,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An Evaluation of the Coordinating Systems of the Rural Development Policies (RDP) in the Philippines (필리핀 농촌개발정책의 추진과정에 있어서 분산성과 통합을 위한 조정시스템의 평가)

  • Yoon, Won-Keun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5 no.2
    • /
    • pp.339-365
    • /
    • 2008
  • 농촌개발에 관한 정책영역이 농촌공간 단위의 농업정책과 비농업정책을 포괄하는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관련된 농촌개발주체는 분산, 다기화되어 있다. 필리핀의 경우 농촌개발과 관련된 중앙정부의 관련부처는 상대적으로 세분화되어 있으며, NGO 등의 관련기구도 많은 편이다. 또한 필리핀의 지방행정계층의 수도 다른 나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다. 이는 중앙정부 부처간, 중앙부처와 NGO 및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의 조정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한편, 지방정부 레벨에 있어서는 농촌개발과 관련된 관련주체간의 조정시스템에 관하여 지방정부법(1991)에 상세한 규정을 두고 있으나, 실제적인 작동의 면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특히, 필리핀의 농촌개발과 관련된 지방단위의 관련주체의 역량은 충분히 함양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주민과 NGO의 농촌개발에 대한 참여(민주성)를 매우 중시하고 있다. 필리핀 농촌의 발전을 위해서는 관련 주체들의 분산도를 감소시키고, 주체간의 통합성의 증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관련 개별주체의 역량강화와 효율성에 입각한 조정체계의 정립과 전략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 PDF

A Fourth Grade Student's Units Coordination for Fractions (단위 조정에 따른 초등학생의 분수 개념 이해 분석)

  • Yoo, Jinyoung;Shin, Jaehong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23 no.2
    • /
    • pp.87-11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units-coordination ability is related to understanding fraction concepts. For this purpose, a teaching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one fourth grade student, Eunseo for four months(2019.3. ~ 2019.6.). We analyzed in details how Eunseo's units-coordinating operations related to her understanding of fraction changed during the teaching experiment. At an early stage, Eunseo with a partitive fraction scheme recognized fractions as another kind of natural numbers by manipulating fractions within a two-levels-of-units structure. As she simultaneously recognized proper fraction and a referent whole unit as a multiple of the unit fraction, she became to distinguish fractions from natural numbers in manipulating proper fractions. Eunseo with a reversible partitive fraction scheme constructed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1, as having an interiorized three-levels-of-units structure and established an improper fraction with three levels of units in activ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clusions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Evaluation methods of flood control safety to establish flood management system of river basin (유역단위 홍수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치수안전도 평가방안)

  • Lee, Min Woo;Jang, Won Jae;Lee, Yong Kwan;Kim, Ji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20-220
    • /
    • 2022
  • 물관리 일원화, 물관리기본법 제정·시행 등 우리나라 물관리 체계의 혁신기에 정책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할 통합 물관리 전략 마련이 요구됨에 따라, 최근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1차 국가물관기본계획(2021~2030)」을 수립하여 공표·발간되었다. 국가물관리기본계획에서는 유역단위의 물관리를 원칙(12대 기본원칙 중(中))로 하며, 물관리 3대분야(수질·수생태, 이수, 치수)에 대한 추진전략을 수립하였다. 또한, 지속가능한 물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추진전략별 주요 관리지표를 설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물관리 방향을 정립하고 분야별 관련 및 하위계획과의 일관성·정합성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추진전략별 주요 관리지표 중, 유역 재해안전도와 관련하여 하천범람에 대한 기존의 치수안전도의 한계점을 검토하고 유역단위의 치수관리 현황을 평가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과거 유역종합치수계획에서의 치수안전도는 홍수피해잠재능(PFD)을 적용하여 등급별 홍수방어대책 수립방향 및 하천의 설계빈도 조정을 검토하였으며, 홍수피해잠재능(PFD)의 실무적 적용 어려움(산정인자 다(多)), 설계빈도와의 연계성 부족, 치수단위구역의 공간적 정확성 미흡 등에 대한 개선·보완의 의견이 제기되어 왔다. 또한, 유역내 전체하천이 아닌 주요 하천을 대상으로만 치수안전도 설정하여 유역단위의 치수관리에 한계가 있으며, 하천 전체구간의 설계빈도 상향에 따른 홍수방어대책이 비경제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기존의 치수안전도의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홍수피해잠재능(PFD)의 산정인자 단순화, 홍수위험지도를 활용을 통한 치수단위구역의 공간적 정확도 향상 및 치수단위구역별 설계빈도 조정 가능 등의 개선방안을 검토하였으며, 빈도별 치수단위구역의 홍수피해잠재능(PFD)의 통계적 특성 분석을 통해 등급 설정 및 설계빈도 조정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유역내 전체하천에 대한 치수단위구역별 치수안전도를 설정하고, 중권역 단위의 치수안전도를 평가하여 유역단위의 치수관리 현황을 정량적으로 제시함에 유역 재해안전도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Three Dimensional Position Using Unit Models in Aerial Photogrammetry (단위 모델을 이용한 항공 사진의 3차원 위치 해석)

