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단백질소화

검색결과 392건 처리시간 0.024초

Pepsin농도와 소화시간이 우피분의 단백질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psin-HC$\ell$ Concentration and Digestion Time on the Protein Digestibility of the Cattle Skin Meal)

  • 김대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17
    • /
    • 1984
  • 동물성 단백질사료인 가수분해 우피분을 16시간 pepsin-HC$\ell$용액 농도별 (0.2%, 0.1%, 0.05%) 0.025%, 0.0125%과 0.2% pepsin-HC$\ell$ 소화시간별 (4, 8, 12, 16, 20시간)로 45$^{\circ}C$ incubator에서 소화시키고 0.75 N HC$\ell$로 acid blank value를 보정하여 in vitro pepsin-HC$\ell$ 단백질 소화율을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0.2% pepsin-HC$\ell$에서 4, 8, 12, 16, 20시간 소화시 단백질 소화율은 각각 66.31 %, 80.69%, 83.27%, 84.65%, 87.45%로서 80% 이상의 소화시간은 8시간이었고 시간이 증가하면 소화율도 향상되었다. 2. Pepsin-HC$\ell$농도 0.2%, 0.1%, 0.05%, 0.025%, 0.0125% 수준에서 16시간 소화시 단백질 소화율은 각각 85.10%, 82.08%, 76.18%, 74.67%, 64.82%로 pepsin-HC$\ell$농도가 낮아질수록 단백질 소화율도 낮아졌다.

  • PDF

가잠의 소화액 Amylase 활성에 미치는 인공사료중 당 및 단백질 함량의 영향 I. 5영기에 있어서 사료중 단백질 함량이 유충의 증체양, 사료방률 및 소화액 Amyl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bohydrate and Protein Components of Artificial Diet on Amylase Activity of Digestive Juice in the Silkworm, Bomyx mor L. I. Effect of Protein Components of a Diet on the Increasing of Larval Body weight, Diet Efficiency and Amylase Activity of Digestive Juice during the 5th instar)

  • 문재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7-65
    • /
    • 1974
  • 5령기에 있어서 사료중 단백질 함량이 유충의 증체량, 사료방률에 미치는 영향과 간접적으로 유충의 소화액 Amyl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상엽분말을 넣은 인공사료를 사용해서 단백질 급원으로 Soybean meal함량에 따라 6종의 사료를 만들어 누에를 사육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사료중 단백질 함량의 증가에 비례하여 유충의 증체량도 비례하여 많았다. 2. 사료중 단백질 함량의 증가에 비례하여 전견중 및 견층중도 비례하여 무겁다. 3. 사료중 단백질 함량의 증가에 비례하여 유충의 소화양 및 소화율도 비례하여 높았다. 4. 사료중 단백질 함량의 증가에 비례하여 유충의 사료방률도 비례하여 높았다. 5. 그러나 사료중 단백질 함량의 증가와 유충의 소화액 Amylase 활성 간에는 일정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 PDF

상잠의 형액과 소화액에 있어서 단백질과 Amylase 활성에 관한 전기영동적 연구 (Electrophoretic Studies on Haemolymph Protein, Digestive Fluid Protein and Digestive Amylase Activity in the Wild silkworm, Theophila mandarina.)

  • 문재유;박광의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7-41
    • /
    • 1985
  • 이 연구는 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법을 사용해서 상잠의 5령 3일째 유충 및 가잠의 5령 3일째 유충에 있어서 혈액, 소화액 단백질의 전기 영동상과소화액 amylase 활성을 조사하였다. 1. 상잠의 혈액에 있어서 자유충에서는 6본의 주요 단백질 band가 검출되었으며 웅유충에서는 7본의 주요 단백질 band가 검출되었다. 그러나, 가잠에 있어서 암누에에 있어서는 8본, 숫누에에 있어서는 7본이 검출되었다. 상잠과 가잠과의 혈액단백질의 전기영동상에 있어서 다소의 차이가 있었다. 2. 상잠의 소화액에서 15본의 단백질 band가 검출되었으며 가잠에서는 12본의 단백질 band가 검출되었다. 상잠과 가잠과의 소화액 단백질의 전기영동상에 있어서도 다소의 차이가 있었다. 3. 상잠의 소화액 amylase는 가잠과 같이 양극측 BPB 부근까지 강하게 이동하였으며 상잠의 소화액 amylase의 이동도는 0.019이고 가잠의 이동도는 0.020으로서 양종간의 이동도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 PDF

