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어빈도

Search Result 54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의학교육에서의 행복 관련 교육과정 도입을 위한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Research for Happiness-related Curriculum Introduction in Medical Education)

  • 유효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400-40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의학교육에서의 행복과 관련된 교육과정 도입을 탐색하기 위하여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이 행복을 느끼는 활동 및 행복에 대한 개념 인식구조의 사전-사후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의학전문대학원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총 36명이었고, 일상재구성법과 네트워크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은 먹기/대화하기, 여가활동을 하면서 행복을 많이 경험하고 있는 반면 학습활동을 통한 행복을 느끼는 빈도는 낮게 나타났다. 사전-사후의 행복을 표현하는 단어들은 많은 부분 유사하였고, 사전에는 '경제', 사후에는 '일'이 가장 높은 연결정도중심성을 나타냈다. 행복에 대한 개념의 구조가 1개 그룹에서 자신의 일, 가족의 건강, 삶에 대한 가치, 긍정적인 자아 등의 4개 그룹으로 나누어져 행복에 대한 개념이 피상적인 행복에 대한 개념에서 실제적인 행복에 대한 개념으로 인식이 변화하였다. 따라서 인간의 건강을 다룰 예비의사들이 행복에 대한 개념과 가치 등을 바르게 정립할 수 있도록 행복에 대한 의도적인 교육이 도입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 행복과 관련된 교육과정이 체계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한지'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on Korean Paper Hanji)

  • 고인희;조아현;예준희;정선화
    • 보존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57-466
    • /
    • 2017
  • 본 연구는 한지에 관해 학계의 연구 동향을 연구의 목적, 내용, 결과를 토대로 분석하고 향후 연구 방향성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965년부터 2016년까지 51년간의 12개 학회지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핵심어 167단어로 연구논문을 수집하였고 총 178편의 연구논문을 선정하였다. 178편의 연구논문에 대하여 연도별, 연구내용별, 학문분야별로 구분하여 통계분석을 수행하고 수치화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다. 연구논문의 발표 빈도수는 전반적으로 국내 정부 부처별 연구 사업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내용으로는 주로 실험을 통한 물성평가나 기능성을 높이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또한 관찰, 분석, 사례, 상태조사와 같은 분야에서는 연구가 미진하여 향후 연구방법의 다각화가 요구되며, 본 연구를 통하여 한지에 관한 연구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문헌정보학의 지식 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llectual Structur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 유영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77-297
    • /
    • 2003
  • 이 연구는 색인어가 특정 주제 영역의 지식 구조를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여기에서는 문헌정보학 관련 학술지인 정보관리학회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등에 수록된 논문을 대상으로 국회도서관이 배정한 색인어를 클러스터링하여 문헌정보학의 지식 구조를 파악하였다. 그 과정에서, 색인어간의 연관도 및 동시 출현 빈도를 이용하여 색인어 군집을 생성하였고, 초출색인어와 시기 구분에 의한 시계열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문헌정보학의 발전 과정과 그 동향을 밝혔다. 또한 색인어 군집에 의해 도출된 지식 구조와 기존의 전통적인 분류체계의 지식 구조를 비교하여 두 지식 구조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EAP 전문 코퍼스를 활용한 유아교육 전문 어휘 추출 (Extracting Technical Vocabulary List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Using EAP Specialized Corpus)

  • 이제영;안종기;이지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475-484
    • /
    • 2017
  • 본 연구는 EAP 전문 코퍼스 구축과 분석을 통해 유아교육 전문 어휘 목록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 전문가 2인과의 협의를 통해 선정된 7권의 유아교육 관련 영어 전공 서적을 기초로 50만 단어 수준의 전문 코퍼스를 구축하였다. 유아교육 전문 코퍼스의 어휘적 분포를 분석한 결과 기본 어휘에 해당하는 GSL[1]은 81.86%, 학술어휘에 해당하는 AWL[2]은 9.78%로 타 분야의 학술적 텍스트와 유사한 분포를 나타냈다. 한편 어휘의 다양성을 살펴보기 위해 TTR을 산출한 결과 3.18로 타 코퍼스의 결과와 비교할 때 낮은 수치, 즉 동일한 어휘의 반복이 비교적 많다는 특징을 보여 주었다. 다음으로 빈도와 출현 범위 등을 기준으로 유아교육 분야의 전문 어휘를 추출한 결과 총 224개의 어휘가 선정되었다. 이 어휘 목록은 영어로 유아교육을 가르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영어로 쓰인 유아 교육 분야의 전공서적을 읽기 위한 기초 자료서로 유용성을 지닐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어 중의적 형태소 표상양식과 처리 특성 : 실어증 환자를 중심으로 (The Processing and Representations of Ambiguos Morpheme in Korean Words : Centered in Aphasics.)

