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차원 색인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4초

공간 데이터웨어하우스에서 통합된 다차원 개념 계층 지원을 위한 데이터 큐브 색인 (Data Cude Index to Support Integrated Multi-dimensional Concept Hierarchies in Spatial Data Warehouse)

  • 이동욱;백성하;김경배;배해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1386-1396
    • /
    • 2009
  •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공간 데이터 큐브는 크기가 방대하기 때문에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질의 처리의 수행 속도를 높이기 위한 공간 데이터 큐브 색인 기법이 요구된다. 제안된 데이터 큐브 색인 기법들 중 Hierarchical Dwarf는 사실 테이블의 튜플 필드 값의 중복을 이용하여 큐브를 압축하여 저장 비용과 질의응답 속도 면에서는 우수하지만 공간 차원을 지원하지 않으며, OLAP-favored Search 기법은 R-tree기반으로 공간 차원에 대한 계층적 집계 값을 제공하고 공간 OLAP 연산을 지원하지만 공간 및 비공간 차원들을 통합한 의사결정을 지원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통합된 다차원 개념 계층지원을 위한 데이터 큐브 색인을 제안한다. 이는 개념 계층에 대한 정보와 사실 테이블에 지장된 튜플들을 참조하여 각각의 차원에 대해 생성된 개념 계층 트리들이 연결되어 통합된 색인이다. 이 때, 중복되는 개념계층 트리가 존재할 경우 이를 공유함으로써 저장 비용을 줄인다. 특히 제안 기법은 공간 및 비공간 차원이 통합된 개념 계층 트리들을 사용하므로, 공간 및 비공간 차원에 대한 OLAP 연산 비용이 감소한다.

  • PDF

내용기반 음악정보 검색을 위한 선율의 시계열 데이터 변환을 이용한 주제선율색인 구성 (Construction of Theme Melody Index by Transforming Melody to Time-series Data for Content-based Music Information Retrieval)

  • 하진석;구경이;박재현;김유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0D권3호
    • /
    • pp.547-558
    • /
    • 2003
  • 음악은 서로 다른 높이와 길이를 갖는 음표들을 주어진 박자 안에서 리듬성을 갖도록 나열한 패턴이기 때문에 음악의 선율정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보 값을 갖는 시계열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악의 특성을 유지하도록 선율정보를 정규화와 보정과정을 거쳐 시계열 데이터로 변환하고 유클리드 거리함수를 이용하여 선율정보간의 유사도를 계산하며, 유사성을 갖는 선율들을 클러스터링하여 각 클러스터의 대표성을 갖는 선율을 주제선율로서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주제선율로 다차원색인 기법인 M-tree를 이용하여 주제선율색인을 구성한다. 사용자 질의에 대한 검색과정에서도 색인 구성단계와 같은 과정으로 사용자 질의를 시계열 데이터로 변환하여 검색을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주제선율색인을 이용하여 내용기반 음악 검색을 실시하는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개발하여 제안된 주제선율색인 구성기법의 실효성을 시험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주제선율색인을 이용하면 원하는 음악 정보를 적은 공간을 사용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XML Schema에 의한 XML 데이타베이스의 타입 상속 색인구조 (A Type Hierarchy Index for XML Databases with XML Schema)

  • 임윤주;이종학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상)
    • /
    • pp.85-88
    • /
    • 2004
  • 최근 XML데이터베이스는 웹의 발전과 더불어 광범위한 인터넷의 자원 공유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이러한 자원 공유를 위해서는 XML데이타베이스에 대한 구조적 정의로 타입 상속 구조를 가지는 XML Schema를 사용한다. 그러므로 XML Schema를 따르는 XML데이타베이스에 대한 효율적인 색인기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다차원 색인구조와 사전에 분석한 사용자 질의 패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주어진 질의들에 의해서 액세스되는 색인 페이지의 평균 개수가 최소가 되게 하는 최적의 이차원 타입 색인 구조를 구성 할 수 있는 2D-THI를 제안한다. 제안한 2D-THI의 성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서 기존의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에서 클래스 상속에 대한 색인구조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CH-index와 CG-tree를 XML데이타베이스에 적용하여 이들과 2D-THI를 비용모델을 통해서 비교 분석한다. 그 결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2D-THI로서 다양한 질의 패턴에 대해서 최적의 색인구조를 구성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MiDAS-III에서 CIR-Tree를 위한 효율적인 벌크로딩 알고리즘의 설계 (Design of an Efficient Bulk Loading Algorithm for CIR-Tree on MiDAS-III)