소프트콘택트렌즈 단백질제거제의 효능 평가법 분석 (Analysis of Evaluation Methods for the Efficacy of Protein Removal Agents for Soft Contact Lens)

  • 변현영;성형경;원혜림;심지인;박미정;김소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1-57
    • /
    • 2014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콘택트렌즈 단백질제거제 개발 시 요구되는 단백질 제거효능의 적절한 평가를 위한 시험법을 확립하고 이를 실제 콘택트렌즈에 침착된 단백질의 제거효율을 측정한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단백질제거제의 효능 평가법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대한약전에 제시된 단백소화력 시험법을 이용하여 파파인, 판크레아틴, 섭틸리신 A 및 프로테아제와 각각의 효소가 포함된 단백질제거 정 또는 용액의 효능평가에 적절한 시험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balafilcon A 재질 렌즈에 인위적으로 침착시킨 단백질을 시판되고 있는 단백질제거 정 또는 용액으로 제거하여 세척효율을 확인하고 이들 방법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판크레아틴과 판크레아틴 함유 제품의 경우 단백소화력 시험법으로 평가하였을 때 둘 다 약전에서 제시하는 판크레아틴 단백소화력 기준값인 28 IU/mg를 충족하였다. 프로테아제와 삼염화아세트산 B 용액으로 실험한 섭틸리신 A의 경우는 단백소화력 시험법으로 평가하였을 때 제조사에서 제시한 효소활성 값을 충족하였으나, 파파인과 삼염화아세트산 A 용액으로 실험한 섭틸리신 A는 제조사에서 제시된 효소활성 값에 해당하는 단백소화력이 측정되지 않았다. 시판되는 단백질제거제의 경우 판크레아틴을 함유한 제품을 제외한 나머지 세 가지 제품은 단백소화력 시험법으로는 제조사에서 명시한 효소들의 단백질 효소활성 값을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실제 렌즈에 침착된 단백질의 제거정도를 측정하였을 때에는 파파인을 함유한 제품을 제외한 3종의 단백질제거제는 모두 90%가 넘는 단백질 제거효율을 보였다. 파파인 함유 단백질제거제의 경우 단백소화력 시험법으로는 효능 측정이 불가능하였으나 실제 렌즈에 침착된 누액단백질 제거효율은 73.72%에 이르렀다. 결론: 본 연구결과로 콘택트렌즈 단백질제거제의 효능은 함유되어 있는 단백분해효소의 종류에 따라 시험법을 달리하여 평가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판크레아틴, 프로테아제, 섭틸리신 A를 함유하는 단백질제거제는 단백소화력 시험법과 단백질제거효율 측정법으로 효능평가가 가능하고, 파파인을 함유하는 단백질제거제의 평가는 콘택트렌즈를 이용한 단백질제거효율 측정법만이 효율적임을 제안할 수 있다.

