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단계별 평가

검색결과 1,723건 처리시간 0.042초

하수처리장 실적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유지관리비용 예측 (Estimating Maintenance Cost by Actual Database Based on Operation in Sewage Treatment Plant)

  • 이태식;곽동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803-2809
    • /
    • 2009
  • 국내 건설업계는 자체 엔지니어링 기술 확보 및 높은 수준의 건설사업 관리기술의 보유와 더불어 사업초기 단계에서 해당 프로젝트의 경제적 타당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절실히 요구되어진다. 시설물의 설계 및 시공 기술은 최근의 국제 시장에서 수주를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며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사업수행을 위해서는 사업초기단계부터 사후유지관리까지의 연속적인 건설사업 관리기술이 요구되어진다. 건설사업 관리기술은 프로젝트 시작단계에서부터 운영 유지관리 단계까지 단계별로 발생하는 비용에 대해 얼마나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느냐에 따라 프로젝트의 성공여부를 결정짓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단계별 비용항목의 체계적인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하수처리장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전반에 걸친 비용흐름 및 요소를 조사하였다. 특히 국내 하수처리시설의 유지관리비 DB를 조사하여 데이터 모델링을 수행하였고, 실적 DB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불확실성 해소를 위해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하여 타당성 평가를 위한 평가 목적별(처리공법, 운영 주체 등) 유지관리비 예측 추세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초등 ICT 활용교육에의 전자 포트폴리오 평가 절차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Electronic Portfolio Assessment Processing Model in Elementary ICT Application Education)

  • 이정민;전우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12
    • /
    • 2006
  • 교육에 있어 평가는 교육 주체뿐만 아니라 때로는 국민적인 관심사가 된다. 최근 교육인적자원부에서 제시하는 개혁안과 사회의 요구를 반영할 때, 숫자 하나로 학생의 모든 성취 정도를 나타내는 전통적인 검사 방법은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구성주의를 바탕으로 교육 평가 분야에 수행평가가 대두되었으며, 포트폴리오 (Portfolio)는 수행평가 철학을 구현하는 대표적이고 효율적인 한 방법이다. 포트폴리오 평가 기법의 많은 장점과 함께 단점 역시 지적되었는데, 물리적 공간과 비용의 문제 그리고 자료접근과 검색의 비효율성 등이 그것이다. 이런 포트폴리오의 단점을 극복하면서 학생들의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활용능력 향상까지 도모할 수 있는 것이 전자 포트폴리오 (Electronic Portfolio) 평가 기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자 포트폴리오 평가 절차 모형을 개발하고, 각 단계별로 지침이 될 수 있는 구체적인 활동을 제안하는 것이다. 개발된 포트폴리오 평가 절차 모형은 준비, 개발, 평가, 활용의 네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단계별로 교사와 학생의 활동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본 모형은 교사, 학생, 학부모에게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고, 교사에게는 평가과정 전반에 걸친 지침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R&D 경제적 가치평가를 통한 의사결정 정보지원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Supporting System for R&D Decision Making using Technology Valuation Model)

  • 유선희
    • 정보관리연구
    • /
    • 제33권4호
    • /
    • pp.107-128
    • /
    • 2002
  • 이 연구는 R&D 투자에 대한 신속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R&D의 경제적 성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R&D 기획 초기부터 기술의 경제적 수익에 대한 개념을 도입하고, 개발 완료된 R&D 기술의 상용화에 이르기까지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연구는 R&D 의사결정의 주요 경로를 파악하고, 단계별로 소요되는 정보에 대한 분석과 지식정보의 지원을 위하여 KISTI 과학기술 데이터 베이스 및 다른 공개용 정보원과의 원활한 연계 및 기술가치평가 정보 지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경제적 성과를 추정하기 위한 기술가치평가 정보 지원은 단계별 근거가 되는 지식정보를 지원하는 KISTI 기술가치평가 모델을 접목함으로써 좀더 객관적인 추정과 의사결정을 지원하도록 하였다.

기후변화 영향평가에서의 Uncertainty Delta Method를 활용한 정량적 불확실성 분석 (Quantitative uncertainty analysis for the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using the uncertainty delta method)

