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Search Result 4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Effects of Particle Size and Characteristics on the Gas-particle Partitioning of PAHs in the Air (대기중 입자의 크기와 특성이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화합물의 증기상-입자상간의 분배에 미치는 영향)

  • Lee, Dong-Soo;Ahn, Joon-Yong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v.17 no.3
    • /
    • pp.187-195
    • /
    • 2002
  •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화합물의 증기상-입자상간의 분배평형의 설명을 위해 흔히 입자상의 흡착지점이 균질하고 총흡착면적은 TSP에 비례한다는 가정을 사용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가정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도심에서 6단의 다단계 대기중입자채집기를 사용하여 대기 중의 입자를 포집하였으며 이들 입자에 흡착된 phenanthrene, anthracene, fluoranthene, pyrene을 분석하여 입경별 분포를 측정하였다. 특히 연구기간 중에 황사현상이 일어나 입경분포나 입자의 기원이 매우 다른 경우에 대한 연구가 가능하였다. 주요연구결과로서 우선 야마사키가 제안한 분배평형의 온도 의존식은 제한된 범위에서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이 관측되었다. 즉, 황사현상이 일어나는 경우와 같이 입자의 흡착특성과 입경분포가 보통때와 다른 경우에는 log Kp와 l/T의 관계에서 선형성이 상당히 저하되었다. 또한 특히 낮은 온도에서는 입자의 입경분포가 달라지면 전체적인 분배평형이 달라지게 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입자의 흡착특성도 분배평형의 온도의존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입자의 기원이 다양하거나 입경분포가 달라지면 흡착평형이 바뀌기 때문에 흡착특성의 균질성과 단순한 TSP를 전제로 하는 분배평형의 평가나 예측은 실제 대기조건에서는 정확하지 않을 수가 있으며 제한적인 조건에서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A Study on the Characterization of Atmospheric Dry Deposition for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Measured in Seoul (서울 지역의 PAHs(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의 건식 침적량 특성의 연구)

  • 이승묵;이지이;한영지;배수야;윤희정;정장표;이동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94-96
    • /
    • 2000
  •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다환방향족 탄화수소류: 이하 PAHs)는 여러 가지 오염원에서 배출되어 환경계에서 이동하는 중요한 화합물질 그룹중의 하나이다. 대부분의 PAHs는 발암물질이라고 의심이 가는 물질로써 여러 가지 형태의 배열로 연결되어 있는 두개 혹은 그 이상의 방향족 고리로 구성되어 있다 PAHs의 대기에서의 침적은 가스상과 입자상 물질의 비나 눈에 의한 제거, 입자상 물질의 건식침적 및 가스상 물질의 대기-수체간 교환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중략)

  • PDF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ultra-trace phenol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and pesticides in surface water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지표수에서 GC-MS에 의한 극미량 페놀류,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와 농약류의 동시 분석법)

  • Lee, Young Joon;Lee, Jun Bae;Hong, Seon Haw;Oh, Jin-Aa;Shin, Ho-Sang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25 no.6
    • /
    • pp.467-475
    • /
    • 2012
  • A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ic (GC-MS) method was developed for determining 17 hazard compounds containing phenol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and pesticides in surface water. A 1.0 L surface water sample was placed in a separatory funnel and saturated with NaCl, and the solution was extracted with 40 mL of methylene chloride. Under the established condition, the lowest quantification limit was 1.0-10 ng/L and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were less than 22%. The method was used to analyze 70 surface water samples collected from 35 regions in Gum-River. The samples revealed the compounds concentrations in the range of 1.1-26,604 ng/L. Maximum concentrations of compounds detected were not exceeded guidelines established in other countries. The developed method may be valuable for monitoring hazards in water.

Analytical method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in oil contaminated soils (유류 오염토양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 분석방법 고찰)

  • Yoon, Jeong Ki;Park, Jin Soo;Shin, Sun Kyoung;Kim, Tae Seung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21 no.4
    • /
    • pp.296-303
    • /
    • 200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an analytical method of PAHs in oil contaminated soil of these methods by evaluating the PAHs test methods from US EPA and ISO etc. The application to domestic contaminated soil leads to a conclusion that alumina column is a more effective clean-up procedure for oil contaminated soil rather than the others. It is proposed with the new analytical method of 12 PAHs except for more volatile compounds (naphthalene, acenaphthylene, acenaphthene, fluorene). The recovery of PAHs in this method ranged 67~107%. The oil contaminated soil samples were analyzed using GC/MSD. The concentration of PAHs ranged $78.68{\sim}275.57{\mu}g/kg$. The predominated compounds were fluoranthene, pyrene and chrysene attributing about 70% of total concentration. The level of Benzo[a]pyrene ranged $1.76{\sim}24.65{\mu}g/k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