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단백질함량

검색결과 3,131건 처리시간 0.025초

수도 고단백계통 육성을 위한 기초적 연구 -V. 파종 및 수확시기가 쌀의 Amylose 및 단백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Basic Studies for the Breeding of High Protein Rice -V. Effect of planting and harvesting date on the amylose and protein content in rice grain-)

  • 문헌팔;허문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9권
    • /
    • pp.14-20
    • /
    • 1975
  • 파종시기 및 수확시기가 쌀의 Amylose 및 단백질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온도 및 일장감응성정도와 단백질함량이 다른 4개품종을 사용하여 4월10일부터 15일간격으로 5회파종하고, 출수후 30일부터 5일간격으로 6회 수확하여 미립내의 Amylose 및 단백질 함량이 품종에 따라 어떤 반응을 보이는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Amylose함량은 증가하였고 단배질함량은 감소되었다. 2. 단백질함량의 파종기에 대한 반응은 품종에 따라 달라서 파종기가 지연될수록 조생종은 감소되었고 중만생종은 증가하였다. 3. 파종시기에 따른 단백질함량의 환경변이는 저단백품종보다 고단백품종에서 크게 나타났다. 4. 벼의 Amylose 및 단백질함량에 미치는 수확시기의 영향은 뚜렷하지 않았다. 5.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저Amylose 고단백계통육성을 위해서는 성숙에 지장이 없는한 파종시기를 늦추는 것이 효율이 높고 수확은 출수후 30일부터 가능할 것으로 추론하였다.

  • PDF

보리의 품질 및 식미개선에 관한 연구 1보. 단백질함량의 품종간차이와 그의 변이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Grain and Eating Quality of Barley 1. Varietal Difference of Protein Content and its Variation)

  • 이홍석;이영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6
    • /
    • 1977
  • 보리의 품질 및 식미개선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단백질함량의 품종간차이와 질소시비량, 재배법 및 차광처리등이 종실의 단백질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추구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백질 함량은 맥종 및 품종에 따라 큰 차이가 있어 8~18%의 범위에 있고 Pukumugi 및 승맥 1005 등은 가장 높았으며 일반적으로 껍질보리에서 높고 찰보리와 맥주보리는 현저히 낮았다. 2. 품종의 단백질함량은 껍질보리의 경우에 립중과 유의적민 부의 상관이있었고 출수기의 조만과는 상관관계를 인정할 수 없었다. 3. 출수기의 식물체 또는 엽중질소함량은 Haganemu 및 부흥과 모든품종을 망라하였을 때 종실중의 단백질 함량과 유의적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4. 종실중의 단백질 함량은 질소 시용량의 증가에 따라 l~3%정도 증가 하였으며 드릴파 재배의 경우에는 코든 질소수준에서 관행파의 경우보다 약간 낮았다. 5. 등숙기간의 차광처리는 종실내의 단백질 함량을 감소시켰다.

  • PDF

고단백 대두 품종 육성을 위한 종실의 생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단백질의 축적과 전기영동 유형을 중심으로 (Studies on the Biochemical Features of Soybean Seeds for Higher Protein Variety -With Emphasis on Accumulation during Maturation and Electrophoretic Patterns of Proteins-)

