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말장치

Search Result 39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Signal Power Limitations of Terminal Equipment (단말장치의 송출전력기준 동향 분석)

  • Kim, Y.T.;Koo, B.H.;Sohn, 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8 no.3
    • /
    • pp.95-107
    • /
    • 1993
  • 단말장치의 송출전력기준은, 단말장치 이용자가 음성통화 이외에 사용하는 신호에 대해서 송출되는 레벨의 크기를 크게 하여 교환기의 과부하 및 다른 회선으로의 누화 등을 야기시켜 타 이용자에게 피해를 끼칠수 있어 그 레벨의 허용범위를 규제한 것으로, 단말장치 인증(형식승인)시 적용되는 기술기준 항목중의 하나로 활용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단말장치 송출전력에 대해 적용하고 있는 각국의 기준치와 그에 따른 측정방법등에 대한 동향을 조사분석하였다.

Study on the technical regulation of terminal equipments attatched to wire-line telecommunication network (유선통신망에 접속되는 이용자 단말장치에 대한 국가 기술기준에 관한 고찰)

  • Kim Yong-Hwan;Cho Pyung-Dong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334-337
    • /
    • 2004
  • 전화망을 기반으로 한 우리나라의 공중 통신망이 인터넷 서비스가 도입되면서 이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장치도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전기통신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단말장치에 대한 기술적 규제인 기술기준도, 통상의 아날로그 전화회선용 장치를 비롯하여 디지털 전송장치, 케이블모뎀, 이더넷인터페이스장치 ADSL모뎀 및 VDSL모뎀까지 새로운 단말장치의 등장에 보조를 맞추어 개정되어 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말장치에 관한 기술기준의 필요성, 법적 위치, 대상 장치의 변천 기술적 조건의 설정 개념 등을 파악하고, 규제 설정의 핵심인 기준 내용분석 등을 통하여 현행의 제도를 이해함과 더불어 앞으로의 기술적 조건에 대한 연구 방향을 모색한다.

  • PDF

An algorithm to maximize the service ratio in VOD systems (VOD 시스템에서 최적의 서비스 허용을 위한 콘텐츠 저장 알고리즘)

  • Jung, Ji-Chan;Go, Jae-Doo;Song, Min-Seok;Sim, Jeo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b
    • /
    • pp.592-597
    • /
    • 2008
  • VOD 서버에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말장치의 종류가 다양해짐으로 인해 VOD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해야 하는 해상도의 종류 역시 다양해지고 있다. 단말장치가 서비스를 요청할 때 서버는 단말장치에 맞는 해상도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데 대개의 경우 서버의 용량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비디오별로 모든 해상도를 저장하고 있을 수는 없다. 단말장치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해상도를 요청한 경우라면 바로 서비스가 가능하다. 하지만 단말장치가 서버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해상도를 요청해 왔다면 저장되어 있던 파일을 이용해 해상도를 변환한 후 서비스를 해주어야 한다. 만약 서버가 해상도를 변환하는 빈도가 높아 CPU 가용률이 충분하지 않다면 다른 단말장치들의 서비스 요청에 바로 응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서버에 저장되는 파일들을 CPU 사용률을 줄일 수 있는 해상도의 파일들로 저장하여 CPU 가용률을 높인다면 보다 많은 단말장치의 요청을 허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정된 저장 용량을 가진 VOD 서버가 단말장치의 서비스 요청들을 최대한 허용하기 위해 저장해야 할 각 비디오의 버전들을 분기한정 기법을 이용하여 찾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 PDF

Analysis on the Application of Tele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for type Approval (형식승인 대상 전기통신 단말장치의 적용현황 분석)

  • Kim, Y.T.;Park, K.S.;Lee, S.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0 no.2 s.36
    • /
    • pp.125-135
    • /
    • 1995
  • 형식승인제도는 몇년 전까지만 해도 전기통신 단말장치에 대한 정부의 고유한 통제와 권한의 영역이라고 생각할 만큼 규제 일변도의 정책 차원으로 다루어졌으나, 최근 통신시장 개방화 및 세계화 등과 같은 국제적인 통신환경을 반영한 단말장치의 통신망 접속 자유화가 실현됨에 따라 새로운 대내.외의 경쟁적 환경 위에서 운영하게 되었다. 특히, 최근에 각국은 다른 국가와의 형식승인 상호인정을 고려하면서 전기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능동적 및 포괄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전기통신 단말장치의 형식승인 적용 분류체계를 재조명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선진국의 형식승인 적용 대상 단말장치의 범위와 기능 및 용도별의 분류체계를 분석하여 항목별로 선정되고 있는 국내 형식승인 적용 대상 단말 장치의 분류체계를 선진국 수준의 기능 및 용도별로 개선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ccess Station/User Equipment Modem Diagnostic and Monitor Apparatus for High Speed Mobile System (초고속 무선 전송 시스템 기지국/단말 모뎀 진단/감시 장치의 설계 및 구현)

