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중매개

검색결과 557건 처리시간 0.031초

대학생의 개인정보보호 인식이 정보보안 태도 미치는 영향연구: 정보보안, 개인정보침해, 개인적 경험, 정보보안 의도 다중매개효과분석 (A Study on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wareness on Information Security Attitudes: Information Security,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Personal Experience, Information Security Intent Multi-Mediation Effect Analysis)

  • 윤일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125-132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개인정보보호 인식이 정보보안 태도와의 관계에서 정보보안, 개인정보침해, 개인적 경험, 정보보안의도의 다중매개효과를 실증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G대학교 22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실증분석 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개인정보보호와 정보보안 태도 사이에서 정보보안, 개인정보 침해, 정보보안 의식은 단순매개효과가 있었다. 둘째, 개인정보보호와 정보보안 태도 사이에서 정보보안, 개인정보침해, 개인적 경험, 정보보안 의식이 병렬 다중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개인정보보호와 정보보안 태도 사이에서 개인정보침해와 정보보안 의식은 병렬 다중매개 상태에서 단순매개효과가 있었다. 넷째, 개인정보보호와 정보보안 상태에서 정보보안은 단순매개효과가 있지만, 병렬 다중매개상태에서는 단순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단순매개효과와 다중매개효과를 실증 비교하였으며, 매개변수를 다중으로 투입하여 연구의 다변화를 시도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다중 채널 영상복원을 위한 혼합 노름 기법 (Mixed Norm for Multichannel Image Restoration Algorithm)

  • 김도령;송원선;홍민철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Ⅳ
    • /
    • pp.1715-1718
    • /
    • 2003
  • 본 논문에서 우리는 정규화 된 혼합 노름(norm)을 이용한 다중 채널 영상 복원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채널 내부와 채널 사이의 결정론적 정보를 이용하는 다중채널 복원 문제를 고려한다. 각 채널에서, LMS(Least Mean Square), LMF(Least Mean Fourth), 평탄 함수가 결합된 함수가 제안되었다. LMS와 LMF 사이의 적절한 분배를 제어하는 혼합 노를 매개변수와 해의 평탄 정도를 정의하는 정규화 매개 변수를 소개하며, 두 매개 변수는 각 채널의 잡음 특성에 따라 매번 반복적으로 갱신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각 채널의 잡음분포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지 앉고 앞에서 언급된 매개 변수는 부분적으로 복원된 영상에 기반을 두고 조절하게 된다.

  • PDF

저소득 수급노인의 사회보장급여 수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건강상태와 이웃관계의 다중매개효과 (The Multimediating Effect of Health Status and Neighborhood Relationships on the Effect of Social Security Benefit Levels on Depression in Low-income Recipient Elderly)

  • 이형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375-376
    • /
    • 2021
  • 본 연구는 G광역시 영구임대아파트에 거주하는 저소득 수급노인조사(2019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저소득 노인의 사회보장급여 수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건강상태와 이웃관계가 보호효과로 작용하는지에 대한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PDF

일-생활 균형과 일탈행동 경로에서 다중매개 효과 (Multiple Mediating Effects in the Path of WLB on Deviant Behavior)

  • 강수영;강영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711-720
    • /
    • 2022
  • 본 연구는 일과 생활 균형의 일탈행동에 대한 영향력 관계에서 직무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다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실증연구를 위한 자료는 제주지역에 근무하는 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수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동일방법편의를 최소화하기 위해 쌍으로 구성된 총 400쌍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355부를 회수하여 불성실하게 응답한 57부를 제외하고 총 298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과정은 SP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중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연구자들의 예상과 같이 일과 생활 균형은 직무효능감과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확인되었고, 일탈행동에는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불어 양자관계에서 다중매개 효과는 직무효능감은 완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으나 회복 탄력성은 양자관계를 연결하는 주요 매개변수로의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기존연구에서 주목받고 있는 일과 삶의 균형을 개인 차원에서 발생하는 생산적 행동에 대한 긍정적 역할의 범주를 넘어 이를 반생산적 행동으로 연구 범주를 확대하고 그 역할에 대한 의미 있는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고 있다.