  • 피준일;송석일;유재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65-68
    • /
    • 2001
  • 이 논문에서는 고차원 색인 구조인 CIR-트리를 위한 효율적인 벌크로딩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벌크로딩 기법은 대량의 고차원 데이터가 색인 구성 시 함께 주어진는 경우 색인의 구성을 빠르게 하고 구축한 색인의 검색 성능을 향상시킨다. CIR-트리는 변별력 있는 일부 차원만 이용해서 비 단말노드의 엔트리를 구성하기 때문에 엔트리 크기가 일정하지 않다는 특징이 있으며 이는 비단말 노드의 팬아웃을 높이고 탐색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기존에 다차원 및 고차원 색인구조를 위한 벌크로딩 기법이 제안되었지만 이러한 CIR-트리의 특징을 제대로 살릴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벌크로딩 알고리즘을 개선하면서 CIR-트리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색인 구성에 반영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이를 BADA-III의 하부 저장 시스템인 MiDAS-III에서 구현하고 다양한 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입증한다.

  • PDF

병렬처리 공간색인구조 (A Study on Parallel Spatial Index Structure)

  • 방갑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207-121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PAR-트리라는 공간색인구조를 제안한다. PAR-트리는 object distribution heuristic(객체분할법)으로 absolute crowd index(절대 복잡도)를 사용하여 공간 데이터 객체를 여러 개의 데이터 공간에 균일하게 배치함으로써 질의처리 속도를 향상시킨다. PAR-트리는 MXR-트리에 비해 높은 공간활용도와 빠른 질의 반응시간을 보임으로써 다차원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효율적인 색인구조로 사용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시공간 이동객체들을 위한 효율적인 색인 기법 (An Efficient Indexing Technique for Time-evolving Moving Spatial Data)

  • 강소영;양성봉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 (C)
    • /
    • pp.205-209
    • /
    • 2006
  • 무선 네트워크의 기술 발달과 이동기기들의 많은 보급에 따라 GIS, LBS 등의 위치기반 서비스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수행하기위하여 방대한 양의 이동 객체들의 효율적인 관리, 검색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동 객체들의 특성과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연구결과가 제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간에 따라 다양한 속도와 방향으로 이동하는 다차원 이동 공간 데이터를 위한 효율적인 색인 기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방법은 KDB-Tree와 QSF-Tree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색인 구조의 검색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분할, 갱신 방법을 제시하여 시간에 따라 현재 속도와 방향이 다양하게 변화하는 데이터를 신속히 데이터를 색인하고 영역 질의 뿐만 아니라 미래 예측 질의에 대하여 현재 보유한 데이터 정보를 기반으로 미래 예측 결과를 신속히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이동체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R-tree 기반의 메인 메모리 색인 (Main Memory Index Based on R-tree for Moving Object Databases)

  • 이창우;안경환;홍봉희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2)
    • /
    • pp.40-42
    • /
    • 2003
  • 최근에는 물류 및 수송 관리, 교통 정보 서비스 등과 같은 위치 기반 서비스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에서 클라이언트들의 빈번한 보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서버에서 메인 메모리 DBMS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동체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메인 메모리 색인이 없으므로 이에 적합한 색인이 필요하다. 다차원 색인으로 영역 질의에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색인으로 R-tree가 있는데, 이는 디스크 환경을 고려하여 설계되었기 때문에 메인 메모리에서는 효율을 보장하지 못한다. 이 논문에서는 R-tree를 변형하여 이동체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메인 메모리 색인을 제시한다. 이 논문에서 새로 제시한 성장 노드 구조와 동적 재구성 및 큰 영역을 가진 노드 분할 정책은 영역 질의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실험은 제안한 색인이 이동체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적합한 메인 메모리 구조임을 보여준다.

