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단말정보 표현언어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6초

모바일 웹 서비스의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단말정보 처리 시스템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Securing Interoperability of Mobile Web Service)

  • 김창수;최봉규;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185-1192
    • /
    • 2010
  • 최근 무선 네트워크의 기술의 발달에 따라 무선단말에서 다양한 콘텐츠의 요구 및 모바일 웹 서비스가 증대되고 있다. 모바일 웹 서비스경우 사용자들의 다양한 콘텐츠 요구나 서비스 사업자 또는 콘텐츠 제공자 모두에게 있어서 표준화된 정보에 의해 모바일 단말정보와 콘텐츠를 교환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기존의 서비스 사업자 기반의 단말정보 제공 방안과는 독립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모바일 웹 서비스에서 다양한 사용자 콘텐츠 서비스를 위해서 꼭 필요한 사항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단말정보의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고 최적화된 모바일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콘텐츠를 각기 다른 모바일 단말에 적합한 형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호환성 확보형 단말정보 표현 언어(Devices Description Language)를 제안한다. 제안한 단말정보 표현언어를 검증하기 위한 단말정보 처리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모바일 단말 정보 표현 언어 (A Mobile Device Description Language)

  • 김태현;이승윤;이강찬;이원석;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811-814
    • /
    • 2007
  • 무선 인터넷과 모바일 단말 제조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콘텐츠를 모바일 단말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각 단말들은 단말에 맞는 콘텐츠를 제공 받기위해 콘텐츠 제공자에게 HTTP 헤더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단말 정보 제공을 위한 표준이 없어 서비스망 외부의 콘텐츠를 사용할 때 이동통신사마다 다른 방식으로 단말 정보를 제공한다는 상호운용성의 문제가 있다. 국외에서는 국제 표준기구인 OMA(Open Mobile Alliance)의 UAProf(User Agent Profile)을 사용하여 상호운용성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러나 국내에서 UAProf을 사용하여 단말 정보를 제공하기에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지원 정보, 스마트카드 지원 정보, 외부 저장소 지원 정보 등에 대해 명시되어 있지 않아 완전한 단말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 환경의 모바일 단말에 최적화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단말 정보를 표현하는 모바일 단말 정보 표현 언어를 UAProf을 기반으로 설계하였다.

  • PDF

휴대단말용 다중 마크업 문서 파싱 시스템 설계 (Design of Multi-document Parsing System for Mobile Device)

  • 최은정;손지연;한동원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 (3)
    • /
    • pp.247-249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휴대단말용 유무선 통합 브라우저를 위한 다중 문서 파싱 시스템을 제안한다. 현재 유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단일화된 표준 마크업 언어가 없다. 따라서, 유무선 통합 브라우저를 설계하려면 이들 각기 다른 마크업 언어의 지원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모든 마크업의 공통 분모 격인 파서를 설계하였으며, 각기 다른 사양의 휴대단말에 적합하게 표현하기 위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파서는 마크업 언어의 그래픽 기능을 휴대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 형태의 결과물을 만들어 내다. 이 결과물은 추후에 브라우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과 연동될 것이다. 이러한 파싱 시스템은 브라우저로 하여금 모든 언어를 파싱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여러 언어 표준을 지원하려는 브라우저에 부담을 최소화시키는 기법이다.

  • PDF

모바일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Device Description Repository System)

  • 이영일;인민교;이강찬;이승윤;김창수;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B
    • /
    • pp.320-323
    • /
    • 2008
  • 모바일 단말의 성능 향상으로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이기종 모바일 단말간의 콘텐츠 표현성능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등의 측면에서 차이가 있어 단말에 종속적인 콘텐츠 개발을 강요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콘텐츠를 단말의 성능에 맞추어 재구성하는 적응화(Adaptation) 과정이 필요하다. 이때 적응화 과정에서 사용되는 단말의 성능 정보를 단말정보 표현 언어를 통해 기술하는데, 이 단말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콘텐츠 제공 서버(Contents provider)에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하는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Device Description Repository)의 부재 및 단말정보 데이터의 확보는 여전히 문제로 남아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단말정보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단말정보의 변환 방법을 제시하고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에 접근하기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를 화장하여 정의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모바일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 (Mobile Device Description Repository System)

  • 이영일;인민교;이강찬;이승윤;김창수;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2091-2096
    • /
    • 2008
  • 모바일 단말의 성능 향상으로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이기종 모바일 단말간의 콘텐츠 표현성능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등의 측면에서 차이가 있어 단말에 종속적인 콘텐츠 개발을 강요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콘텐츠를 단말의 성능에 맞추어 재구성하는 적응화(Adaptation)과정이 필요하다. 이때 적응화 과정에서 사용되는 단말의 성능 정보를 단말정보 표현 언어를 통해 기술하는데, 이 단말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콘텐츠 제공 서버(Contents Provider)에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하는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Device Description Repository)의 부재 및 단말정보 데이터의 확보가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단말정보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단말정보의 변환 방법을 제시하고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에 접근하기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를 확장하여 정의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모바일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 설계 (A Design of Mobile Device Description Repository System)