  • 이종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35-166
    • /
    • 1977
  • 본 실험은 대두 단백질의 생화학적 특성을 품종면에서 밝혀 고단백 대두 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를 보강코저 실시하였다. 광범위한 재래종을 포함한 우리나라 품종 46, 일본 품종 9, 미국계 품종 31등 도합 86품종을 동일조건에서 재배하여 종실의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회분 함량 및 아미노산 조성의 품종간 변이, 그들 성분 함량간의 상호관계, acrylamide gel 전기영동법에 의한 종실 단백질 구성분 조합의 품종적 특성 그리고 그들과 단백질함량 및 기타 성분함량과의 상호관계를 분석 추구하였고, 고단백 품종 서해 20호, 저단백 품종 Shelby 및 중간형 광교의 종실성숙중 단백질 및 지방의 축적, 단백질구성분들의 소장을 종실 발달과정과 관계하여 그 품종간 차이를 밝히고저 하였다. 1. 공시 86품종의 종실 성분함량은 단백질 34.4(Capital)~50.6%(서해 20호), 지방 15.0(소립종)~27.9% (Capital), 탄수화물26.1(서해 20호)~35.7% (수계 6001), 회분 4.8(Comet)~6.6%(금강소립)이었다. 2. 단백질함량은 지방함량 및 탄수화물함량과 각각 -0.73$^{**}$ 및 -0.62$^{**}$ 고도의 부상관이 있었다. 공시 전품종중 단백질 및 지방함량이 모두 평균치이상인 품종은 13품종에 불과하였으며, 두 성분 모두 평균함량+표준편차 이상의 고단백 고지방인 품종과 평균함량+표준편차 이상의 고단백이면서 평균 지방함량을 갖고 있는 품종은 없었다. 3. 단백질함량 50.6~40.0% 범위에 있는 12품종에 대한 단백질의 필수아미노산 함유율은 32.82(Hill)~36.63%(부석)이었고 제한 아미노산인 함황 아미노산 함유율은 2.09(쥐눈콩)~2.73%(봉의)의 변이를 보였으며, 봉의와 서해 20호는 고단백이며 함황 아미노산 함량도 높았다. valine과 leucine 및 aspartic acid, glycine과 glutamic acid, leucine과 aspartic acid 간에는 고도의 정상관, glycine과 serine, valine과 phenylalanine, threonine과 proline, phenylalanine과 arginine, methionine과 glutamic acid, histidine과 lysine 간에는 유의 정상관, 그리고 isoleucine과 lysine 간에는 유의한 부상관이 있었다. 4. lysine 함량은 단백질 함량과 정산곤, isoleucine 함량은 단빅질 함량과 부상관을 보였으며, alanine, valine, leucine 함량은 지방함량과 각각 유의한 정산관을 보였다. 5. 대두 단백질은 7.5% acrylamide gel 전기영동에 의해 품종에 따라 12~16개의 구성분으로 분리되었으며, 이들중 주구성분들은 상대이동도가 0.06(a), 0.14(b). 0.24(d) 이었고, 구성분 b의 함량이 품종간에 가장 변이가 컸으며, 구성분 b는 그밖의 주요 구성분들의 함량과 부의 상관이 있었고, 구성분 a는 단백질 함량과 정상관이 있었다. 6. 종실단백질 구성분들의 조합 특성 면에서 공시 86품종은 11개 유형군으로 분류되었으며, 우리나라와 일본품종은 미국품종에 비해 단백질구성분 조성이 훨씬 다양하였다. 7. 이동도가 매우 빠른 단백질 구성분 o(Rm 0.77) p(Rm 0.81)를 모두 갖고 있는 품종은 3품종, 모두 갖고 있지 않은 품종은 1품종이었고, 나머지 82품종은 o나 p중 한 구성분을 갖고 있었으며 그 분포율은 30 : 65 이었는데 미국계 품종은 우리나라 품종에 비해 구성분 o를 간고 있는 비율이 현저히 적었다. 8. 대두 종실은 개화후 22일까지 완만히, 그 이후 20~30일간 급속히 직선적으로, 그후 5~15일간 서서히 건물중이 증가되어 최고에 달하고, 개화후 12일부터 27일까지 단백질함량은 급격히 감소되는 반면 지방함량은 급격히 증가되고 그 이후부터 개화후 40~47일까지는 단백질과 지방함량 모두 서서히 증가된후 성숙기까지 큰 변이가 없었다. 9. 고단백 품종 서해 20호는 광교 및 Shelly에 비해 전 성숙기간에 대한 비율로 보아 성숙 초기의 단백질함량 감소기간이 짧고 감소율도 적었으며, 그 후 단백질함량 증가기간이 길고 증가율도 큰 특성을 보였으나, 지방 축적은 일찍 정지되었다. 저단백 고지방 품종 Shelly는 서해 20호 및 광교에 비해 전 성숙기간에 대한 단백질함량 감소기간이 길고 증가기간은 짧았으며, 지방함량의 완만한 증가기간이 상대적으로 특히 길었다. 11. 대두 종실의 성숙중 단백질 구성분 변화 정도은 품종간차가 뚜렷하였고, 완숙 종실의 단백질 구성분들이 모두 출현하는 시기는 종실의 단백질함량의 감소가 끝난 시기와 대체로 일치되었으며, 완숙종실에서 나타나지 않는 상대이동도가 가장 작은 (Rm 0.03) 단백질이 개화후 17일까지 존재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없었다. 12. 고단백 품종 서해 20호는 광교 및 Shelby에 비해 단백질 구성분 a의 조성비율이 성숙 초기에서부터 계속 높았고 개화후 47일까지 계속 증가되었으나, 광교의 Shelby에서는 구성분 a의 조성비율이 개화후 27일경 이후 거의 변화되지 않았다. 13. 단백질 구성분 b의 조성비율은 개화후 17일~42일 간에 계속적으로 증가되었는데, 고단백 품종서해 20호는 광교 및 Sheby에 비해 동기간에 그 증가율이 낮았다.

