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단백체

검색결과 601건 처리시간 0.034초

단백질체학을 이용하여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과 미세 변화형 신증후군의 비교 (The Comparison between FSGS and MCNS Using Proteomic Method in Childhood Nephrotic Syndrome; Preliminary Study)

  • 김성도;조병수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3권2호
    • /
    • pp.170-175
    • /
    • 2009
  • 목적 :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 환아들은 어떤 종류의 약물치료에도 잘 반응하지 않고 점차 말기 신부전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미세 변화형 신증후군과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 사이의 단백질 발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 미세 변화형 신증후군과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의 신장 조직 샘플로부터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단백질들에 대해 2차원 전기영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개개의 단백체로 분리한 후 실버 염색을 하였다. 분리한 단백질은 MASCOT Peptide Mass Fingerprin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결과 : 미세변화형 신증후군과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의 신장 조직에서 서로 상반된 발현 양상을 보여주었다. 이중 가장 크고 두드러지게 발현되는 부위를 잘라내어 단백질 분석을 시행한 결과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에서만 glutathione S-transferase P1-1 단백질이 발현 되었다. 결론 : 상기 결과는 비록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의 병태생리를 알기 위한 기초연구였으나 본 연구에서 밝혀진 glutathione S-transferase P1-1 은 향후 질병의 기전을 밝히는데 있어서 중요한 소견으로서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흰쥐 말초 혈액 림프구의 분자량 44 kD 단백의 인산화 (Phosphorylation of 44-kilodalton Proteins in Peripheral T-lymphocyte of Rat)

  • 안영수;주일로;오도연;임승욱;박경선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5-144
    • /
    • 1991
  • 흰쥐 말초혈액에서 얻은 T 림프구를 아드레날린성 ${\beta}-$수용체 효현제 및 concanavalin A(Con-A)로 자극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자극이 없는 상태에서의 주 인산화 단백은 분자량 44kD, 등전점 6.8의 단백이었으며 효현제로 자극시키면 분자량 44kD, 등전점 6.3의 단백이 새로이 인산화되어 나타났다. 이 분자량 44kD, 등전점 6.3의 단백은 forskolin에 의해 역시 인산화되며 A-kinase 억제제인 H-8을 전처치하면 인산화의 억제가 나타났다. 또한 Con-A로 자극시키면 44 kD/pI 6.3 단백의 인산화가 증가되었으며 이 인산화의 증가는 CaM kinase 억제제인 W-7 전처치에 의해 억제되었다. H-7은 분자량 44 kD, 등전점 6.8 단백의 인산화를 감소 시켰다. 이상의 결과로 분자량 44 kD 등전점 6.3의 단백은 A-kinase와 CaM kinase 모두에 의해 인산화 되는 기질단백으로서 tryptic peptide map상에서 44 kD/pI 6.8 단백과 44 kD/pI 6.3 단백은 서로 다른 단백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녹용이 집토끼 조직에 미치는 영향(1)-수용성 단백의 비교연구- (The Effect of Deer Horn Extract on the Rabbit Tissues(1) -The effect on the soluble proteins-)

  • Kim, Gi-Sik;Oh, Suk-Heun;Lee, Sung-Ho;Kim, Nam-Ju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7-40
    • /
    • 1977
  • 녹용이 동물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일환으로 녹용 침출액을 집토끼에 주사한 후 여기에서 여섯개의 조직(골격근, 간, 신장, 부신, 비장, 심장근)을 선택 적출하여 disc-gel electrophoresis로 수용성 단백 분획상을 비교 하여 보았다. 대조군과 5일간 주사한 군에서 간, 신장, 부신, 비장에서는 서로 동일한 영동분획상이 나타났으나 골격근과 심장근에서는 대조군보다 실험군(5일간과 15일간 녹용침출액을 주사한 군)의 영동대에서 하나의 영동대가 더 나타났다. 한편 15일간 주사한 실험군과 5일간 주사한 실험군 사이에서는 단백분 획상의 차이점이 없음을 알았다. 이와 같은 변화는 녹용의 어떤 특수성분이 주로 근육형 조직에서만 백질을 합성하는 기작에 영향을 끼친 것이 아닌가 사려된다.

