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단계적 회귀분석

검색결과 919건 처리시간 0.043초

회귀분석을 이용한 EVA시뮬레이션 모델 (EVA Simulation Model Using the Regression Analysis)

  • 김남식;권문환;주종문;황승국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0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3-436
    • /
    • 2000
  • 경제가 고도로 성장하던 단계에서는 기업은 사업규모도 크지 않고, 경쟁환경도 치열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내·외부적인 환경도 안정적이기 때문에 양적 확대에만 집중하더라도 그것이 기업가치를 크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내·외부적인 무수한 환경변화와 경쟁격화로 인하여 수익성의 악화가 반복되는 현실에서는 종전과 같은 경영사고나 전략으로는 새로운 환경에서 살아남을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업들의 환경변화에 따른 대처능력과 의사결정을 원활히 하기 위해 기존의 단순 수치의 변환에 의해서 결과를 도출하는 회계 시뮬레이션에서 벗어나 회귀분석과 신뢰구간을 사용하여 기업의 의사결정에 있어서 보다 기업의 현실에 근접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의사결정의 원활화를 도모하고자 하였으며 최종 시뮬레이션 결과를 EVA 에 둠으로써 기업의 수익성, 자본효율도 등의 기업가치를 여러 방면으로 추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건강기능식품 소비가치와 구매의도의 관계에 대한 건강동기, 건강염려, 식품몰입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 of Health Motivation, Health Concern and Food Involv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Value and Purchasing Intentions of Healthy Functional Food)

  • 차명화;김유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1호
    • /
    • pp.1435-1442
    • /
    • 2008
  •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 구매의도에 대한 소비가치의 영향력을 파악하고, 이 관계에서 건강동기, 건강염려, 식품몰입과 같은 개인의 개성과 관련된 특성들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각 측정개념들의 요인분석 결과, 소비가치는 7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건강동기, 건강염려, 식품몰입은 각각 1개씩의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각 구성개념들의 신뢰도는 소비가치 중에서 기능적 가치 요인의 경우 .886, 감정적 가치는 .904, 인식적 가치는 .813, 사회적 가치 I는.734, 상황적 가치는 .872, 사회적 가치 II와 III는 각각 .600과 .576이었고, 건강동기의 신뢰도는 .883, 건강염려의 신뢰도는 .834, 식품몰입의 신뢰도는 .883으로 나타나 내적일관성을 확보하였다.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소비가치가 건강기능식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에서 사회적 가치(${\beta}=.161$), 감정적 가치(${\beta}=.293$), 기능적 가치(${\beta}=.328$), 인식적 가치(${\beta}=.290$), 상황적 가치(${\beta}=.196$)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변수들(F=37.582, p<.001)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다섯 개의 변수로 이루어진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1.4%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조절효과 분석에서 건강염려만이 소비가치 중 사회적 가치 I(SV-I)와 건강기능식품의 구매의도의 관계에서 조절작용이 있는 것으로(F=4.409, p<0.05) 나타났다. 건강기능식품 구매의도에 대해 1단계에 투입된 사회적 가치 I의 $R^2$(.017)와 2단계에 투입된 건강염려 변수의 ${\Delta}R^2$(.025)이 유의적이었으며, 독립변수인 사회적 가치 I와 조절변수인 건강염려와의 상호작용항(SV I * HC)이 투입된 3단계의 ${\Delta}R^2$(.015)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의 구매 및 선택 과정에 대한 소비자 측면의 실증적 연구로서,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건강기능식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건강기능식품 소비자 마케팅 전략 확립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식품선택과 관련한 연구영역에서 소비가치 개념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으므로 향후 건강기능식품 및 다양한 식품의 선택 및 구매에 대한 연구에 소비가치 개념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건강염려 변수와 같은 식품관련 개성 특성들이 건강기능식품 구매의도에 조절작용을 갖는 변수임을 확인한 점은 향후 보다 다양한 개성 관련 식품 특성들의 영향력에 대하여 연구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에서 확립된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실제 건강기능식품 구매 집단과 비구매 집단별 적합성을 향후 연구에서 판별 함수로 검증한다면 본 회귀모형이 보다 정확하게 식품 선택 연구 모형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지역적 한정성과 연구대상자의 연령층이 대학생으로 제한된 점은 향후 연구에서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Tension infiltrometer를 이용한 토양의 침투특성 분석