  • Jang, J.D.;Park, H.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1 no.2 s.98
    • /
    • pp.170-183
    • /
    • 2006
  • 모뎀 진단/감시 장치(DM)는 기지국 DM 데이터 수집부와 단말 DM 데이터 수집부로각각 구분되어 DM 장치 내에서 기지국/단말 모뎀 플랫폼을 수용한다. 기지국 변조기, 기지국 동기, 기지국 채널 디코더, 기지국 복조기의 데이터는 기지국 DM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하고, 단말 변조기, 단말 동기, 단말 채널 디코더, 단말 복조기의 데이터는 단말 DM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하여 각각 수집된 데이터를 호스트 PC에서 분석하여 물리 계층 송수신 데이터 및 각종 통계 정보를 사용자 및 운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GUI로 화면에 표시해 준다. 모뎀 진단/감시 장치(DM)는 무선 전송 시스템(HM20)MIMO 구조 기지국/단말 모뎀의 물리 계층에 대한 상태 진단 및 감시 기능을 수행하여 모뎀 개발 과정에서 개발자에게 디버깅을 쉽게 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된다. 또한 기지국 모뎀과 단말 모뎀의 유지 보수시 오류 발견을 위한 장치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전기통신 단말장치 시험방법 표준의 소개

  • 김용환
    • TTA Journal
    • /
    • s.57
    • /
    • pp.35-43
    • /
    • 1998
  • 정보통신부는 최근 전기통신망에 접속되는 단말장치에 관련한 기술기준을 획기적으로 개정하였다. 이는 초고속정보통신망 등의 기술 발전 추세를 반영하고, 우리나라가 참여하고 있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기구(APCE :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가 추진하고 있는 단말장치 형식승인에 대한 상호인정협정(MRA : 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에 대비하기 위함이었다. 이에 따라 개정된 기술기준을 적용하는 시험방법을 우리나라 단체 표준으로 제정하게 되었다. 이 표준은 단말장치의 제조자, 형식승인 지정시험기관 등의 형식승인 시험업무에 유익하게 사용될 것이다.

  • PDF

단말장치의 전자파간섭 기술기준 및 측정방법 조사분석

  • Kim, Yeong-Tae;Jo, Gwang-Yun;Kim, Yong-Hwan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4 no.4
    • /
    • pp.65-77
    • /
    • 1989
  • 기술발전에 따라 정보통신용 단말장치들은 거의 모두 디지틀기술에 의존하고 있다. 이 디지틀기술은 복잡, 다양하고 지능적인 기능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반면 전자파간섭(EMI)이라는 전자파잡음을 발생시켜 무선수신기, TV등에 수신장애를 야기시킨다. 본 고는 무선단말장치를 제외한 단말장치에 대하여 전자파간섭의 국제기술기준을 조사분석하고 그 측정방법을 기술하였다.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echnical Regulation for Terminal Equipment connected to Wired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Facilities (방송통신 유선 설비에 접속되는 단말장치 기술기준 개선 연구)

  • Kim, Bong-Seok;Choi, Mun-Hwan;Cho, Pyung-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10a
    • /
    • pp.813-816
    • /
    • 2013
  • National Radio Research Agency(RRA) has legislated technical regulations of telecommunication equipments. These technical regulations are related to safety of operators and users, service quality, accessibility for the disabled, interoperability and network connection of terminal equipment. Also, RRA drives the establishment or amendment of technical regulations for terminal equipment considering the evolution of ICT technicology and diversification of services. In 2013, RRA researched the amendment of technical regulations in relation to terminal equipment, which are related to the measurement frequency for signal band power, unwanted signal power, pulse shape.

  • PDF

Study on the Revision of the National Technical Criteria on the Telephone Network Terminal Equipment (전화망용 단말장치에 관한 국가 기술기준의 개정 연구)

  • 김용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1998.11a
    • /
    • pp.87-91
    • /
    • 1998
  • 전기통신설비중의 이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장치에 관한 국가 기술기준은 수년간 안정적으로 운용되어 왔으나, 근래에 와서 기존의 아날로그 전화망 접속 위주의 기준 내용을 최근 기술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로 개정하며, 국가간 통신협상 및 통신기기 인증의 상호 인정 추진 등의 추세에 맞추어 외국 규격과의 조화를 도모하고, 정부의 규칙/고시와 통신사업자의 공시 둥으로 분산되어 구조적으로 산만한 체계를 단순화 보완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금년 초에 전면적인 개정이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개정된 단말장치에 관한 기술기준의 제정 개념과 각 기준의 내용을 설명한다.

  • PDF

고속광 PCM통신시스템을 위한 단말장치

  • 최갑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 /
    • v.6 no.4
    • /
    • pp.40-44
    • /
    • 1969
  • 실험적인 단일 챤넬 224Mbit/sec 광 PCM 단말장치의 설계를 기술하였으며 6328A에 동작하는 헬리움네온레이저를 사용한 단구장치에서 얻어진 데타를 제시하였다. 기본요소는 LiTaO 를 사용한 광 게이트이며 이것의 설계와 동작특성을 기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