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답형

Search Result 40,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Abductive Reasoning based Question Answering System for Yes/No Quiz (가추적 추론에 기반한 가부형(O/X 퀴즈) 질의응답 시스템)

  • Heo, Jeong;Lee, Hyung-Jik;Bae, Yong-Jin;Kim, Hyun-Ki;Ock, Cheol-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5.10a
    • /
    • pp.46-49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가추적 추론에 기만한 질의응답 기술을 활용하여 O/X 퀴즈 질문에 대한 질의응답을 수행하는 기술에 대해서 소개한다. O/X 퀴즈를 기존의 질의응답 기술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O/X 퀴즈 문장을 단답형 질문으로 재생성해야 한다. 질문재생성에서는 단답형 질문으로 변환하기 위해 특정 어휘(또는 개체나 구)를 <지시대명사>나 <지시관형사+명사>로 대체한다. 이때 대체된 어휘는 정답후보로 인식된다. 단답형질문과 정답후보의 쌍으로 구성된 정답가설은 근거검색과 유사도에 기반한 신뢰도 값 계산을 통해, O/X를 결정하게 된다. 실험을 통해, 신뢰도 임계값이 0.45일 때 정확률이 69.17%를 보였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for the Gifted and the General Science Class in Middle School (중학교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의 과학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 비교 분석)

  • Lee, Ji-Hyang;Kim, Dong-Jin;Hwang, Hyun-Sook;Park, Se-Yeol;Baek, In-Hwan;Park, Kuk-Tae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0 no.3
    • /
    • pp.721-741
    • /
    • 2010
  • This study was to analyze verbal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fter observations on teachers' questioning and feedback, students' response types and frequency analysis at middle-school class of average and gifted students. As for the verb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of science class of general students, it was dominant for teachers to utilize questions for summarizing or guiding for textbook contents as they are. They were focused on immediate feedback in a restatement form. The students used simple responses like yes/no in general. The most high frequency of verbal interaction models expressed were in the order of cognitive-memory thinking question-short answer-immediate feedback. On the other hand, teachers of gifted students' science class threw divergent and evaluative thinking questions of open question, such as 'what's the reason?' or 'why is it?' Immediate feedback in explanatory form was mainly provided as well. The level of feedback delay was higher than general class and that of immediate feedback was lower than general class. The students preferred short words or a not-complicated sentence when they replied and their participation was more attentive and positive. Hence, The high frequency of verbal interaction models expressed were in order of cognitive-memory thinking questions-elaborative short answer-delayed feedback.

Implementation of an Item Pool System with XML (XML 기반 학습 평가 시스템의 구현)

  • 김일민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3.11a
    • /
    • pp.441-445
    • /
    • 2003
  • 사이버 교육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벗어나 각종 멀티미디어 자원을 이용함으로써 기존 교육 방식을 보조하거나 대체하게 되었다. 온라인 학습자들을 평가하고 교육과정을 개선할 수 있는 평가 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교육 컨텐츠에 비하여 부족한 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JSP 와 JDBC 기술을 이용하여 문제 은행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기존의 학습 평가 시스템과는 달리, 데이터 표현을 위하여 XML 언어를 사용하였으며, 객관식 문제의 난이도 조절을 위한 피드백 및 단답형 주관식 문제에 대한 채점방식에 대한 고려를 평가 시스템 설계에 포함하였다. 문제은행은 문항의 형태, 내용, 난이도 등을 포함한 문항의 특성과 관련된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저장하여, 보다 정확한 학습 평가 시스템이 되도록 설계하였다.

  • PDF

Answer Pattern for Definitional Question-Answering System (정의형 질의응답 시스템을 위한 정답 패턴)

  • Seo Young-Hoon;Shin Seung-E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5 no.3
    • /
    • pp.209-215
    • /
    • 2005
  •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answer pattern for definitional question-answering system. The .answer extraction method of a definitional question-answering system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answer extraction method because it presents the descriptive answer for a definitional question. The definitional answer extraction using the definitional answer pattern can extract the definitional answer correctly without the semantic analysis. The definitional answer pattern is consist of answer pattern, conditional rule and priority to extract the correct definitional answer. We extract the answer pattern from the definitional training corpus and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al rule using F-measure. Next, we determine the priority of answer patterns using precision and syntactic structure. Our experiments show that our approach results in the precision(0.8207), the recall(0.9268) and the F-measure(0.8705). It means that our approach can be used efficiently for a definitional question-answering system.

  • PDF

Making Good Multiple Choice Problems at College Mathematics Classes (대학수학에서 바람직한 선다형문제 만들기)

  • Kim, Byung-Moo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2 no.4
    • /
    • pp.489-503
    • /
    • 2008
  • It is not an easy matter to develop problems which help students understand mathematical concepts correctly and precisel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ree problem types (i.e. one answer problems, multiple choice problems and proof problems) and to suggest some points tha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problem making. First, we presented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ree types of problems by examining actual examples. Second, we discussed some examples of misleading problems and the ways to make desirable ones. Finally, on the basis of our examination and discussion, we suggested some points that should be kept in mind in problem making. The major suggestions are as follows; i) In making one answer problems, we should consider the possibility of sitting a solution by wrong precesses, ii) In formulating multiple choice tests which are layered for their easiness of grading, we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importance of checking whether the students are fully understanding the concepts, iii) We may depend on the previous research result that multiple choice tests for proof problems can be helpful for the students who have insufficient math background. Besides those suggestions, we made an overall proposal that we should endeavor to find ways to implement the demerits of each problem type and to develop instructive problems that can help students understanding of math.