조피볼락 치어 및 성어에서 분 수집 방법에 따른 영양소 소화율 (Evaluation of the Nutrient Digestibilities by Different Fecal Collection Methods in Juvenile and Adult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이상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2-71
    • /
    • 1997
  • 분 수집 방법에 따른 건물, 단백질, 지질, 에너지, 탄수화물 및 아미노산의 소화율을 어체 크기별로 측정하기 위해 산화크롬 $(Cr_{2}O_{3})$을 지표물질로 사용하여 표준사료와 단백질 무 첨가 사료를 제조하였다. 조피볼락 성어(평균체중: 300g)와 치어 (평균체중: 30g)를 대상으로 위, 장, 항문을 각각 절개한 방법, 항문 부위를 눌러서 분을 짜내는 방법과 배설된 분을 분 수집 통으로 수집한 방법을 사용하여 각 방법별로 각각 3 반복으로 실험하였다. 건물, 단백질, 지질 및 에너지의 소화율은 분 수집 방법에 따라 유의한 차이 (P<0.0001)를 보인 반면 어체 크기에 대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성어 및 치어 모두 위에서는 건물, 단백질, 지질 및 에너지가 전혀 소화 또는 흡수되지 않았고, 장, 항문 부위로 갈수록 유의하게 (P<0.01) 소화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성어에서 건물과 단백질의 소화율은 stripping한 것이 항문 부위에서 절개하여 채취한 분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인 반면 (P<0.01), 지질과 에너지의 소화율은 유의차가 없었다. 건물 소화율을 제외 한 단백질, 지질과 에너지의 소화율은 분 수집 장치에서 측정한 값이 항문 부위에서 stripping한 것보다 높았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01). 분 수집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된 표준사료의 소화율은 건물이 성어 $61\%$, 치어 $58\%$, 단백질이 성어 $94\%$, 치어 $93\%$, 지질이 성어 $96\%$, 치어 $94\%$, 에너지가 성어 $80\%$, 치어 $79\%$ 및 NFE (nitrogen-free extract)가 성어 $29\%$, 치어 $32\%$로 나타났다. 단백질 무 첨가 사료 (단백질 함량: $1.57\%$)를 먹인 실험어의 분에 단백질 함량이 성어는 $1.35\~1.41\%$, 치어는 $1.16\~1.33\%$ 함유되어 있어 사료의 단백질함량과 거의 비슷하거나 낮게 나타났다. 성어 및 치어 모두 아미노산 종류별로 소화율이 유의한 차이 (P<0.01)를 보였는데, 성어의 경우는 Met이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Cys과 Val이 낮은 값을 보였다. 그 외 아미노산의 소화율은 서로 유의한 차이없이 $93\%\~97\%$로 나타났다. 치어의 경우도 Met, Cys, His과 Val의 소화율이 다른 아미노산에 비해 낮은 값을 보였다. 본 실험의 결과로부터, 조피볼락의 외견상 소화율 측정은 stripping하거나 분 수집 통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소화 효소 저항성을 지니는 팥 단백질의 성질 규명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otease-Resistant Proteins from Adzuki Beans)

  • 송은정;박선민;왕췬;임진규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2권3호
    • /
    • pp.149-154
    • /
    • 2014
  • 1. Pepsin과 pancreatin 소화물들을 비교한 결과, 순수한 팥 단백질 중에서 소화효소 저항성을 가지는 단백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 팥의 주요 단백질을 제거하고 pepsin과 pancreatin으로 소화시켰을 때 더 많은 분해가 일어나는 것으로 보아 팥의 주요단백질들 중에 소화효소 저항성을 가지는 것이 많을 것이라 추측된다. 3. 팥의 주요 단백질들은 장 점막세포와는 크게 작용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팥 단백질의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팥 단백질이 다른 영양소들과의 상호작용을 하는 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사료 내 송이의 첨가가 돌돔 Oplegnathus Fasciatus과 넙치 치어 Paralichthys olivaceus의 성장 및 단백질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Scoria on Growth and Protein Digestibility in Juvenile Parrot Fish Oplegnathus fasciatus an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고경용;임세진;김성삼;오대한;이경준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33-138
    • /
    • 2008
  • 돌돔 Oplegnathus fasciatus과 넙치 Pralichthys olivaceus를 대상으로 사료 내 송이(Scoria)의 첨가에 따른 사육효과 및 단백질 소화율을 알아보기 위해 2가지 실험이 수행되었다. 돌돔(초기평균무게: 7.6 g)을 대상으로 한 1차 사양실험에서는 사료 내 송이함량을 0%(Con), 1%와 2%를 첨가하여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9주간의 성장실험 결과, 송이 2%를 첨가한 실험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송이 1%를 첨가한 실험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해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단백질 소화율 측정 결과에서는 45.0%(Con), 60.6%(송이 1%), 64.0%(송이 2%)로 송이가 첨가된 실험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단백질 소화율을 나타내었다. 넙치를 대상으로 한 2차 실험은 1차 사양실험에서 확인되어진 증가된 단백질 소화율을 증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실험사료는 송이 0%(Con), 1%, 2%, 3%, 4%로 조성되었다. 2차 실험의 단백질 소화율 결과에서는 사료 내 송이를 1%(56.7%), 2%(65.5%), 3%(52.8%) 첨가한 실험구에서 대조구(43.5%)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이 보였다. 반면 송이 4%를 첨가한 실험구에서는 단백질 소화율의 값이 41.4%로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 2차 사양실험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해산어 배합사료 내 송이의 첨가는 사료 내 단백질 소화율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지며, 그 첨가함량은 $2{\sim}3%$ 내외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꽃사슴의 단백질 요구량에 관한 연구