  • PDF

수도 고단백계통 육성을 위한 기초적 연구 -VI. 미립내 단백질과 Amylose함량의 재배시기 및 년차에 따른 변이- (Basic Studies for the Breeding of High Protein Rice -VI. Varietal variation of protein and amylose content of rice in response to cultural season and year-)

  • 허문회;서학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0권
    • /
    • pp.142-147
    • /
    • 1975
  • 출수기와 성숙기가 다양한 계통포장에서 저 Amylose, 고단백계통을 선발하고자 할때 그 기준을 세우기 위한 한 방법으로 재배시기에 따른 Amylose 및 단백질함량의 계통간 변이양상을 구명하고자 포장과 온실에서 수차 또는 수년간 재배된 시료의 Amylose와 단백질함량의 계통간 변이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생계통을 동일한 비료수준에서 시기를 다르게하여 포장에서 재배할 경우 단백질함량은 생육기간과 부의 상관이 있었고, 조기<보통기<만기재배 순으로 증가되었다. 2. 포장에서 재배시기가 다를 경우 Amylose 함량은 출수기가 늦어질수록 높아졌으나 생육기간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었다. 3. 온실내에서의 수확시기에 따른 단백질함량의 변이는 품종에 따라 달랐으나 3월부터 10월까지는 품종간 차이가 컸다. 4. 온실내에서 저 Amylose품종의 Amylose함량은 수확시기에 따라 변이가 컸고, 7월에 가장 낮았다. 고 Amylose계통은 수확시기에 따른 변이가 적었다. 5. 년차에 따라서 단백질함량은 변이가 적었다. Amylose함량은 저 Amylose계통에서는 고온인 해에 낮았으나, 고 Amylose계통에서는 년차에 따른 변이가 적었다.

  • PDF

꽃사슴의 단백질 요구량에 관한 연구

  • 양시용
    • 월간한국양록
    • /
    • 18호
    • /
    • pp.2-10
    • /
    • 1993
  • 본 시험은 3마리의 2년생 famale sika deer에게 동일한 에너지 수준하에 단백질 함량($7\%,\;12\%\;17\%$)이 각기 다른 사료를 급여하였을 때, 사료 영양소의 이용성 변화 및 체내 N 대사, 유지를 위한 단백질 요구량, 대사성 분질소 함량 등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DM, OM, ADF의 소화율을 사료내 단백질 함량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P>.1), CP의 소화율은 사료내 단백질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향상되었다(P<.05). 2. 사료내 단백질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분과 뇨로의 N 배출량 모두 증가하였으며(P<.05), 사료내 단백질 수준이 7, 12, $17\%$ 이었을 때 N retention은 각각 26.9, 31, 8, $38.9\%$였다. 3. 혈증 urea-N 함량은 사료내 단백질 함량의 증가에 따라 현저하게 증가하였다.(P<.05) 4. Famale sika deer의 유지수준의 단백질요구량(protein requirement for maintenance)은 $1.81g/kgW^{0.75}/d$다. 5. 대사성 분 질소(metabolic facal N)함량은 $0.32g/kgW^{0.75}/d$였다.