  • 하규철;전철민;김재곤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362-365
    • /
    • 2004
  • 토양오염의 확산과정중의 서로 다른 지질적 기반위에 놓인 토양에 대한 침투특성과 4단계 이상의 장력을 적용하여 침투율을 산정하였다. 장력과 침투율과는 지수함수로 비선형 회귀시켜서 산정하였으며, 단지 몇단계의 장력만으로 구하여진 값보다 더 많은 불포화대수리특성과 신뢰성있는 포화수리전도도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구하여진 침투율은 토양분석결과를 비교했을 경우 점토함량이 적은 시료에서 적게나오는 경향이 있고, sand가 많은 토양의 경우 높게 산정되었다.

  • PDF

강우-유출 모형 적용을 위한 강우 내삽법 비교 및 2단계 일강우 내삽법의 개발 (Comparison of Daily Rainfall Interpolation Techniques and Development of Two Step Technique for Rainfall-Runoff Modeling)

  • 황연상;정영훈;임광섭;허준행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12호
    • /
    • pp.1083-1091
    • /
    • 2010
  • 분포형 수문 모형의 일강우 입력 자료는 불가피하게 불규칙하고 밀도가 낮은 관측망에서 기록된 값을 내삽해 사용하게 되나, 흔히 사용되는 대부분의 내삽법들은 실제 일강우의 다양한 공간적 분포를 잘 재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널리 사용되는 다섯 가지의 강우 내삽 방법을 두개의 유역에 사용하여 비교하고 실제 공간적 분포를 보다 잘 나타낼 수 있는 2단계 내삽법을 제안하였다. 비교에 사용된 내삽법은 (1) 역가중치 방법(IDW), (2) 다중회귀분석 (MLR), (3) 월강우를 이용한 다중회귀분석법(CMLR), (4) 국지가중치 다중회귀분석(LWP) 등이다. 보다 향상된 내삽을 위한 2단계 내삽법은 먼저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강우-비강우 지역을 구분하고 강우 지역에서만 기존의 내삽법을 적용하여 강우량을 구하는 방법이다. 기존 방법과의 비교결과 공간적인 편차가 심한 일강우의 특성을 2단계 내삽법에서 잘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안된 방법은 수문모형에의 적용뿐만 아니라 유출량의 예보 및 대기 순환 모형의 다운 스케일링에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on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 김영희;고태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481-489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아동기 외상 경험, 자아탄력성,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와 이들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미치는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459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빈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조절효과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스트레스와 아동기 외상경험 및 자아탄력성은 삶의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단계적 회귀분석결과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의 하위 요인인 긍정적 미래지향성과 감정조절이었다. 아동기 외상 경험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자아탄력성의 하위 요인인 긍정적 미래지향성과 감정조절의 조절효과를 알아보았다. 조절효과 분석결과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긍정적 미래지향성이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토대로 볼 때,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스트레스를 낮추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 자아탄력성의 하위 요인 중 긍정적 미래지향성을 향상시키는 전략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감성지능 조절효과 중심으로 (The Effect of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Job Stress of Long Term Care Hospital Nurses on Turnover Intention focused on control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 강영실;권영채;김윤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449-45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의사소통능력,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의 관계에 감성지능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요양병원 간호사 240명을 대상으로 2018년 2월 1일부터 28일까지 이루어졌다. 자료분석방법은 IBM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과 조절효과는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직의도는 의사소통능력과 직무스트레스에 따라 높게 나타났다. 이직의도는 직무스트레스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직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급여만족도, 직무스트레스, 연령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요양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임상특성을 반영한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이 필요하다.

정당한 편의(Reasonable Accommodation)가 장애인의 취업확률 및 직업유지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Reasonable Accommodation on the Employment Probability and Job Retention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 전영환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13-118
    • /
    • 2016
  • 본 연구는 정당한 편의가 장애인의 취업 확률 및 직업유지에 영향이 있는 지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에는 장애인 고용차별 실태조사 자료가 이용되었다. 분석방법은 취업확률은 로지스틱 회귀분석, 직업유지는 다중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취업 확률의 경우 채용 시험 이후 단계의 정당한 편의는 장애인의 취업 확률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 채용시험 이전 단계의 정당한 편의는 장애인의 취업 확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직업 유지 영향의 경우, 모집채용 편의, 사업장 접근성 편의는 고용유지에 영향이 없는 반면, 회사 방침 변경 및 직무조정은 직업유지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장애인의 취업 가능성을 높이고 직업유지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정당한 편의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정책적으로는 정당한 편의에 대한 사업주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스포츠영재성 검사 항목과 코스타스 점수간의 연관성 분석 (Association analysis between sports talent test scores and KOSTASS scores)