  • 강인준;유복모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4 no.1
    • /
    • pp.49-57
    • /
    • 1986
  • Block adjustment procedures are usually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smallest units ; the bundle, the model, or the strip. In this paper, three dimensional analysis using a unit model in aerial photogrammetry is studied, and error distibutions are anayzed concerning the control patterns.

  • PDF

A practical application of SCS unit hydrograph (SCS 단위도법의 실무적 적용 방안)

  • Kim, JongChun;Ryu, Gwanhyeong;Jeong, J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12-212
    • /
    • 2018
  • 설계홍수량 산정요령(MLTMA, 2012)이 배포된 이후 실무에서는 홍수량을 산정할 때, Clark 단위도(Clark, 1945)를 적용하는 것으로 획일화되는 추세다. SCS 단위도(SCS, 1972)가 설계홍수량 산정요령에서 배제된 것은 Clark 단위도와 비교해서 도달시간 등 유역 매개변수를 같게 대입하더라도 홍수량이 과다 산정되는 경향 때문이다(e.g., Singh, 2000; Kilduff et al., 2010; Bhunya et al., 2011). 그럼에도 불구하고 SCS 단위도는 단변량 모형으로 적용 방법이 매우 간단하고, 실무에서 주로 사용되는 상용프로그램 대부분에 내재되어 있는 등 실무에서의 효용가치가 높은 편이다. SCS 단위도의 높은 첨두홍수량을 조정하고자 첨두시간 산정 공식을 수정한 SCS 방법이 제안되었으나(e.g., Ministry of Construction, 1992; Jung and Moon, 2001), 이는 첨두시간이 크게 산정되도록 하여 첨두홍수량을 낮추려는 시도로 도달시간, 기저시간 등 유역의 물리적인 특성을 왜곡한다. 반면에 SCS 단위도의 기울기(Peak Rate Factor; PRF)는 유역 경사에 따라 300에서 600 사이의 값을 갖게 되고 평균값으로 484가 제안되었으나(SCS, 1972), 이를 맹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실험을 통해서 75-100, 284, 100-575 등 다양한 범위의 PRF 값이 제시되었고(e.g., Woodward et al., 1980; Wanielista et al., 1997), PRF에 직접 비례해서 첨두홍수량이 결정되는 SCS 단위도의 특성을 고려할 때, 유역의 조건에 맞는 적절한 PRF를 산정하는 것이 우선이다. 본 연구에서는 SCS 단위도의 첨두시간과 같은 종속변수 대신 PRF를 조정하는 방법에 주목해서 Clark 단위도로 산정된 홍수량과 서로 상호보완이 될 수 있도록 국내의 유역 환경에 적합한 SCS 단위도 적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Exploring fraction knowledge of the stage 3 students in proportion problem solving (단위 조정 3단계 학생의 비례 문제 해결에서 나타나는 분수 지식)

  • Lee, Jin Ah;Lee, Soo Jin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61 no.1
    • /
    • pp.1-28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students' fractional knowledge is related to their solving of proportion problems. To this end, 28 clinical interviews with four middle-grade students, each lasting about 30~50 minutes, were carried out from May 2021 to August 2021.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wo 7th grade students who exhibited their ability to coordinate three levels of units prior to solving whole number problems. Although the students showed interiorization of three levels of units in solving whole number problems, how they coordinated three levels of units were different in solving proportion problems depending on whether the problems required reasoning with whole numbers or fractions. The students could coordinate three levels of units prior to solving the problems involving whole numbers, they coordinated three levels of units in activity for the problems involving fractions. In particular, the ways the two students employed partitioning operations and how they coordinated quantitative unit structures were different in solving proportion problems involving improper fractions.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by adding empirical data corroborating the hypotheses that students' ability to transform one three levels of units structure into another one may not only be related to their interiorization of recursive partitioning operations, but it i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their construction of splitting operations for composite un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