  • 이재경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spc1호
    • /
    • pp.1079-1089
    • /
    • 2018
  • 기존 기후변화 영향평가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에 대한 연구들은 전체과정에서 총 불확실성과 그 전파에 대한 것보다 각 단계별 불확실성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irst-order Taylor series expansion에 기반하여 전망의 분산을 이용하는 Uncertainty Delta Method (UDM)를 제안하였으며, 이 방법은 각 단계별 불확실성 정량화와 증감정도, 단계별 불확실성 비율, 총 불확실성의 전파 과정 제시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영향평가 과정의 단계별 불확실성 정량화와 전파과정 분석을 위해 미래 2030년부터 2059년까지를 대상으로 2개 배출 시나리오, 3개 GCM, 2개 상세화기법, 2개 수문모형을 사용하였다. 결과를 분석하면, UDM을 이용한 총 불확실성은 5.45(배출시나리오: 4.45, 상세화기법: 0.45, 상세화기법: 0.27, 수문모형: 0.28)이며, 배출 시나리오의 불확실성(4.45)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불확실성은 각 단계를 거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떠한 배출시나리오를 선정하느냐에 따라 미래 수자원전망이 매우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Hawkins and Sutton (2009)가 제안한 Fractional Uncertainty Method (FUM)을 이용한 기후변화 영향평가 불확실성 분석에서 가장 불확실성이 큰 요인은 배출 시나리오(FUM 불확실성: 0.52)이며, 이 결과는 UDM 결과와 동일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제안한 UDM은 기후변화 영향평가에서의 불확실성 이해와 적합한 분석 및 미래 기후변화 대비 보다 나은 수자원 전망이 가능하도록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웹 검색 결과의 단계별 시각화 (Stepwise Visualization of Web Search Results)

  • 손석현;신효섭;서지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8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5 No.1 (C)
    • /
    • pp.320-324
    • /
    • 2008
  • 웹 검색 결과 중, 어느 경우에나 첫 번째로 나타나는 결과 페이지가 모든 사용자에게 필요한 웹 페이지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그러한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웹 페이지를 찾기 위해 질의를 수정하거나 다음 페이지로 넘기는 수고를 해야만 한다. 이러한 경우, 하위에 랭크 된 웹 페이지가 사용자에게 원하는 정보를 줄 수가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하위 랭크이지만 사용자에게 원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웹 페이지(Low-Ranked But, Potent Pages)를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는 웹 검색 결과의 단계별 시각화를 제시한다. 실험에서는, 여러 질의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단계별 시각화 웹 검색을 평가한다.

  • PDF

확률론적 지진위험도의 불확실성 영향인자의 단계별 범위 영향 분석

  • 김준경;윤철호;이성규;임창복;김문수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4)
    • /
    • pp.405-409
    • /
    • 1996
  • 본 연구는 일정 지역의 확률론적 지진위험도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평가와 관련하여 전문가가 제시한 제1차 입력자료를 이용하여 제2차 입력자료를 도출할 때 입력자료의 다단계화를 통하여 각 단계별 구간의 입력자료가 확률론적 지진위험도 불확실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확률론적 지진위험도 분석을 위하여 미국지질조사연구소 (USGS) 및 미국 로렌스리버모어 연구소(LLNL)가 개발한 전산코드를 각각 이용하였고 또한 전문가가 제시한 제 1차 입력자료는 기존 연구보고서에서 주어진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지진활동도 변수 특히 지진규모의 각 단계 및 감쇠특성함수의 진앙거리 단계에 따라서 확률론적 지진위험도의 절대값 및 불확실성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부지별로 이러한 분석을 함으로서 확률론적 지진 위험도 곡선에 영향을 미치는 임의 부지에 고유한 임계 지진규모 및 임계 진앙거리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전반적으로 불확실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 PDF

정보기술서비스관리의 인시던트 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GPM 적용사례 (A Case of GPM Appliance to Incident Management Process for ITSM)

  • 안유종;김기윤;이동섭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43-348
    • /
    • 2008
  •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첫째, 정보기술서비스관리 관점에서의 인시던트(incident)의 개념을 체계적으로 도출하는 것이다. 둘째, K기관 정보시스템의 인시던트 관리 프로세스에 대해서 GPM(Goodus Project Method)을 실증적으로 적용하는 것이다. 셋째, GPM의 적용 효과를 분석, 설계, 구현 단계 별로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Goodus에서 ISO 20000에 기반을 두고 개발한 GPM을 인시던트 관리 프로세스의 분석, 설계, 구축 단계에 적용했다. 첫째, 분석단계에서는 설문지와 인터뷰에 의한 Gap 분석을 해서, 인시던트 관리 프로세스의 활동단계 별로 필수적인 과업(task)의 존재 유무를 파악했다. 둘째, 설계단계에서는 Gap 분석 결과를 토대로 논리 프로세스 맵을 작성했고, 활동 별로 세분화 된 과업의 필드를 정의했다. 셋째, 구축단계에서는 인시던트 관리 프로세스의 목적과 범위, 역할과 책임, 활동과 과업을 기반으로 인시던트의 측정과 평가 시스템을 구축했다.