  • PDF

리보스 결합단백질의 대량생산을 위한 야생형 수송결합변이, 복귀변이 유전자의 클로닝과 이들 단백질의 순수정제 (Overproduction and Purification of Ribose-Binding Proteins from the Wild-Type Mutant and Revertant Strains in Escherichia coli)

  • 박순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91-297
    • /
    • 1988
  • 신호배열 돌연변이인 rbsB 103는 전구체 리보스 결합단백질을 세포질내에 축적시키고, rbsB 106 복귀유전자는 이 전구체를 숙성 가능하게 하여 페리플라슴으로 수송되게 한다.(Iida el at., 1985, Park, el at., 1988). 본고에서는 rbsB 유전자의 세 allele, rbsB, rbsB 103와 rbsB 106를 이들이 코딩하는 단백질을 대량생산 하그l자 람다 P 프로모터 조절하에 클론하고 나아가서 다섯종의 단백질을 순수정제하였다.. 전구체 단백질의 pI는 8.0, 숙성단백질의 $P_{L}$는 7.5임을 밝혔다. 순수정제된 단백질의 아마노 말단의 아미노산 배열을 결정하여 DNA 염기서열로부터 밝혀진 아미노산 변화를 확인하였다.

  • PDF

C57BL/6J Mice에서 단백다당체 함유 차가버섯 균사체의 지질개선 및 혈당조절효과 (Antihyperlipidemic and Glycemic Control Effects of Mycelia of Inonotus obliquus Including Protein-bound Polysaccharides Extract in C57BL/6J Mice)

  • 김민아;정용섭;전계택;차연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667-673
    • /
    • 2009
  • 본 연구는 단백다당체 함유 차가버섯 균사체 추출물 보강이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되어 2형 당뇨 특성을 나타내는 C57BL/6J mice에서 지질수준 개선 및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동물은 정상 대조군 (N-C), 고지방 대조군(H-C), 고지방식이+저농도 균사체 추출물 투여군(M150L, 1 mL/kg bw, ${\beta}$-glucan 1.303 mg), 고지방식이+균사체 추출물 투여군(M150, 2 mL/kg bw, ${\beta}$-glucan 2.606 mg), 고지방식이+고순도 단백다당체 투여군(PP, 200 mg/kg bw), 고지방식이+메시마 투여군(M, 200 mg/kg bw) 6군으로 나누어 사육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고환 지방은 차가버섯 균사체 추출물 투여 농도의존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냈다. 혈중 중성지방 및 VLDL에서 차가버섯 균사체 투여군(M150)은 고지방 대조군(H-C)보다 각각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간 조직의 중성지방 농도는 고지방 대조군(H-C)보다 차가버섯 균사체 투여 실험군(M150L, M150)이 각각 26.8%, 30.9%, 총 콜레스테롤은 각각 65.5%, 61.9% 낮아져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경구당부하 검사 결과 포도당 투여 3시간 후의 혈당이 고지방 대조군(H-C)보다 저농도 차가버섯 균사체 투여군(M150L) 4.9%, 차가버섯 균사체 투여군(M150) 9.5% 감소하였다. 혈당반응면적 또한 차가버섯 균사체 투여군(M150)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낮았다. 혈중 인슐린 및 HOMA-IR 수준은 차가버섯 균사체 투여 실험군(M150L, M150)에서 고지방 대조군(H-C)보다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간 중 글리코겐은 고지방 대조군(H-C)에서 글리코겐 합성이 저하된 반면 차가버섯 균사체 투여 실험군(M150L, M150)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혈중 아디포넥틴은 고지방 대조군(H-C)보다 차가버섯 균사체 투여군(M150)에서 유의적으로 높아졌다. 결론적으로, 단백다당체 함유 차가버섯 균사체 추출물이 식이 유도 비만/당뇨 모델인 C57BL/6J mice의 지질수준 개선 및 혈당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이를 이용한 기능성식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참굴큰입흡충 (Gymnophalloides seoi) 성충에서 정제한 40 kDa 시스테인계열 단백분해효소의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40 kDa cysteine protease from Grymnopholloides seoi adult worms)

