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락전류

Search Result 437,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A properties of short circuit current of voltage applied PVDF (전압인가된 PVDF의 단락전류 특성에 관한 연구)

  • 김진식;김두석;이덕출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4 no.4
    • /
    • pp.354-360
    • /
    • 1991
  • PVDF는 현재까지 출현된 고분자 재료중 가장 좋은 가능성을 가진 고분자 재료이다. 시료에 일정시간 전압을 인가한 후 전압을 제거하고 시료양면을 단락하였을때 흐르는 단락전류는 일반적으로 인가 전아브이 극성과 반대 방향으로 감소한다. 본 연구에서는 PVDF의 단락전류가 짧은 시간동안 감소하다가 증가한 후 다시 감소하는 특이한 ABNORMAL SHORT CURREUT(Isa)를 규명하기 위하여 인가전압, 시료온도 및 고체 구조를 변화시키면서 단락 전류를 관측하고 PVDF의 열자격 전류특성을 분석하였다. PVDF의 단락전류 특성은 150.deg.C에서는 특이한 단락전류가 흐르지만 150.deg.C이하의 온도에서는 특이한 단락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이들 실험결과로 부터 특이한 단락 전류 Isa는 시료의 온도가 150.deg.C에서만 나타나고 전계 세기나 결정 구조에는 관계가 없음을 알았다. 그리고 Isa는 쌍극자의 재배향으로 흐르는 정상적인 단락전류 성분과 가동이온이 확산 혹은 드리후트에 의한 단락전류 성분이 중첩되어 관측된다는 모델을 제시할 수 있다.

  • PDF

저압 배선용차단기 차단용량 적용방법

  • 최형남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219 no.11
    • /
    • pp.37-41
    • /
    • 2000
  • 저압전로에 시설하는 과전류차단기는 이를 시설하는 곳을 통과하는 단락전류를 차단하는 능력을 가지는 것이어야 한다. 다만 그곳을 통과하는 최대단락전류가 10kA를 넘는 경우에 과전류차단기로서 10kA이상의 단락전류를 차단하는 능력을 가지는 배선용 차단기를 시설하고 그곳으로부터 전원측의 선로에 그 배선용차단기의 단락전류를 그 배선용차단기보다 빨리 또는 동시에 차단하는 능력을 가지는 과전류차단기를 시설하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PDF

The study for current limitation phenomena of Low-voltage circuit breakers (저압 차단기의 한류차단 현상에 대한 연구)

  • Oh, Joon-Sick;Na, Chil-Bong;Lee, Sung-Man;Im, Jong-Duk;Ham, Gil-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0.07b
    • /
    • pp.940-942
    • /
    • 2000
  • 전기설비에 있어서 저압회로의 과전류 보호기기로는 배선용 차단기, 기중 차단기, 한류 퓨즈, 전자 개폐기 등이 있으며, 이중 배선용 차단기의 중요한 차단원리인 한류차단원리 및 현상에 대해 상세한 분석이 필요하다. 단락이 발생하면 상당히 큰 단락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단락전류를 차단하는 경우 단락전류를 그대로 흐르지 않게 하여 본래의 단락전류를 작게 제어하면 차단시의 에너지는 작아진다. 본래의 단락전류를 작게 억제하여 차단하는 방법을 한류차단방식이라 하며 이러한 기구를 한류기구라 한다. 한류차단방식을 채용함으로써 동일 치수의 차단기라면 보다 큰 단락전류를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는 한류차단특성의 이론적 해석과 단락전류에 의한 전자기적 영향, 기계적인 영향, 열적인 영향을 설명하고 이러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한류차단 원리 및 방법을 설명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 PDF

