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어 오류

Search Result 213,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Effects of the Orthographic Representation on Speech Sound Segmentation in Children Aged 5-6 Years (5~6세 아동의 철자표상이 말소리분절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 Maeng, Hyeon-Su;Ha, Ji-Wa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6
    • /
    • pp.499-511
    • /
    • 201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effect of the orthographic representation on speech sound segmentation performance. Children's performances of the orthographic representation task and the speech sound segmentation task had positive correlation in words of phoneme-grapheme correspondence and negative correlation in words of phoneme-grapheme non-correspondence. In the case of words of phoneme-grapheme correspondence, there was no difference in performance ability between orthographic representation high level group and low level group, while in the case of words of phoneme-grapheme non-correspondence, the low level group's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high level group's. The most frequent errors of both groups were orthographic conversion errors and such errors were significantly more noticeable in the high level group. This study suggests that from the time of learning orthographic knowledge, children utilize orthographic knowledge for the performance of phonological awareness tasks.

Korean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using Phone Models for Function words (기능어용 음소 모델을 적용한 한국어 연속음성 인식)

  • 명주현;정민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354-356
    • /
    • 2000
  • 의사형태소를 디코딩 단위로 한국어 연속 음성 인식에서의 조사, 어미, 접사 및 짧은 용언의 어간등의 단어가 상당수의 인식 오류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단어들은 발화 지속시간이 매우 짧고 생략이 빈번하며 결합되는 다른 형태소의 형태에 따라서 매우 심한 발음상의 변이를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어들은 한국어 기능어라 정의하고 실제 의사형태소 단위의 인식 실험을 통하여 기능어 집합 1, 2를 규정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기능어에 기능어용 음소를 독립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또한 기능어용 음소가 분리되어 생기는 음향학적 변이들을 처리하기 위해 Gaussian Mixture 수를 증가시켜 보다 견고한 학습을 수행했고, 기능어들의 음향 모델 스코어가 높아짐에 따른 인식에서의 삽입 오류 증가를 낮추기 위해 언어 모델에 fixed penalty를 부여하였다. 기능어 집합1에 대한 음소 모델을 적용한 경우 전체 문장 인식률은 0.8% 향상되었고 기능어 집합2에 대한 기능어 음소 모델을 적용하였을 때 전체 문장 인식률은 1.4% 증가하였다. 위의 실험 결과를 통하여 한국어 기능어에 대해 새로운 음소를 적용하여 독립적으로 학습하여 인식을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PDF

Stochastic Pronunciation Lexicon Modeling for Large Vocabulary Continous Speech Recognition (확률 발음사전을 이용한 대어휘 연속음성인식)

  • Yun, Seong-Jin;Choi, Hwan-Jin;Oh, Yung-Hwa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6 no.2
    • /
    • pp.49-57
    • /
    • 1997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stochastic pronunciation lexicon model for large vocabulary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system. We can regard stochastic lexicon as HMM. This HMM is a stochastic finite state automata consisting of a Markov chain of subword states and each subword state in the baseform has a probability distribution of subword units. In this method, an acoustic representation of a word can be derived automatically from sample sentence utterances and subword unit models. Additionally, the stochastic lexicon is further optimized to the subword model and recognizer. From the experimental result on 3000 word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the proposed method reduces word error rate by 23.6% and sentence error rate by 10% compare to methods based on standard phonetic representations of words.

  • PDF

The Effect of Word Frequency on Noun Definitions (단어빈도가 명사정의하기에 미치는 효과)

  • Lee, Chan-Jong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7 no.6
    • /
    • pp.303-308
    • /
    • 2008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at word frequency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noun definitions in Korean. The experimental group was 80 students from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University. They rated familiarity and wrote definitions for nouns. Noun definitions were analyzed with semantic categories such as "use/purpose," "description," "association/relation," "partial explanation," "explanation," "error," "partial explanation-attribute," "partial explanation-specific class," "partial explanation-nonspecific class," "explanation-specific class," "explanation-nonspecific class." As a result, they showed familiarity for high-frequency nouns. "EXPL" categories that use class terms or critical attributes were used more frequently in definitions of high-frequency nouns compared with low-frequency nouns. They increased with age and errors decreased with age. Word frequenc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noun definitions.