  • 양시용
    • 월간한국양록
    • /
    • 18호
    • /
    • pp.2-10
    • /
    • 1993
  • 본 시험은 3마리의 2년생 famale sika deer에게 동일한 에너지 수준하에 단백질 함량($7\%,\;12\%\;17\%$)이 각기 다른 사료를 급여하였을 때, 사료 영양소의 이용성 변화 및 체내 N 대사, 유지를 위한 단백질 요구량, 대사성 분질소 함량 등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DM, OM, ADF의 소화율을 사료내 단백질 함량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P>.1), CP의 소화율은 사료내 단백질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향상되었다(P<.05). 2. 사료내 단백질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분과 뇨로의 N 배출량 모두 증가하였으며(P<.05), 사료내 단백질 수준이 7, 12, $17\%$ 이었을 때 N retention은 각각 26.9, 31, 8, $38.9\%$였다. 3. 혈증 urea-N 함량은 사료내 단백질 함량의 증가에 따라 현저하게 증가하였다.(P<.05) 4. Famale sika deer의 유지수준의 단백질요구량(protein requirement for maintenance)은 $1.81g/kgW^{0.75}/d$다. 5. 대사성 분 질소(metabolic facal N)함량은 $0.32g/kgW^{0.75}/d$였다.

  • PDF

쇠고기에 첨가한 마늘의 소화효과 (Effect of Garlic on the Digestion of Beef Protein during Storage)

  • 류홍수;류홍수;이강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47-454
    • /
    • 1991
  • 쇠고기 단백질 소화에 미치는 마늘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마늘첨가량, 숙성기간에 따른 효소소화율 및 소화저해물질(Trypsin Inhibitor, TI)의 변화를 실험하였다. 또한 효소 가수분해물의 gel여과 및 가용성부분의 질소량을 정량하여 단백질의 구조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소화율과 아미노산조성 결과를 토대로 예측소화율(Predicted Digestibility, P-dig.), 계산단백효율비(Computed Protein Efficiency Ratio, C-PER) 및 분별계산단백효율비(Discriminant Computed Protein Efficiency Ratio, DC-PER)를 계산하여 단백질 품질을 평가하였다. 쇠고기단백질 소화율은 첨가되는 생마늘량에 약간 영향을 받으나 최적 참가량은 첨가 후의 가열조건에 의하여 결정된다($96{\pm}1^{\circ}C$, 20분 가열시 쇠고기 : 마늘=100g : 12g, 60분 가열시 쇠고기 : 마늘=100g : 3g) 열변성된 쇠고기에 대한 생마늘의 효과는 없고, 날쇠고기육의 소화에는 생마늘의 효과만 인정되며 이미 가열된 쇠고기육의 소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날쇠고기를 $4~6^{\circ}C$에서 숙성시켰을 때, 최대의 소화율을 나타내는 시간은 마늘 첨가량에 따라 달라 날쇠고기 100g에 마늘 3g을 첨가할 경우에는(A) 8시간, 12g일 경우에는(B) 12시간이었다. 마늘과 함께 숙성시킨 쇠고기육은 (A)의 경우 $96{\pm}1^{\circ}C$에서 80분, (B)의 경우 20분 정도 가열했을 때 최대소화율을 나타내었다. Four-enzyme으로 가수분해한 숙성시료에는 2,200 dalton 정도의 저분자량의 peptid가 생성되어 소화가 용이함을 확인했으며, 가용성부분도 소화율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효소소화율에 비례하여 C-PER은 증가하여 C-PER 2.14(날쇠고기)에서 2.50(마늘과 함께 숙성시킨 시료)로 품질이 개선되었다.