  • PDF

Professional Engineer Packaging (인터뷰 - 2013년도 포장기술사 합격자)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43
    • /
    • pp.118-125
    • /
    • 2013
  • 기술경쟁력에 의한 신제품 개발과 더불어 제품의 외형적인 포장 및 포장디자인도 기업의 경쟁요소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포장기술의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해당상품의 특성을 충분히 살림으로써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상품의 품질과 구매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갖춘 기술인력 양성이 요구되어 포장기술사 자격제도가 제정되었다. 국내 포장산업의 최고 전문가인 포장기술사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주관하고 있으며 1974년 생산관리기술사(디자인 및 포장)로 신설되어 1983년 생산관리기술사(포장)로 변경된 후, 1991년 현재의 포장기술사로 자리잡게 됐다. 포장기술사는 포장기술분야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에 입각하여 포장을 개발하거나 개발된 포장을 진단하며, 물류부문과 연계성을 갖추기 위해 포장 표준화 업무 및 신규사업을 조사하는 등 기술업무를 수행한다. 포장기술사 자격시험은 단답형 및 주관식 논술형인 필기시험과 구술형 면접을 통해 시험이 이뤄진다. 2013년도에는 총 10명의 포장기술사가 합격했다. 본 고에서 2013년도 포장 기술사 최종합격자들을 소개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Courseware for Web-Based Practical Test of Information Processing Skill Certification (웹기반 정보처리기능사 실기시험을 위한 코스웨어의 설계 및 구현)

  • Woo, Young-Gil;Kim, Young-B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903-906
    • /
    • 2003
  • 인터넷 문화의 급속한 보급과 더불어 일반 학생들이 스스로 지식을 획득하고 구조화하여 자기 주도적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는 다양한 학습 코스웨어들이 개발 보급되어 왔다. 대부분의 코스웨어들은 학업 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지선다형이나 단답형 방식을 채택하였다 그러나. 정보처리기능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실기 평가와 같이 기존 방식과는 다른 평가 체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는 웹을 통해 정보처리기능사 자격 취득을 위해 실기 시험의 전 과정을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고,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 결과와 학습 진행 정도를 확인하고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하는 코스웨어를 개발한다.

  • PDF

A Study on Evaluation Method of Self-Directed Learning by Using Fuzzy Theory (퍼지 이론을 이용한 자기 주도적 학습 평가에 관한 연구)

  • 김태경;백인호;김광백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523-528
    • /
    • 2002
  • 기존의 자기 주도적 학습 평가들은 대부분의 선다형 또는 단답형 문항에 대해서 학습평가가 시험 점수로 제공되고, 학습 평가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 할 수 얼어 학습의 효율성에 대해서 부정적인 시각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 스스로가 학습 능력 평가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퍼지 이론의 삼각형 타입 소속 함수를 이용한 자기 주도적 학습 평가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자기 주도적 학습 평가 방법은 학습에 대해 시험 결과를 세 개의 퍼지 등급으로 분류하여 소속도를 계산하고 퍼지 등급표를 적용하여 최종 퍼지 등급도에 따라 시험 결과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Professional Engineer Packaging (인터뷰 - 2014년도 포장기술사 합격자)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55
    • /
    • pp.90-95
    • /
    • 2014
  • 기술경쟁력에 의한 신제품 개발과 더불어 제품의 외형적인 포장 및 포장디자인도 기업의 경쟁요소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포장기술의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해당상품의 특성을 충분히 살림으로써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상품의 품질과 구매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갖춘 기술인력 양성이 요구되어 포장기술사 자격제도가 제정되었다. 국내 포장산업의 최고 전문가인 포장기술사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주관하고 있으며 1974년 생산관리기술사(디자인 및 포장)로 신설되어 1983년 생산관리기술사(포장)로 변경된 후, 1991년 현재의 포장기술사로 자리잡게 됐다. 포장기술사는 포장기술분야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에 입각하여 포장을 개발하거나 개발된 포장을 진단하며, 물류부문과 연계성을 갖추기 위해 포장 표준화 업무 및 신규사업을 조사하는 등 기술업무를 수행한다. 포장기술사 자격시험은 단답형 및 주관식 논술형인 필기시험과 구술형 면접을 통해 시험이 이뤄진다. 2014년도에는 총 10명의 포장기술사가 합격했다. 본 고에서는 2014년도 포장기술사 최종합격자들을 소개한다.

  • PDF

인터뷰 - 2015년도 포장기술사 합격자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66
    • /
    • pp.85-89
    • /
    • 2015
  • 기술경쟁력에 의한 신제품 개발과 더불어 제품의 외형적인 포장 및 포장디자인도 기업의 경쟁요소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포장기술의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해당상품의 특성을 충분히 살림으로써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상품의 품질과 구매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갖춘 기술인력양성이 요구되어 포장기술사 자격제도가 제정되었다. 국내 포장산업의 최고 전문가인 포장기술사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주관하고 있으며 1974년 생산관리기술사(디자인 및 포장)로 신설되어 1983년 생산관리기술사(포장)로 변경된 후, 1991년 현재의 포장기술사로 자리잡게 됐다. 포장기술사는 포장기술분야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에 입각하여 포장을 개발하거나 개발된 포장을 진단하며, 물류부문과 연계성을 갖추기 위해 포장 표준화 업무 및 신규사업을 조사하는 등 기술업무를 수행한다. 포장기술사 자격시험은 단답형 및 주관식 논술형인 필기시험과 구술형 면접을 통해 시험이 이뤄진다. 2015년도에는 총 4명의 포장기술사가 합격했다. 본 고에서는 2015년도 포장 기술사 최종합격자들을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