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중빔

검색결과 434건 처리시간 0.032초

NEWS Focus - 다중빔 수신시스템 구축 완료

  • 김현구
    • KASI NEWSLETTER
    • /
    • 통권97호
    • /
    • pp.5-5
    • /
    • 2010
  • 1985년에 설치된 대덕전파천문대의 14m망원경은 이전까지 단일빔 관측으로 성간운 및 별탄생 영역, 활동성 은하핵 구조 등을 연구해왔다. 최근 다중빔 시스템 구축을 완료하여 실제 연구관측을 진행하고 있다. 다중빔 수신기는 단일경 관측 시스템의 경우보다 최소 10배 이상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이번 호를 통해 새 단장한 대덕전파망원경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고속 운용시 단일빔/다중빔 측면주사음탐기 초음파영상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Single/Multi Beam Side Scan Sonar Image at High Speed Survey)

  • 윤기한;오영석;박승수;박동진;이병용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11년도 전기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1-241
    • /
    • 2011
  • 실제 해상운용시험을 통해 취득한 단일빔/다중빔 측면주사음탐기 초음파영상을 비교하여 다중빔 측면 주사음탐기의 경우 운용 시 제약조건을 얼마나 향상시켰는지 이 논문에서 소개한다.

  • PDF

다중 코드북을 이용한 랜덤 빔 형성 기법 (Random beamforming applying codebook rotation)

  • 강지원;유병욱;서정태;이충용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6권7호
    • /
    • pp.1-5
    • /
    • 2009
  • 랜덤 빔 형성 기법은 정적인 채널에서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를 얻게 하지만, 사용자수에 따른 성능의 제약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송신단에서 다중 랜덤 빔을 형성하는 기법들이 소개되었다. 특히 코드북에 기반을 둔 랜덤 빔 형성 기법은 적은 파일럿 수로 다중 랜덤 빔을 형성한다. 그러나 그 기법은 채널특성에 따른 빔 디자인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중 코드북을 교대로 이용하여 랜덤 빔을 형성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기존 기법에 비해 휠씬 용이하게 빔을 디자인하여 적은 파일럿을 이용하면서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터 이득과 선택적 다이버시티 이득을 동시에 얻는다.

패킷 기반 무선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 이득과 다중화 이득 획득을 위한 다중 직교빔 전송 기법 (Orthogonal Multi-beam Techniques for Multi-user Diversity and Multiplexing Gain in Packet-based Wireless Systems)

  • 오동찬;이용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3A호
    • /
    • pp.286-295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패킷 기반 무선 전송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 이득과 다중화 이득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직교 다중빔 전송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직교 다중빔 전송 기법에서는 채널 환경에 상관없이 항상 송신 안테나 개수만큼의 빔을 생성하였다. 하지만 이 경우 사용자 수가 적은 환경에서 다른 사용자로부터의 간섭 신호 영향으로 인해 시스템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채널 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빔의 개수를 조절하는 전송 기법에 대해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채널의 상황에 따라 빔의 개수를 유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사용자 수가 적은 환경에서도 높은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기존 다중 직교 빔에 비해 성능 향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중 스택 빔 형성을 이용한 고 지향성의 다중 목표물 고각 추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ulti Target Elevation Angle Estimation of Hight Directivity using Multi Stacked Beam Forming)

  • 이관형;송우영;이명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129-13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다중 빔 형성기법을 이용하여 다중 목표물들의 고각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배열 소자로 수신되는 신호들을 디지털로 처리해 수신 빔을 스택 빔으로 만들고, 빔 형성기에서는 안테나 소자에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서 원하는 수신 빔을 생성 할 수 있다. 이때 스택 빔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값비싼 위상천이기 필요하지만, 현재는 컴퓨터의 성능이 많이 향상되어 위상변위기 대신에 고속 푸리에 변환을 이용하여 다중스택 빔을 형성한다. 또한 수신기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빔을 조향하기 위해서 빔 조향 오차 보정 기법을 적용하여 다중 빔의 지향성을 향상 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고속 후리어 변환과 빔 조향오차 보정 기법에 근거를 둔 제안된 고각 추정방법이 기존의 방법에 비해 목표물 추정 면에서 우수함을 보인다.

SIR 향상 다중 노드용 UCA 빔 형성 전력 할당 방법 (Beamforming Power Allocation Method of Multiple Nodes with UCA for Increasing SIR)

  • 박성호;박철;김한나;정재학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1호
    • /
    • pp.16-2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원형 배열 안테나를 사용한 무선 메쉬 네트워크 LOS 환경에서 다중 노드 빔 형성을 위한 SIR 향상 빔 형성 전력 할당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다중 노드 접속을 위한 다중 노드 빔 형성 시 존재하는 전력 제한 조건을 만족시키며 송신 전력이 최대화되는 다중 빔 전력 할당 기법이다. 전산 모의 실험을 통하여 제안 한 빔 형성 전력 할당을 적용하였을 때 UCA 안테나에서 기존의 방법보다 다중 노드의 SIR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페이즈 필드 설계법 기반의 다중 빔 형성을 위한 빔 분배기 위상최적설계 (Topology Optimization of Beam Splitter for Multi-Beam Forming Based on the Phase Field Design Method)