  • PDF

한국산 생두류 및 익힌두류를 섭취한 흰쥐의 성장저해와 Methionine 및 단백질 첨가의 영향 (Growth Inhibition of Rats Fed Raw or Heated Korean Beans and the Effect of Methionine or Protein Supplementation)

  • 강명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8권2호
    • /
    • pp.126-138
    • /
    • 1985
  • 한국산 두류중 대두, 팥, 녹두 및 강남콩의 영양학적 가치를 흰쥐를 이용한 두차례의 동물실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첫번째 실험에서는 젖뗀 albino rat을 사용하여 단백질원을 모두 생두류 단백질로 하여 식이의 15 %가 되도록 하였으며 각 두류별 영양 저해 정도를 파악하고 이러한 저해가 두류의 methionine결핍인지 또는 methionine을 포함한 다른 아미노산들과의 복합적인 결핍인지를 알아보고자 각 두류별로 대조군, methionine첨가군, 단백질 첨가군으로 나누어 각각 methionine 0.18%와 북어 단백질 5%를 첨가해 준 후 4주간 사육하였다. 두번째 실험에서는 생두류 대신 익힌 두류를 사용하였으며 나머지는 첫번째 실험과 같은 조건으로 하여 영양저해 요인의 소실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각각의 실험에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식이섭취량, 체중, 식이와 단백질의 소화흡수율 및 식이의 효율 (FER), 단백질의 효율(PER)둥을 구하였고 췌장 무게를 측정하여 비대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두류 섭취군에서 성장저해가 나타났고 이 중 강남콩이 가장 심하여 100%의 치사율을 보였으며 팥도 대두와 녹두에 비해 심한 저해를 보였다. 이러한 성장저해는 methionine이나 북어 단백질 첨가에 의해 극복되지 않아 그 저해요인이 아미노산 결핍이라기 보다는 생두류중에 함유되어 있는 독성물질들로 말미암아 식이의 소화흡수율 및 단백질의 소화흡수율이 저하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 중 특히 생강남콩의 심한 성장저해 및 치사의 주원인은 hemagglutinin 으로 인한 흡수방해라고 생각된다. 2) 또한 생팥 섭취군에서 체중감소 및 치사등 성장저해효과가 생대두에서 보다 더 심하게 나타났는데 생팥의 성장저해의 일차 원인은 생강남콩과는 달리 tryp-sin저해제에 의한 단백질 소화방해라고 볼 수 있다. 또 생팥은 북어 단백질 첨가에 의해 이러한 소화흡수 저해현상이 뚜렷이 극복된 것으로 보아 methionine외의 여러 아미노산의 부족도 한 원인으로 생각할 수 있다. 3) 생두류 섭취군에서 췌장의 비대현상을 볼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현상은 methionine 첨가에 의해서는 방지되었으나 북어 단백질 첨가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4) 익힌두류를 섭취한 군들은 생두류 섭취군에 비해 체중이 증가하였고 치사율도 훨씬 감소하였으며 췌장도 비대해 지지 않아 두류독성물질인 trypsin저해제와 hemagglutinin은 파괴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겠으나 팥을 제외하고는 식이나 단백질의 소화율 및 효율은 크게 향상되지 않았다. 또 익힌두류에 methionine 이나 북어 단백질을 첨가하였을 때 식이의 효율 및 체중의 증가가 뚜렷하였으나 강남콩군 외에는 단백질의 소화 흡수율 및 효율은 크게 향상되지 않아 단백질의 소화 흡수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에 관한 연구가 집중적 으로 이루어져야 하리라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