  • 정재범;편성범;김태훈;남기춘
    •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지과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51-156
    • /
    • 2002
  • 중의적인 단어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선행연구로, 첫째 문맥에 맞는 의미가 먼저 활성화된다는 가설과 둘째, 여러 뜻 중에 상대적인 빈도에 따라 많이 쓰이는 의미가 먼저 활성화되고, 그것이 문맥과 일치하지 않는다면, 다른 관련된 의미를 찾는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 마지막으로 문맥에 상관없이 모든 의미가 활성화 된 후 문맥을 고려하여 문맥에 적절한 의미를 선택한다는 가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먹을', '감을' 등과 같이 2가지 의미의 품사가 다른 중의 어절과 '쥐어', '감어' 등과 같이 어절 문맥('어')이 주어진 어절의 의미 활성화가 어떻게 다른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점화어휘 판단 과제를 사용하였다. 실험 1의 결과는 SOA 150ms 조건에서 점화자극어절과 관련된 의미가 품사와 관련 없이 모두 활성화되었다. SOA 1000ms 조건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이 쓰이는 체언의 의미는 계속 활성화 되어 있는 반면, 용언의 의미 점화량은 감소하였다. 명칭성 실어증 환자인 SDK의 경우 SOA 150ms 조건에서는 일반인과 같은 형태소 처리특성을 보였으나 1000ms 조건에서는 달랐다. 다른 명칭성 실어증 환자인 BIS과 전반성 실어증 환자인 PSB는 SOA 150ms 조건과 1000ms 조건에서 일반인과 아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것은 실어증 환자의 타잎에 따라 형태소의 처리나 중의적인 의미 활성화가 일반인과는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험 2에서는 어절 문맥이 있는 '먹어', '쥐어', '감어' 등과 같은 어절을 사용하였다. 실험 2의 결과는 SOA 150ms 조건일 때 어절문맥의 영향으로 용언의 의미만 촉진적 점화효과가 있었고, 체언의 의미는 활성화되지 않았다. 그러나 SOA 1000ms로 지연시켰을 때는 용언뿐만 아니라 체언의 의미도 촉진적 점화효과가 있었다. 실험 1과 2의 결과는 중의적인 한국어 어절의 경우에도 모든 의미가 활성화되나 어절 문맥이 존재할 때는 어절 문맥의 제약으로 어절 문맥에 맞는 한 가지 의미만 활성화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한국어 어절이 분석된 형태가 아닌 어절 형태로 심성 어휘집에 저장되어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실어증 환자의 경우 실험 1과 마찬가지로 환자의 수준이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반응을 보여주었다.

  • PDF

소집단 활동에서 과학 영재들의 집단 내 의사소통 지위와 언어네트워크 (Communication Status in Group and Semantic Network of Science Gifted Students in Small Group Activity)

  • 정덕호;조규성;유대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8-16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들의 소집단 활동에서 집단 내 의사소통 지위와 언어네트워크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과학영재들을 대상으로 5명을 한 단위로 하는 7개 소집단을 구성하고, 이들에게 지구의 밀도 구하기라는 주제로 토론활동을 하였다. KrKwic과 UCINET 6.0 for Windows를 활용하여 집단 내 의사소통 지위와 언어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집단 내 선도자의 언어네트워크는 방관자들에 비해 높은 단어 사용 빈도, 낮은 컴포넌트 비율,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이는 선도자들이 방관자들에 비해 응집된 지식을 소유하고 있으며, 문제해결을 위해 방관자들보다 많은 양의 지식을 인출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런 결과는 과학영재들의 인지수준의 평가와 소집단 활동에서의 집단 구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프로그램 코드 분석을 위한 유사도 측정 및 가시화 기법 (A Similarity Measurement and Visualization Method for the Analysis of Program Code)