무부하운전시의 철극동기기의 3상단락

  • 이면영
    • 전기의세계
    • /
    • v.10
    • /
    • pp.55-61
    • /
    • 1963
  • 본 논문에서 취급한 제동권선이 없는 철극선의 3상단락현상을 해명하는데 있어 우선 임의력율의 전류를 횡축분과 직축분으로 분리해서 취급하는 소위 Blonde의 2반작용법(two reaction method)를 썼고, 각종 Reactance를 표시하는데는 편리한 단위법(perunit notation)을 사용했으며, 전기자의 1상저항은 각종 Reactance ( $X_{x}$, $X_{q}$ )의 어느것 보담도 극소치임으로 실제계산에는 무시했으나 과도전류의 변화를 좌우하는 감쇠정수[decrement factor)에는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이 규명되었다. 해석결과로서 3상단락전류의 초기치는 특수치보다 훨씬 큰 이유로서 단락전류가 계자자속을 약하게 만들어 그 반동으로 계자회로에 일정자속을 유지하기 위하여 부문적으로 개자전류가 증대함을 알게되었고, 단락전류의 직축분과 횡축분의 구성분이 규명검토되었고, 발전기의 돌발단락저류는 일반적으로 직류분, 기본파교류분 및 제2조파등을 포함하나 그 전부가 시정수의 역수인 감쇠정수에 지배되어서 지수함수곡선에 따라 감쇠되어 결국에는 지속단락전류에 귀착한다는 사실과 3상단락은 평형단락사고임으로 영상전류는 영이며 각상과도전류의 위상차가 120.deg.라는 것엔 변함이 없다는 것과 끝으로 철극기를 정격속도로 운전해 놓고 이것을 여자해서 무부하전압을 수기시켜 그의 3상전단자를 돌연 단락해서 그의 과도전류의 파형을 Oscillograph로 촬영하면 본론에서 해석한 결과식의 그것과 일치하게 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것이다.

  • PDF

직류회로의 단락전류 계산⑴

  • 이성우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222 no.2
    • /
    • pp.30-36
    • /
    • 2001
  • 전회에 걸쳐서 AC 전력계통의 3상 단락전류와 1선 지락전류 및 계통접지 방식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본 장에서는 실제로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Batteries, Rectifiers, DC Generators 등으로 구성되는 DC System의 제반 특성과 고장전류 계산을 쉽게 이해하도록 해설하고자 한다.

  • PDF

Consideration On Short Circuit Tests For Evaluation Of Breaking Performance Of Current-Limiting Fuses (한류형 전력퓨즈의 차단성능평가 위한 단락시험에 관한 고찰)

  • Kim, Dae-Won;Suh, Yoon-Taek;Yoon, Hak-Dong;Jung, Hee-Jae;Kim, Maeng-Hy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07a
    • /
    • pp.543-545
    • /
    • 2003
  • 한류형 전력퓨즈는 계통의 단락사고로 고장 전류가 흐를 때 퓨즈내부에서 발생하는 저항에 의해 고장전류를 회로 고유의 단락전류보다 아주 적은 값으로 제한하고 최소 시간내에 차단하여 회로를 보호하므로 계통기기의 단락용량를 최소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류형 전력퓨즈의 단락전류 차단성능 평가를 위해 동작책무에 따른 차단성능을 규명하고자 단락발전기를 사용하여 단락전류차단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또한 차단과정에 따른 스트레스들이 단락시험 시 차단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고 있다.

  • PDF

Analysis of Short Circuit Characteristics for 1MVA Power Transformer (1MVA 전력용 변압기의 단락특성 해석)

  • Lee, Byuk-Jin;Ahn, Hyun-Mo;Hahn, Sung-Ch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109-111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선간단락 시 단락전류에 의한 전력용 변압기의 단락특성을 해석하였다. 변압기 사양은 1[MVA], 6,600/660[V] 단상 내철형 배전용 변압기를 사용하였으며, 변압기에 유입되는 단락전류를 회로방정식을 이용해 계산하였다. 단락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누설자속 밀도는 유한요소법을 이용해 계산하였고, 계산된 단락전류와 누설자속 밀도에 의해 권선에서 발생하는 축 방향과 반경방향 단락전자력을 계산하였다.