  • 박철용;이미숙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2권1호
    • /
    • pp.57-64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최근 체육영재선정에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스포츠영재성 검사 항목과 코스타스 점수간의 연관성 분석을 통해 상대적으로 중요한 검사 항목과 그렇지 않은 검사 항목을 통계적으로 밝혀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 2010년도 서울지역 (강동구, 송파구, 노원구, 광진구 등)과 경기지역 (의정부시, 가평군, 구리시 등) H대학 체육영재양성사업에 지원한 201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의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육상 네 종목 (투척, 도약, 단거리, 중장거리), 수영 및 체조 종목의 코스타스 점수와 1차 스포츠영재성 검사에서 얻은 기본 체격, 체력 운동능력, 생리적 기능 정보를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순수한 연관성 분석을 위해 피어슨상관계수와 편상관계수를 사용하였으며, 중요한 검사 항목 선택을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골연령, 체중, 흉위와 50m달리기, 하프스쿼트점프가 6개 코스타스 점수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프트웨어 개발 세부단계 노력 추정 모델 (A Model for Software Effort Estimation in the Development Subcycles)

  • 박석규;박영목;박재흥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2권6호
    • /
    • pp.859-866
    • /
    • 2001
  • 성공적인 프로젝트 계획은 활용 가능한 일정과 더불어 프로젝트를 완수하는데 요구되는 노력을 얼마나 정확히 추정하느냐에 달려있다. 새로운 또는 보다 나은 모델 개발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현존하는 소프트웨어 노력 추정 모델들은 개발 전순기에 대해 투입되는 총 개발노력과 단위시간당 소요되는 인력인 노력 함수만을 제공한다. 또한, Putnam은 세부단계별로 일정한 개발노력 투입 비율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의 규모, 복잡도와 운영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프로젝트 별로 투입되는 총 개발노력의 규모에 차이가 발생하며, 그 결과, 개발 세부단계별로 투입되는 노력의 규모도 프로젝트마다 차이가 발생한다. 본 논문은 총 개발노력 변동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명세화, 구축과 시험단계에 투입될 개발노력을 추정하는 선형과 다항식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모델들은 128개의 다른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들로부터 유도되었다. 제안된 모델은 프로젝트의 일정과 노력 할당 관리에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할 것이다.

  • PDF

환경인자를 이용한 산지계류의 계절별 수온변화 예측 (Estimated Headwater Stream Temperature Using Environmental Factors with Seasonal Variations in a Forested Catchment)

  • 남수연;장수진;김석우;이윤태;전근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5-62
    • /
    • 2020
  • 이 연구는 강원대학교 학술림 내의 산지계류를 대상으로 2년간(2017~2018)의 현지 모니터링에 기초하여 수온과 강우, 유량 및 기온 등 환경인자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계절별 산지계류의 수온변화 예측기법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동절기를 제외한 봄, 여름 및 가을철로 구분하여 단계적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계절별 산지계류의 수온변화에 미치는 환경인자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산지계류의 일평균 수온은 봄철 6.9~17.7℃로 기온과 유의적 관계를 나타내었고, 여름철 12.2~26.3℃로 기온, 유량과 유의적 관계를 나타냈으며, 가을철 3.6~19.3℃로 기온 및 유량과 유의적 관계를 나타내는 등 계절별로 산지계류의 수온에 미치는 영향인자는 다르게 나타났다. 다중선형회귀식은 봄철 (0.553×기온)+(0.086×유량)+4.145(R2=0.505; p<0.01), 여름철 (0.756×기온)+(-0.072×유량)+2.670(R2=0.510; p<0.01), 가을철 (0.738×기온)+(0.028×강우)+2.660(R2=0.844; p<0.01)이었다. 도출된 모든 회귀식의 결정계수(R2)는 기온만으로 예측한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고, 봄철에서 가을철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향후 정밀도 높은 산지계류의 수온변화 예측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현지 모니터링과 함께 시·공간적 데이터의 확보가 중요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