  • 최민호;박원진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6권2호
    • /
    • pp.133-142
    • /
    • 1998
  • 참굴큰입흡충 (Gymnophalloides seoi)의 병원성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성충의 조효 소에서 단백분해효소를 분리 정제한 후 생화학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조효소를 0.1 M sodium acetate (pH 4.5)로 투석한 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을 Sephacris S-200 HR column chromatography로 부분 정제한 후 DEAE-Sephacelcolumn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순수 정 제하였다. SDS-PAGE를 실시하여 각 정제 단계별 시료의 정제도를 확인한 결과 분자량이 40 kDa 인 단일 분획이 관찰되었다. 정제된 효소는 시스테인 단백분해효소의 특이억제제인 L-lorans- epoxysuccinylleucylamido (4-guanidino) butane (E-64)와 iodoacetic acid, 세린 및 시스테인 단백분해효소의 일반 억제제인 leupeptin에 의해 활성이 억제되어 시스테인 단백분해효소임을 확 인하였다. 정제된 효소는 콜라겐, 파이브로넥틴과 같은 세포외 기질을 분해하였으나 헤모글로빈은 분해정도가 낮아 반응 12시간 후에도 단량체 (monomer)와 이합체 (dimer)의 양이 대조군과 큰 차이가 없었으며, IgGEa와 slgAE 거의 분해하지 믓하였다. 따라서, 참굴큰입흡충 성충의 40 kDa 시스테인 단백분해효소는 충체가 숙주 체내에서 기생생환을 하는데 필요한 영양분 섭취에 주로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복막 투석 중인 신증후군 환자의 복막을 통한 단백 소실 (Peritoneal Protein Loss in Nephrotic Syndrome on Peritoneal Dialysis)

  • 안요한;정의석;이세은;이현경;이소희;강희경;하일수;정해일;최용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3권2호
    • /
    • pp.189-196
    • /
    • 2009
  • 목적 : 신증후군에서 사구체 단백 투과성이 증가하는 것은 전신적인 순환 인자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전신적인 순환 인자의 사구체 외 기관에서의 영향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복막 투석 중인 steroid resistant nephrotic syndrome (SRNS) 환자에서의 복막투석을 통한 단백 소실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1년부터 2009년까지 복막 투석 중인 신증후군 환자 12명(SRNS)과 대조군 1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환자-대조군 연구를 시행하였다. 성별, 투석 시작 시 연령, 체중, 신장, 투석 방법, 투석양, 투석 시작 시 검사 소견(혈액 요소 질소, 혈청 크레아티닌, 혈청 단백, 혈청 알부민, 24시간 투석액 부피, 24시간 투석액 단백, Kt/V)과 1년 뒤 투석 시 검사 소견(24시간 투석액 단백)을 조사하였다. 단백질 섭취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nPNA (normalized protein equvalent of total nitrogen appearance)를 측정하였다. 결과 : SRNS군과 대조군은 nPNA를 비롯한 다른 지표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SRNS군에서 혈청 알부민이 $3.7{\pm}0.3$ g/dL로 대조군($4.0{\pm}0.4$ g/dL, P=0.021)보다 낮았다. 복막액을 통한 단백 소실량은 SRNS군에서 대조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으며($3,044.4{\pm}837.6\;mg/m^2$/day vs. $1,791.6{\pm}1,244.0\;mg/m^2$/day, P=0.007), 혈장 단백에 대한 복막의 투과성은 SRNS군에서 대조군보다 2배 가량 높았다($1.06{\pm}0.46%$ vs. $0.58{\pm}0.43%$, P=0.010). SRNS군과 대조군 모두 초기와 1년 뒤 복막 단백 소실량이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에서 더 큰 차이를 보였으며 복막 단백 소실량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는 두 군(SRNS군 vs. 대조군)간에 의미있게 차이가 있었다(P=0.023). 결론 : 신증후군을 앓고 있는 소아 환자에서 복막 투석을 시행할 때는 이들의 영양상태, 성장 및 발달에 평가가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복막을 통한 단백 소실을 모니터링하여 이를 보충하려는 노력 또한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동남참게(Eriocheir japonicus)의 난황단백질 정제와 그 전구체의 합성부위 구명 (Purification of the Yolk Protein, and Identification of the Synthetic Site of Its Precursor in Eriocheir japonicus (Decapoda, Brachiura))