  • PDF

Surge current endurance evaluation of Thyristor (사이리스터(Thyristor)의 서지(Surge) 전류 내력 평가에 관한 연구)

  • Jeong, Jong-Kyou;Seo, Dong-Woo;Jung, Hong-J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20.08a
    • /
    • pp.253-254
    • /
    • 2020
  • High Voltage Direct Current (HVDC) 시스템은 고압 직류송전을 위한 시스템이다. 고압 직류 송전을 위해서는 전력변환기가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해주어야 하는데, 최근에는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Modular Multilevel Converter, MMC)가 많이 적용되고 있다. MMC는 다수의 서브모듈이 직렬로 구성되어 있으며 DC-link단에 대용량 커패시터가 없다. MMC의 심각한 사고 중에 하나는 DC측 전력케이블의 단락사고로 시스템에 따라서 수십 kA 정도의 사고전류가 AC측 CB(Circuit Breaker)가 열리기 전까지 수십 ms에서 수백 ms동안 흐른다. 만약 하프브릿지 회로의 서브모듈로 구성된 컨버터에 별도 보호장치가 없으면 단락전류는 서브모듈의 하단 다이오드를 통해서 흐르게 되어 소손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단락전류를 바이패스(by-pass) 시키기 위한 별도의 사이리스터를 추가하는데 이 기기의 사양은 DC 단락 전류를 충분히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이리스터의 서지 전류 내력을 평가하기 위해 사양을 분석하고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period ${\lambda}$/2 of the short current(Icc) by KTX36(300km/h) (KTX36호(300km/h) 단락전류의 반파장주기(${\lambda}$/2)에 관한 연구)

  • Park, Ki-Bum;Lee, Tae-Hoon;Lee, Gi-Chun;Jeon, Yong-J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1167-1168
    • /
    • 2007
  • 본 논문은 KTX36호(300km/h) 운행시 수집된 검측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여 유지보수에 활용하기 위한 단락전류의 반파장주기(${\lambda}$/2)에 관한 연구수행 결과를 나타낸다. KTX36호는 현재 하나의 객실을 검측차로 개조하여 운행속도에서 각종 검측을 수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고속선 궤도회로는 프랑스의 궤도회로와 달리 토공, 교량, 터널 구간으로 나뉘어 있으며, 상용전원 주파수도 프랑스는 50Hz, 우리나라는 60Hz를 사용하고 있어 정보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반송주파수도 다르다. 또한 특성임피던스 와 감쇠정수/위상정수를 결정짓는 중요한 변수인 선로정수(R,L,G,C)가 다르기 때문에 KTX36호의 단락전류에 대한 반파장주기(${\lambda}$/2)는 검측데이터를 활용한 유지보수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프랑스에서 사용하는 단락전류의 반파장주기 (${\lambda}$/2)에 대해 언급하고 연구결과 산출된 국내 단락전류의 반파장주기(${\lambda}$/2)를 비교하였다.

  • PDF

A Study on Discrimination between Short-Circuit and Overloa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sing Current of an Electrical Wire (전선의 용단전류 특성에 근거한 단락과 과부하 판별에 관한 연구)

  • Shong, Kil-Mok;Roh, Young-Su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1 no.10
    • /
    • pp.176-180
    • /
    • 2007
  • In the case that an overcurrent flows through in electrical wire due to short-circuit or overload, the wire can be fused, thereby causing an electrical fire. In the present articl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sing current of an electrical wire have been studied to discriminate between short-circuit and overload. In the experiment the fusing time was measured as the currents determined by Preece's equation were supplied to bare wires of various diameter. As the results of experiment, the measured fusing currents well satisfied the Onderdonk's equation. By comparing the measured results and the short current the IEC recommends, it is shown that the variable to determine the short current for a bare copper wire, k is appoximately 300. The fusing current of an electrical wire which becomes a short circuit within 5sec can be expressed as a function of diameter based on the value of k. Consequently, the equation for the fusing current provides a criterion to discriminate between short-circuit and over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