  • PDF

돌둠사료의 적정 단백질 및 지질 함량 (Optimum Dietary Protein and Lipid Levels on Growth in Parrot Fish (Oplegnathus fasciatus))

  • 강용진;이상민;황형규;배승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0
    • /
    • 1998
  • 돌돔 사료의 적정 단백질 및 지질 함량을 구하기 위해 북양어분과 카제인을 단백원으로 하여 사료의 단백질 함량이 30, 40, 50 및 60%가 되도록 하고, 각 단백질 함량에 지질 함량이 8 및 16%가 되는 8종의 실험사료로 평균체중 7 g의 돌돔을 대상으로 8주간 사육 실험하였다. 사료의 단백질 함량에 따른 증체율 및 사료효율은 사료지질 8% 수준에서 사료단백질이 40% 이상인 사료구에서는 사료단백질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차 있게 증가하였으며(P<0.05), 사료지질 16% 수준에서는 사료단백질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다가, 사료단백질 50% 이상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사료지질 16% 수준에서 broken line model을 이용하여 증체율을 지표로 하여 돌돔의 적정 단백질 요구량을 구한 결과 46%로 추정되었다. 사료의 지질 함량에 따른 증체율은 사료단백질 40 및 50% 수준에서 고지질 사료구(16%)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사료효율은 모든 사료단백질 수준에서 고지질 사료구(16%)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단백질 효율 및 단백질 축적율은 모든 사료단백질 수준에서 고지질 사료구가 높았다. 따라서 성장과 사료효율을 기준으로 볼 때 돌돔 사료의 적정 지질 함량은 16% 전후로 추정되었다. 전어체 및 등근육의 성분에서 단백질은 사료의 단백질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다가 사료 단백질 40% 이상에서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지질은 모든 사료단백질 수준에서 고지질 사료구가 높았다. 간 및 내장의 성분에서 단백질은 사료의 단백질 함량에 따라 뚜렷한 경향이 없었지만, 지질은 모든 사료단백질 수준에서 고지질 사료구(16%)가 높았다.

  • PDF

수도 고단백 계통육성을 위한 기초적 연구 III. 질소, 인산, 가리의 시용이 미립내 단백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Basic Studies for the Breeding of High Protein Rice III. Effect of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fertilizers on the protein content in rice kernels)

  • 허문회;김광호;서학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5권
    • /
    • pp.123-128
    • /
    • 1974
  • 질소, 인산 및 가리비료 시용량에 따른 단백질함량의 변이를 추구하여 고단백계통육성시 선발효율을 높이고저 계통포장에서 질소시용량을 달리한 경우와 저단백 및 고단백계통을 삼요소영년비료시험구와 인산 및 가리시용량을 달리한 포장에 재배하여 현미내 단백질함량변이를 검토하였다. 1. 질소시용량을 증가시켜 줌에 따라서 현미내 단백질함량은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계통에 따라 변이양상의 차이가 있었다. 2. 계통간단백질함량의 변이는 질소시용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커졌고 저단백계통군에 비하여 고단백계통군의 질소시용량에 따른 변이가 더 컸다. 3. 질소비료시용량에 따른 단백질함량의 변이양상이 계통간에 차이가 큰 것을 고려하여 전계통중20% 정도의 고단백계통을 선발하면 유전적으로 단백질함량이 높은 계통을 안전하게 선발할 수 있다. 4. 실제 논 토양에서 비료의 삼요소중 단백질함량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은 질소성분이며 인산 및 가리비료의 영향은 아주 적었다. 5. 인산 및 가리비료 시용량에 따른 단백질함량의 변이는 극히 적었다. 따라서 고단백계통선발시 인산 및 가리비료에 의한 환경변이는 고려하지 않아도 좋을 것이다.