  • 한창희;배현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32-442
    • /
    • 1992
  • 동남참게, Eriocheir japonicus의 난황단백전구체 합성부위를 면역조직화학적인 방법으로 구명하기 위하여, 난황단백질을 정제하고, 이 단백질에 대한 항혈청을 제작하여 난황단백질에 대한 면역학적인 성질을 밝힌 후, 난황단백전구체의 항체가 존재하는 항 난황단백혈청을 사용하여 PAP(peroxidase-antiperoxidase)법으로 생식소, 간췌장, 근육조직을 대상으로 면역조직화학 반응을 시켰다. 성숙한 암, 수혈청에 대한 면역전기영동과 Ouch-terlony 면역확산 실험에 의하여 암혈청내에는 암 특이성혈청단백질이 있음이 밝혀졌다. 암, 수혈청에 대한 항혈청과 난황형성중인 암혈청에 대한 조난황단백추출액에 대하여 면역전기영동과 Ouchte-rlony 면역확산 실험을 행한 결과, 암 특이성혈청 단백질은 난황단백전구체임이 밝혀졌다. 조난황단백추출액으로 부터 DEAE 이온교환 chro-matography와 sepharose CL-4B gel 여과법에 의하여 난황단백질을 정제하였으며, 이 난황단백질의 분자량을 sepharose CL-4B gel 여과법에 의하여 추정한 결과 분자량은 약 245,000 dalton이었다. 또한 난황단백질은 면역학적인 분석에 의하여 난황 단백질에 대한 항혈청에는 난황단백전구체에 대한 항체가 존재하고 있음이 증명되었다. 난황단백질에 대한 토끼 항혈청을 이용하여 PAP법에 의한 면역조직화학반응을 시킨 결과, 난황형성중인 난모세포와 성숙한 암참게의 간췌장은 양성반응이 나타는데 반하여 난소내의 여포세포층과 난황형성전 난모세포, 근육층 그리고 성숙한 수참게의 간췌장은 전혀 양성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종의 난황단백전구체의 합성부위는 간췌장임을 알 수 있다.

  • PDF

17 $\alpha$-ethinylestradiol 과 nonylphenol에 노출된 송사리에서 vitellogenin 및 estrogen receptor의 발현

  • 이철우;박응로;류지성;남규찬;남성숙;구자민;전성환;나진균;최덕일
    • 한국환경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독성학회 2001년도 춘계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 /
    • pp.132-132
    • /
    • 2001
  • Vitellogenin은 난황단백질의 전구체로서 생체내 발현은 에스트로젠과 에스트로젠 수용체가 반응함으로써 활성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류의 경우 간에서의 vitellogenin의 합성 및 분비는 성숙된 암컷에서만 일어날 수 있는 현상이나, 과거 여러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수컷이나 미성숙한 암컷에서도 에스트로젠성 물질에 의해 합성이 유도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수컷 또는 치어 plasma에서 vitellogenin의 측정은 외인성에스트로젠에 대한 노출을 평가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 될 수 있다. (중략)

  • PDF

과망간산카리움 처리(處理)한 동물(動物) 아밀로이드 단백(蛋白)의 Congo red에 대한 염색반응(染色反應) (Staining Response of KMnO4-Treated Animal Amyloid Proteins to Congo red)

  • 김덕환
    • 농업과학연구
    • /
    • 제13권1호
    • /
    • pp.139-146
    • /
    • 1986
  • 과망간산카리움법(法)을 이용(利用)하여 자연발생(自然發生)아밀로이드증(症)의 소(15례(例)), 개(1례(例)), 및 고양이 (1례(例)) 그리고 인공유발(人工誘發)아밀로이드증(症) (토끼, 1례(例))으로부터 채취(採取)한 아밀로이드단백(蛋白)의 침착장기(沈着臟器)에 대하여 침착(沈着)아밀로이드의 성상(性狀)을 조직화학적(組織化學的)으로 검사(檢査)하였다. 그 결과(結果), 소, 개 및 인공유발 토끼의 아밀로이드증(症)에서 각(各) 장기(臟器) 모두 적갈색(赤褐色)의 형광(螢光)및 녹색(綠色)의 편광(扁光)이 소실(消失)되어 과망간산카리움의 처리(處理)에 대해 감수성(感受性)이었다. 이 사실(事實)로 보아 소, 개 및 인공유발아밀로이드증례(症例) 모두 amyloid protein A(AA 단백(蛋白))에 상당(相當)하는 것으로 판명(判明)되었다. 반면 고양이 1증례(症例)에서는 과망간산카리움처리(處理) 후(後)에도 침착(沈着)아밀로이드의 Congo red에 대한 친화성(親和性)이 잔존(殘存)하였고 또한 신장(腎臟)의 사구체(絲球體)에 면역(免疫) 글리부린의 침착(沈着)이 인정(認定)된 점으로 보아, 본(本) 증례(症例)의 아밀로이드 단백(蛋白)은 amyloid light chain related protein (AL 단백(蛋白))에 상당(相當)하는 것으로 사료(思料)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