Automatic Recognition of Korean Broadcast News Using Flexible Vocabulary Recognition Models (가변 어휘 인식 모델을 이용한 한국어 방송 뉴스 음성의 인식)

  • 유하진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8a
    • /
    • pp.70-73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방송 뉴스 인식 시스템에 관하여 기술한다. 인식 실험 과정에서는 실제로 방송된 음성을 인식하였으나, 인식을 위한 음향 모델은 본 연구소에서 갭라한 고립단어 인식용 가변 어휘 인식모델을 이용하였다. 가변 어휘 인식기는 방송 음성의 연속 문장을 이용하지 않고, 음향학적으로 고르게 분포된 고립 단어를 이용하여 학습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의 특성상 문장이 영어권과 같이 단어 단위가 아닌 어절로 나누어 지는 점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의 사전 표제어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또한 탐색과정의 초기단계에 장거리 언어모델을 사용함으로써 인식 오류를 줄일 수 있었다.

  • PDF

Measuring Improvement of Sentence-Redundancy in Multi-Document Summarization (다중 문서요약에서 문장의 중복도 측정방법 개선)

  • 임정민;강인수;배재학;이종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493-495
    • /
    • 2003
  • 다중문서요약에서는 단일문서요약과 달리 문장간의 중복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기존에는 중복된 단어의 빈도수를 이용하거나, 구문트리 구조를 이용한 방법이 있으나, 중복도를 측정하는데 도움이 되지 못하는 단어와, 구문분석기 성능에 따라서 중복도 측정에 오류를 발생시킨다. 본 논문은 주절 종속절의 구분, 문장성분, 주절 용언의 의미를 이용하는 문장간 중복도 측정방법을 제안한다. 위의 방법으로 구현된 시스템은 기존의 중복된 단어 빈도수 방식에 비해 정확율에서 56%의 성능 향상이 있었다.

  • PDF

Off-Line Recognition of Unconstrained Handwritten Korean Words using Over-Segementation and Lexicon Driven Post-Processing Techniques (과다 분리 및 사전 후처리 기법을 이용한 한글이 포함된 무제약 필기 문자열의 오프라인 인식)

  • Jeong, Seon-Hwa;Kim, Su-Hyeong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6 no.5
    • /
    • pp.647-656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오프라인 무제약 필기 한글 단어를 인식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단어 인식 시스템은 크게 다석가지 모듈-문자 분리,조합행렬생성, 특징 추출, 문자인식, 사전 후처리 -로 구성되어 있다. 문자 분리 모듈은 입력된 단어 영상을 하나의 문자보다 더 작은 이미지 조각으로 과다 분리하며 , 조합 행렬 생성모듈에서는 동적 프로그래밍 기법을 이용하여 분리된 이미지 조각들로부터 사전상의 모든 단어들과 대응되는 가능한 모든 조합을 생성한다. 문자인식모듈은 각 그룹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얻어진 특징과 유니그램을 이용하여 문자인식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사전 후처리 모듈에서는 각 그룹에 대한 문자인식 결과와 단어 사전을 사용하여 입력단어에 대한 최종 인식 결과를 도출한다. 본 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문자 분리, 문자 인식 및 후처리를 상호 보완적으로 결합함으로써 한글이 포함된 무제약 필기 문자열을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제 우편 봉투 상에 쓰여진 필기 한글 단어 200개를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다. 실험 결과 200개의 단어중 172개의 단어를 정인식하여 86%의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으며 나머지 28개의 오인식된 단어들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오류는 문자 인식기의 낮은 신뢰도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하나의 단어를 인식하기 위하여 약 2초가 소요되었다.