  • 김한민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3호
    • /
    • pp.141-147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체계적인 설계법을 통해 다중 빔 형성을 위한 빔 분배기의 설계를 소개한다. 본 연구의 목표는 산란하는 마이크로파를 다중 방향으로 진행하는 빔으로 변환시키는 빔 분배기를 설계하는 것이다. 기존의 이론 기반 접근법으로는 불특정 방향으로의 다중 빔 분배가 어렵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이론 기반 접근법인 변환광학 이론이 아닌 체계적인 설계 방법인 페이즈 필드 설계법을 통해 최적의 빔 분배기 구조를 설계하였다. 목적함수는 각 방향으로 특정 지점의 전기장 세기의 표준값을 최대화로 설정하였다. 섬 형상의 구조를 피하고 하나의 연결된 구조를 얻기 위해 증강된 라그랑지안을 사용하여 체적 제약조건을 설정하였다. 목표 주파수는 X-band의 주파수 대역의 10GHz이다. 설계된 최적 형상의 빔 분배기는 다중 빔 형성 성능을 잘 보였고, 목표 영역에 전달되는 전기 에너지는 증가하였다. 또한 설계가 유효한 주파수 대역을 평가하기 위해 X-band 대역에 대해 주파수 대역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다중빔 음향측심기의 내수면 적용성 평가 (Applicability Evaluation of Multi Beam Echo Sounder for Inland Water)

  • 정진우;조광희;홍승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29-63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의 죽산보에서 죽산교까지 길이 약 840m, 폭 약 230m, 넓이 약 $0.16km^2$를 대상으로 단빔 음향측심기와 다중빔 음향측심기의 내수면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무인선에 단빔 음향측심기와 다중빔 음향측심기를 장착하고 각각의 데이터를 획득한 다음 비정규삼각망(TIN: Triangular Irregular Network)을 생성하고 10m 간격의 격자 수심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단빔 및 다중빔 음향측심기의 격자수심 총 5,024개의 데이터를 중첩 비교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수심의 차이는 평균 0.0319m로서 전체적으로 큰 차이는 없었으나 표준편차는 2.4095m로 크게 나타났다. 둘째, TIN으로 구현된 하상의 형태는 서로 유사하였으나, 다중빔의 하상면보다 높거나 낮은 단빔의 하상면 구역들의 체적은 총 $161,882m^3$의 차이가 있었다. 셋째, 대상지역 전체를 다중빔으로 스캔했을 때 단빔에 비해 운항 거리는 4,595.85m, 약 55% 정도 증가하였으며, 운항 시간은 59분, 약 47% 정도 증가하였다. 넷째, 작업공정, 투입인원 및 소요비용에서는 같거나 큰 차이가 없었다. 운항 거리나 운항 시간과 같은 작업 효율면에서 단빔을 장착했을 때보다 다중빔을 장착했을 때 효율이 약 0.5배 정도 낮은 것으로 판단되나, 하상변동 예측과 같이 하상면의 정확한 데이터가 필요한 분야에서는 다중빔 음향측심기를 이용한 데이터 획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멀티빔(MBES)의 오차보정에 관한 연구 (Establishment Error Calibration Method on MBES)

  • 노정식;최윤수;윤하수;이유정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351-359
    • /
    • 2009
  • 최근 수심측량 기술은 단일빔음향측심기에서 발달된 다중빔음향측심기가 일반화되면서 우리나라에 인접한 바다와 내륙에 형성된 하천 지역에 대한 정확한 수심측량 및 지형조사에 다중빔음향측심기가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다중빔음향측심기의 정확도를 검증하고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검증방법을 수립하기 위해, 외력(파도, 조류 조석)에 의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은 하천지역에서 취득된 데이터의 정확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동일한 위치에서 토탈스테이션과 수위계를 이용하여 취득된 자료를 통해 정확도를 검증한 후 IHO의 허용오차 기준에 부합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였다. 분석결과, 수심이 깊을수록 다중빔음향측심기의 측심 오차가 미세하게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IHO 허용오차를 기준으로 특급 성과의 획득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다중 경로 환경 상태에서 다중 빔 탐색 레이다의 표적 고도 추출 (Target Altitude Extraction for Multibeam Surveillance Radar in Multipath Environmental Condition)

  • 정명수;홍동희;박동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1203-1210
    • /
    • 2007
  • 다중 빔 탐색 3D 레이다는 디지털 빔 형성 기술을 이용하여 수신시 적층 빔을 형성하는 최신의 3D 레이다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 경로 환경 상태에서 다중 빔 3D 레이다의 저고도 표적의 고도 추출을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고찰해 보고자 한다. 다중 빔 레이다에서 저고도 표적에서 발생하는 다중 경로 전파 및 레이다 신호 발생 모델링에 대해 기술하고, 거울 반사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표적 고도를 추출하기 위해 nelder-mead simplex multipath reduction(NMSMR) 기법에 대해 기술한다. 제안된 알고리듬의 성능을 다양한 표적 고도와 레이다 주파수에 대해 시뮬레이션으로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