  • 이영주;이정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802-809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래밍 언어에 정의되는 지정자와 키워드가 프로그램 코드 상에서 연속적인 패턴으로 나타나게 될 때, 해당 연속 패턴들의 빈도와 길이를 측정하여 두 코드 사이의 유사성을 측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이러한 분석 결과를 정형적 개념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가시화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기존의 유사도 측정 기법에서는 고려하지 않았던 단어 인접성을 유사도 측정에 반영한다. 함수 단위로 지정자와 키워드 패턴을 이용하여 함수의 호출 순서나 수행 순서에 상관없이 표절을 탐지할 수 있다. 또한, 유사도 측정 결과는 정형적 개념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격자(lattice)로 시각화되어 사용자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실험 결과 제안 기법은 96%의 표절 탐지 성공률을 보여주었다. 제안 기법은 프로그램 코드 뿐만 아니라 일반 문서의 분석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온톨로지 기반의 자연어 검색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ntology-Based Natural Language Search System)

  • 강래구;임동일;정채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875-878
    • /
    • 2007
  • 지금까지의 상품 검색 방법으로는 찾고자하는 정보를 검색할 때 주로 단어의 빈도수나 어휘 정보를 이용하는 키워드 기반의 검색이 주로 쓰이고 있었다. 키워드 기반의 검색에서는 사용자의 질의와 관련이 없는 문서들까지도 같은 결과로 나타내 주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제시된 결과를 한번 더 수동적으로 검색해야하는 부담을 않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온톨로지가 대두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온톨로지를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을 직접 구축하여 분류별 검색을 통해 얼마나 정확한 검색을 하는지 실험하였다. 실험을 위해 전국적으로 On/Off라인 할인점을 운영 중에 있는 A할인점의 상품 데이터 약 40,000여개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였고 User Interface 개발환경은 JSP와 PowerBuilder9.0을 사용하여 검색 시스템을 개발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고 설계한 상품 도메인 온톨로지를 이용한 검색 방법이 기존의 키워드 기반의 검색 방법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 PDF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임베디드형 피드백 지원 검색체 (Embeded-type Search Function with Feedback for Smartphone Applications)

  • 강문중;황민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974-983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각종 어플리케이션에 내장시켜 사용가능한 검색체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조사와 같이 무의미하지만 자주 사용되는 단어를 빈도수에 따라 억제하는 BM25, 아이템의 길이 편차에 따른 검색 순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이템의 길이에 따라 중요도를 보정하는 Pivoted Length Normalization, 그리고 벡터공간 모형 상에서 쿼리 벡터를 관련 있는 것으로 판정된 아이템들의 벡터 그룹으로 끌어당겨 보정하는 Rocchio's Method를 사용해 묵시적 피드백 기능을 지원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색인 작업은 오프라인 동작을 위한 간단 색인과 온라인 동작을 위한 정밀 색인의 두 단계로 나누어 동작성을 보장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연구한 피드백 지원 검색체는 쿼리 유추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색인된 자료와 비교해 입력 내용을 예측하고 오타 등의 사용자 실수에 대해서도 대응하므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손쉽게 탑재되어 검색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말소리 산출에서 단어빈도효과의 위치 (The Locus of the Word Frequency Effect in Speech Production)

  • 구민모;남기춘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99-108
    • /
    • 2006
  •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xact locus of the frequency effect in speech production. In Experiment 1. a picture naming task was used to replicate whether the word frequency effect is due to the processes involved in lexical access or not. The robust word frequency effect of 31ms was obtained. The question to be addressed in Experiment 2 is whether the word frequency effect is originated from the level where a lemma is selected. To the end, using a picture-word interference task, the significance of interactions between the effects of target frequency, distractor frequency and semantic relatedness were tested. Interaction between the distractor frequency and semantic relatedness variables was significant. And interaction between the target and distractor frequency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tendency. In addition, the results of Experiment 2 suggest that the mechanism underlying the word frequency effect is encoded as different resting activation level of lemmas. Experiment 3 explored whether the word frequency effect is attributed to the lexeme level where phonological information of words is represented or not. A methodological logic applied to Experiment 3 was the same as to Experiment 2. Any interaction was not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obtained the evidence supporting two assumptions: (a) the locus of the word frequency effect exists in the processes involved in lemma selection, (b) the mechanism for the word frequency effect is encoded as different resting activation level of lemmas. In order to explain the word frequency effect obtained in this study, the core assumptions of current production models need to be modifi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