  • PDF

전과정평가(LCA)기법을 이용한 농업수리시설의 환경영향 분석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Agricultural Water Facilities using LCA Technique)

  • 김영득;최요한;김해도;조진훈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656-1660
    • /
    • 2010
  • 저수지와 양수장은 우리나라에서 용수공급면적기준으로 전체 공급량의 78%를 차지하는 중요한 용수 공급시설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수지와 양수장의 환경영향을 LCA기법을 이용해 비교 분석함으로써 두 시설들의 환경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데 있다. 연구대상 수리시설로서 경기도 안성에 위치한 이동저수지와 은산양수장을 선정하여 각각에 대하여 농업수리시설의 전과정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를 위하여 네덜란드 Pre사가 개발한 소프트웨어 Simapro 7.1를 이용하였다. 두 시설에 대한 원료물질 취득 단계부터 건설, 운영, 유지관리 및 폐기단계까지 전과정의 환경영향을 분석한 결과, 두 종류의 시설 설치에 따른 토지이용, 상 하류의 생태적 영향 등이 고려되지 않았지만 저수지에 의한 농업용수 공급이 양수장에 의한 용수 공급보다 환경친화적이라고 볼 수 있다. 저수지의 경우 건설단계의 환경영향이 크고, 양수장의 경우, 운영단계에 환경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계별로 환경영향은 저수지는 건설단계에 건설재료 예를 들어 레미콘, 시멘트 등이 환경부하를 크게 발생시키기 때문이고, 양수장은 이용 단계에서 용수공급을 위한 전력사용에서 기인하는데, 이는 전력생산시 화석연료와 같은 자원소비가 많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는 토목시설물중 농업 용수 공급시설의 전과정에서 환경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데 LCA가 활용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하드웨어적인 시설뿐만 아니라 농업용수 공급에 따른 전과정평가를 수행하고, 농업용수 LCI D/B 구축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웹 기반 교육 시스템에서 교수지원 컴포넌트의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eacher Supporting Component on Web)

  • 길준형;신호준;김성원;김행곤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B)
    • /
    • pp.667-669
    • /
    • 2001
  • 현재, 사회가 정보화 되어감에 따라 교육분야에서 컴퓨터의 가치는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기존의 교실위주의 수업보다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덜 받게 되는 WBI(Web Based Instruction)는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WBI에서는 교수의 강의가 끝나면 수업 평가 후 학생에게 수업의 결과를 알려주는 형식이었고, 도한 학습자에게는 일률적으로 평가가 적용되어 학생의 수준에 맞는 수업을 할 수가 없었으며, 교수의 입장에서도 학생들의 평가 결과가 수업의 질을 높이거나 내용을 변경시킬 근거가 될 수는 없었다. 따라서 수준별 학습을 위한 단계별 예비 테스트와 학습 후 테스트의 평가내용을 다양한 방법으로 시각적으로 제시하고, 또한 교수가 평가의 준거를 입력하고 학습자의 평가결과와 교수자의 평가준거를 비교할 수 있는 교수지원 컴포넌트를 작성하고자 한다. 이는 체계적인 평가 방법론이 되고 학습의 패러다임을 바꾸거나 과목을 변경할 경우, 그 결과에 따라 교수 방법의 변화나 수업내용을 변경하고자할 때 용이하다. 또한 유사한 다른 패러다임의 WBI 시스템에서도 이미 개발된 컴포넌트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의 용이성과 이식성,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 PDF

중요도-성취도 분석에 의한 경관계획 작성 단계별 평가 - 개발대상지 경관계획을 중심으로 - (The Assessment of the Landscape Planning Phases by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 Focused on the Landscape Planning of Development Sites -)

  • 주신하;백운해;신지훈;목정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74-82
    • /
    • 2008
  • 본 연구는 개발대상지의 경관계획 수립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경관계획에서 진행하고 있는 각 단계별 계획항목과 내용 등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개발대상지 경관계획 수립 방안을 연구하였다. 각 단계별 계획요소의 중요도와 성취도는 전문가 설문을 바탕으로 수행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분석, 분산분석, t-test, 중요도-성취도 분석 등의 통계분석방법이 사용되었다. 평가결과 계획단계 기존계획에 대한 성취도 평가는 3.813, 계획항목의 중요도에 대한 평가는 5.648로 나타나, 그 중요도에 비해 기존 경관계획이 미흡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경관계획 단계별로는 경관기본계획과 경관기본구상 등은 비교적 잘 수립되고 있으나 경관 디자인가이드라인과 경관자원조사는 경관계획의 질적 향상을 위해 보완해야 할 부분으로 파악되었다. 경관기본계획 단계 중에서는 미시적 경관계획이 중요도에 비해서 잘 진행되지 않아 보완이 필요하며, 경관디자인가이드라인 단계에서는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장소 디자인가이드라인 등의 보완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기초로 진행하였으므로 설문응답자의 기존 경관계획에 대한 이해 정도가 다를 수 있다는 점과 경관계획 계부항목 선정에 대한 구분이 다를 수 있다는 점 등에서 연구의 한계를 지적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기성 도시경관계획과 개발대상지 경관계획의 계획요소 간 중요도 비교와 경관디자인 가이드라인 계획요소 및 작성기준 등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