  • 이영일;이승윤;이강찬;인민교;이원석;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A
    • /
    • pp.819-822
    • /
    • 2008
  • 모바일 단말의 성능 향상으로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이기종 모바일 단말간의 콘텐츠 표현 성능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등의 측면에서 차이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콘텐츠의 적응화(Adaptation) 과정이 필요하다. 이때 적응화 과정의 기본 정보가 되는 모바일 단말정보를 프로파일(DDL : Device Description Language)로 기술하게 되는데, 이 모바일 단말정보 표현 언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단말정보를 저장하고 콘텐츠 제공 서버의 요청사항에 따라 검색 재조합 등의 과정을 거쳐 최적화된 형태의 프로파일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독립된 형태의 단말정보 저장소(Device Description Repository)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모바일 단말 정보 처리 시스템 (A System of Mobile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 방진숙;이승윤;이강찬;이원석;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2135-2142
    • /
    • 2007
  • 무선 인터넷과 모바일 단말 제조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콘텐츠를 모바일 단말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각 단말들은 단말에 맞는 콘텐츠를 제공 받기위해 콘텐츠 제공자에게 HTTP 헤더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단말 정보 제공을 위한 표준이 없어 서비스망 외부의 콘텐츠를 사용할 때 이동통신사마다 다른 방식으로 단말 정보를 제공한다는 상호운용성의 문제가 있다. 국외에서는 OMA(Open Mobile Alliance)의 UAProf(User Agent Profile)을 사용하여 상호운용성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러나 국내에서 UAProf을 사용하여 단말 정보를 제공하기에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지원 정보, 스마트카드 지원 정보, 외부 저장소 지원 정보 등에 대해 명시되어 있지 않아 완전한 단말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 환경의 모바일 단말에 최적화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단말 정보를 표현하는 모바일 단말 정보 표현 언어에 대해 UAProf을 기반으로 확장 설계하였으며, 이에 기반한 콘텐츠 Adaptation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u-GIS 컨텐츠를 위한 ugcML 언어의 설계 (Design of ugcML for u-GIS contents)

  • 박장유;하태석;남광우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8년도 공동추계학술대회
    • /
    • pp.309-312
    • /
    • 2008
  • 공간 정보 기술과 컴퓨팅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공간 정보 컨텐츠는 날로 다양해지고 있다. 본 논문은 u-GIS의 웹2.0 및 유비퀴토스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정보를 다양한 단말 플랫폼에서 개인 맞춤형 정보를 표출 및 활용할 수 있는 컨텐츠를 지원하기 위한 마크업 언어인 ugcML의 컨텐츠 모델과 스키마를 설계하고 있다. 제안된 ugcML 컨텐츠 모델은 KML과 유사한 다양한 지리 정보, 위치 정보, 사진 정보등의 각각의 정보를 융합하여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 PDF

SADL 저작도구에서 Block Layout Editor 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Block Layout Editor on SADL Authoring Tool)

  • 배효철;윤경로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43-245
    • /
    • 2012
  • 다양한 크기의 화면을 가진 타블릿 PC, 스마트폰, PC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기존 웹페이지의 수정 및 추가가 불가피해졌다. 하나의 원본으로 다양한 장치에 표현하고자하는 (One Source Multi Use) 요구사항과, 사용자에 맞춤형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요구가 급속도로 높아지고 있고, 그에 따른 표준화가 진행되어 왔다. Scalable Application Description Language (SADL) 은 이런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언어이고, SADL 저작도구는 이러한 언어의 작성을 사용자가 쉽고 직관적으로 하는 것을 돕기 위해 개발한 도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SADL 저작도구에서 Block Layout Editor (BLE)의 설계 요구사항과, 그에 따른 구현결과를 설명한다. 또한 다양한 화면 크기의 단말을 위한 정보 (Delivery Context) 가 어떻게 사용되고, 화면에 표현되는지 설명한다. 앞으로 다양한 화면크기의 단말이 출시될수록, BLE 의 중요성은 더 증가할 것이고, 저작도구의 필수 요소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 PDF

WIPI 기반의 모바일 단말을 위한 내장형 XML 파서 및 뷰어 (An Embedded XML Parser and Viewer for WIPI-Based Mobile Devices)

  • 강미연;김도완;정원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 (B)
    • /
    • pp.865-867
    • /
    • 2004
  • 유무선 인터넷의 발달로, PDA, 셀룰러폰, Hand-held PC 등 low-end로부터 high-end까지의 다양한 규모의 하드웨어 자원을 가지는 유무선 단말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웹 상의 점보 표현을 위한 표준으로 자리잡은 확장성 표기 언어인 XML을 위한 파서 및 뷰어는 그러한 단말에서의 자료 브라우징을 위해 필수적으로 임베딩 되어야할 소프트웨어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모바일 표준 플랫폼 규격으로 채택된 WIPI 기반의 모바일 단말에 내장되어 수행되는 소규모 모듈 기반의 XML 파서가 설계, 구현되며, 그 응용으로 간단한 전자책 뷰어가 구현된다. 본 XML 파서는 경량급으로 셀룰러 폰과 같은 소규모 단말로의 내장을 위해 유용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