A Study on the Rejection Capability based on Utterance Verification for Speech Recognition (발화 검증에 의한 음성인식 거절기능 연구)

  • 김우성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67-70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단어독립 음성인식 시스템을 위한 음성인식 거절(rejection)기능에 대해 기술한다. 음성인식 거절 기능은 음성인식기를 제작할 때 정해놓은 인식대상 단어 이외의 단어가 입력되었을 때 그 단어가 인식할 수 없는 단어임을 알려주는 기능이다. 본 연구에서는 단어독립 음성인식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발화 검증 방식에 의해 음성인식 거절 기능을 구현하였다. 특히 유사도를 결정함에 있어서 산술평균, 기하평균, 조화평균을 사용하고 각각을 비교하여, 기하 평균을 사용하는 방식이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음성의 신뢰도(confidence score)를 정규화하기 위해서 Sigmoid 함수를 사용하는데 이 함수의 가중치(weight) 상수의 변화에 대해 인식률을 비교함으로써 가장 적절한 가중치 상수값을 결정하였다. 음성인식 테스트 결과에서는 신뢰도 임계치 값을 구하고 이 값을 사용하여 인식률을 계산하였으며, 거절의 오류까지 포함된 음성인식률은 약 76%였다. 이 연구결과는 현재 한국통신에서 시험 서비스 중인 음성인식 증권정보 안내 시스템에 적용될 예정이다.

  • PDF

A Study on the Recognition-Rate Improvement by the Keyword Spotting System using CM Algorithm (CM 알고리즘을 이용한 핵심어 검출 시스템의 인식률 향상에 관한 연구)

  • Won Jong-Moon;Lee Jung-Suk;Kim Soon-Hyob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81-84
    • /
    • 2001
  • 본 논문은 중규모 단어급의 핵심어 검출 시스템에서 인식률 향상을 위해 미등록어 거절(Out-of-Vocabulary rejection)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것은 핵심어 검출기에서 인식된 결과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검증시스템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매 음소마다 검증 기능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 반음소(anti-phoneme model) 모델을 사용하였다. 검증의 역할은 인식기에서 인식된 단어가 등록어인지 미등록어인지 판별하는 것이다. 단어인식기는 비터비 탐색을 하므로, 기본적으로 단어단위로 인식을 하지만 그 인식된 단어는 내부적으로 음소단위로 인식된다. 따라서, 최소 검증 오류를 갖는 반음소 모델을 사용하고, 이를 이용하여 인식된 음소 단위들을 각각의 반음소 모델과 비교하여 통계적인 방법에 의해 신뢰도를 구한다 이 음소단위의 신뢰도를 단어 단위의 신뢰도로 환산하기 위해서 음소단위를 평균 내는 방식 을 취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등록어와 미등록어 사이의 분별력을 크게 하여 향상된 인식 성능을 얻었다.

  • PDF

예외 단어 선별 작업을 이용한 자동 발음열 생성 시스템의 성능향상에 관한 연구

  • 안주은;김선희;김순협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2003.11a
    • /
    • pp.142-142
    • /
    • 2003
  • 본 연구는 텍스트 분석 기반 자동 발음열 생성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예외 단어 선별 작업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자동 발음열 생성 시스템은 형태음운 규칙 적용, 예외 규칙 적용, 일반음운 규칙 적용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이 때 예외 규칙은 예외사전을 검색하여 해당 어휘가 있을 때에만 적용하게 되는데, 예외 단어는 일정한 예외 환경에서만 나타난다. 본 시스템의 예외 사전에 있는 예외 단어는 5만여 어휘 연세사전에서 예외 환경에 해당하는 28,486개의 어휘 중, 총 2,931개의 예외 단어를 선별하였다. 본 시스템의 성능 평가는 ETRI 2,385, PBS 1,637 어절을 사용하였는데 실험 결과 각각 99.8%, 99.9%의 정확도를 보였고, 0.1% 의 오류는 예외 규칙 중에 하나인 어휘적 경음화 현상에서 나타났다. 따라서 예외 사전을 보다 정확하게 만드는 방법인, 예외 단어 선별 작업을 통해 본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