  • PDF

모양 정보의 회귀추정에 의한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 기법 (Contents-based Image Retrieval Using Regression of Shape Features)

  • 송준규;최황규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157-166
    • /
    • 2001
  • 본 논문은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 시스템에서 이미지의 위치 및 모양 정보에 의한 회귀선을 추정하여 효율적으로 특징 벡터 추출함과 동시에 같은 도메인상의 특징 벡터가 일정 수준보다 많아질 경우 효율적으로 특징 벡터의 차원을 줄이는 기법을 제안한다. 특히, 특징 벡터의 차원을 줄이는 제안된 기법은 특징 벡터의 수에 관계없이 특정한 n개의 특징 벡터로의 변환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기법들은 실제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 시스템의 구현을 통해 기존의 방법보다 효율적인 검색은 물론 다차원 특징 벡터를 특정 n차원의 특징 벡터로 변환함으로써 다차원 색인 기법이 가지고 있는 가장 큰 단점인 '차원의 저주'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임을 보인다.

  • PDF

다차원 쉘 구조에 기반한 내용 기반 검색 기법 (Scheme on Content-Based Retrieval using Multidimensional Shell-Based Algorithm)

  • 김유남;김정림;전승수;이건섭;설상훈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1)
    • /
    • pp.133-135
    • /
    • 2000
  • 최근 들어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과 엄청난 양의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다양한 형태로 생성, 제공되면서 이에 대한 서비스 및 관리 기법에 관한 문제가 주요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일반 인터넷 사용자들의 기본적인 요구로써 기존의 문자 기반 검색 서비스로써 제공될수 없는 내용 기반 검색 기법을 들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 혹은 임의의 동영상에서의 한 장면을 빠르고 정확하게 찾는 검색 기법이 최근 들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내용 기반 검색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의 기법으로써 다차원 쉘 구조를 이용한 동영상에서의 영상 검색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또한, 이를 내용 기반 검색에서 주로 사용되는 색인 트리 구조의 검색 기법과의 비교를 통해 장, 단점을 비교 분석해 본다.

  • PDF

공간 순서화 곡선을 이용한 다차원 영역 질의 처리 (A Multi-dimensional Range Query Processing using Space Filling Curves)

  • 백현;원정임;윤지희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3-38
    • /
    • 2006
  • 다차원 공간 객체를 위한 영역 질의는 다차원 공간상에서 질의 영역과 교차 또는 포함되는 객체들을 검색하는 가장 기본적인 공간 연산이다. 영역 질의 처리를 위한 인덱스 기법으로서 공간 순서화 곡선을 이용하여 다차원 공간 객체의 MBR 정보를 1차원 값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DOT(DOuble Transformation) 인덱스 기법이 알려져 있다. 이 기법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주색인 기법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으나, 중간 공간에 설정된 다차원 질의 영역을 최종 공간상의 1차원 값의 집합으로 변환하는 공간 변환 연산에 대한 오버헤드가 매우 크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원 공간을 2차원 이상으로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영역 질의 방법이 연구된 바 없다. 본 논문에서는 다차원 공간 질의 영역 상의 공간 순서화 곡선의 규칙성을 분석함으로써 공간 변환 연산의 횟수를 대폭 감소시킨 효율적인 다차원 공간 영역 질의 처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에서는 공간 변환 연산의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질의 영역을 공간 순서화 곡선이 연속 운행되는 최대 크기의 쿼터로 분할하는 쿼터 분할 기법을 사용한다. 제안된 기법에 의한 다차원 영역 질의 처리 과정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를 구현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성능평가 결과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