  • PDF

메기, Parasilurus asotus 사료의 최적 단백질 함량 (Optimum Protein Levels in Diet for Fingerling Korean Catfish, Parasilurus asotus)

  • 강석중;정우건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7-53
    • /
    • 1993
  • 새로운 양식 대상종으로 메기의 생산량 증가를 위하여 사료 중 최적 단백질 함량을 설정 하고자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균 체중 약 7g되는 메기 치어의 체중은 사료중 단백질 함량 $25\%\~55\%$ 사이에서 단백질 함량이 높은 사료를 공급할수록 증가하였으나, 근육 단백질의 증가는 $45\%$ 부근에서 최고치에 달하였으며, 그 이상으로 사료 단백질 함량을 증가시켜도 변화가 없었다. 단백질 효율 및 정미단백 이용율은 $25\%$ 부근에서 최고치에 달했지만 $45\%$ 부근에서 일시적으로 증가하여 단백질 함량 $45\%$ 실험구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멸치분을 단백질 원으로 하였을 때 메기 치어 사료의 최적 단백질 함량은 $45\%$로 사료된다.

  • PDF

생육환경이 다른벼의 단백질 함량변이 (Variability of Protein Content in Rice Grown at Several Different Environments)

  • 허문회;이춘영;최진용;김수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9-84
    • /
    • 1969
  • 쌀 단백질 함량의 품종과 환경에 따른 변이를 알고자 한국재래품종 11, 한국에서 육성된 현장려품종 12 및 일본에서 도입된 현장려품종 10, 합계 33 품종을 보통재배하고, 한편 Indica 2품종과 Japonica 2품종을 유기물과 질소시용량을 달리하여 재배하고, 이들 현미의 질소를 분석하여 이것을 단백질 함량으로 환산하여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1개 재래품종군의 단백질 함량은 평균 6.82%, 국내에서 육성된 장려품종군의 평균은 6.51%, 도입된 장려 품종균의 평균은 6.40%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재래 품종군이 높은 편이었다. 2. 대체로 조생종일수록 단백질 함량이 높은 경향이었으며, 공시된 Indica 품종들이 단백질함량은 현저하게 높았다. 3. 질소비료의 증시는 단백질 함량을 현저하게 증가시켰지만 유기물과 석회의 시용은 거의 영향이 없었다. 4. 수확기가 늦어질수록 단백질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5. 재식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단백질함량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나 본시험의 밀도범위에서는 각 품종들은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 PDF

광학센서를 이용한 쌀 단백질 함량 추정 (Estimation of the grain protein contents in rice canopy from the active optical sensors)

  • 김이현;홍석영;이지민;임상규;곽한강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8-22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광학센서를 이용한 벼 군락의 질소수준별 생육단계별 식생지수와 쌀 단백질함량과의 관계를 구명하여 쌀 단백질함량을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질소의 경우 0, 7, 10, 13kg/10a등 4수준으로 범위를 두고 처리하여 인공광원을 사용하는 2종의 능동형 광학(G)NDVI 센서를 이용하여 벼 군락의 반사특성을 측정하였고, 동시에 식물체의 생육량, 엽면적지수, 엽 질소함량 등을 분석하였다. 생육단계에 따른 식생지수 변화를 분석해 본 결과 (G)NDVI값은 이앙기 이후 급속히 증가하다가 수잉기 전후로 수확기에 이르기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질소 수준에 따른 식생지수 변화의 경우 무처리구를 제외하고는 처리수준별 G(NDVI)값이 큰 변이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처리 수준에 따라 일정하게 식생지수 차이를 보였다. (G)NDVI값 과 엽질소 함량과의 시기별 상관분석 결과 유효분얼기, 유수형성기 보다는 출수기, 결실기에 엽 질소 함량과의 상관이 더 높게 나타났고, GNDVI값이 NDVI값보다 상관이 더 높게 나타났다. 출수 후 쌀 단백질 함량과 엽 질소 함량과의 관계를 조사해보았는데 높은 정의 상관관계($r=0.96^{**}$)를 보였다. 출수기에서 수확기까지 자료를 이용한 각 시기별 G(NDVI)값과 쌀 단백질 함량과의 상관분석 결과 수확기에 가까울수록 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GNDVI값을 이용한 수확기 쌀 단백질 함량 추정식($R^2=0.92$)을 작성하였고, 쌀 단백질 함량 추정값과 실측값을 비교해보았더니 1:1선에 근접하게 분포하였다($R^2=0.90$).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