OLS 및 변수선택법에 의한 다중선형회귀모형 매개변수 산정 (Parameter Estimation for Multiple Linear Regession Model by OLS and Stepwise)

  • 김경탁;김주훈;박정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61-1165
    • /
    • 2006
  • 본 연구는 OLS 및 변수선택법에 의해 통계학적 모형의 매개변수를 산정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입증하고 하천 주요지점에 대한 홍수위 예측을 통해 홍수예보 및 예측 업무에 기여코자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다중선형회귀모형을 구성하기 위한 독립변수는 예보지점의 수위/유출량 자료와 상류지점의 수위/유출량 자료, 그리고 유역의 선행 평균강우량 등의 자료를 독립변수로 하여 통계학적 홍수예측을 위한 다중선형 회귀모형을 각각 구성하여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였다. 매개변수 산정은 OLS(Ordinary least square root method)와 변수선택(Stepwise)방법에 의해 산정하였으며, 중랑천 유역의 2002년부터 2005년까지의 수문사상 16개를 선정하여 모형에 적용한 결과 두 매개변수 산정방법 모두 30분에서 90분 예측은 상대적으로 정확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OLS 및 변수선택법에 의한 매개변수 산정결과 변수선택법에 의한 방법이 OLS 방법보다는 상관성이나 효율지수면에서 조금 더 정확한 값을 나타내고 있으나 독립변수의 일관성을 감안한다면 변수선택법보다는 OLS방법에 의한 매개변수 산정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기존의 홍수예보 업무에 활용되고 있는 수문학적 홍수예측 모형인 저류함수법의 여러 매개변수 조정에 의한 홍수위 예측 방법보다는 비교적 간단한 통계적 방법에 의한 홍수위 예측 방법으로 홍수예보의 선행시간 확보가 필수적인 중랑천과 같이 유역면적이 작은 중소하천에서의 홍수예보 업무에 효과적으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시강우량 다중회귀분석에 의한 첨두유량 예측 (Peak discharge prediction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hourly precipitation data)

  • 박창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380-380
    • /
    • 2017
  • 유역에서 발생되는 유출량의 크기를 예측하는 것은 홍수피해를 대비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활동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위하여 많은 수문모형들이 개발되어 활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수문모형의 적용을 위해서는 먼저 해당 유역을 재현할 수 있는 매개변수의 보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적절한 정도 이상의 검정결과를 확보하여야만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유역 내의 각종 수문특성을 모형의 매개변수로 자세히 나타내는 것은 쉬운 작업이 아니며, 특히 정해진 기간 내에 적용해야 하는 유역이 다수인 경우에는 더욱 힘든 작업이 될 수밖에 없다. 기후변화에 따라 예견되는 강우량 발생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남한 일대의 홍수영향을 지자체별로 평가하기 위한 작업에서는 각 지자체별 많은 소유역에서의 적절한 수문모형 매개변수를 개별적으로 찾아내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할 것으로 예견되어, 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 주어지는 시간별 강우량 자료를 활용하여 첨두유량을 예측할 수 있는 통계적인 방법을 적용하였다. 홍수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는 수문곡선 자체보다는 첨두유량의 크기가 더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어, 홍수통제소에 제공하는 각 유량관측지점의 유량자료와 시간별 강우량자료로부터 단위 호우사상별 첨두유량과 일정 시간간격 강우량 사이의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첨두유량 예측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위한 시간간격별 강우량은 각 강우사상에 대하여 첨두유량 발생 직전의 1시간~12시간의 1시간 간격, 1일, 2일, 3일, 5일, 10일 등 17가지의 시간간격 동안의 강우량 자료를 찾아 다중회귀분석에 활용하였으며,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10년 동안의 홍수통제소 자료를 활용하였다. 대상지역은 경기도 남부의 너부대교, 경안교, 복하교, 수직교 수위관측소지점으로 선정하였으며, 일정 크기 이상의 첨두유량 자료를 선별하여 해당 기간에 대한 강우량 자료를 준비하고, 유출량의 크기별로 분류하여 절반의 호우사상은 매개변수 보정에 그리고 나머지 절반의 호우사상은 모형의 검정에 사용하였다. 매개변수 보정결과는 $R^2$ 값이 0.87~0.96을 보이는 등 첨두유량의 예측에 충분히 적용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보정되어진 매개변수로 실시한 검정에서는 0.76~0.85의 $R^2$ 값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충분한 유량자료와 시간별 강우량자료만 준비된다면 첨두유량을 예측할 수 있는 회귀방정식으로 이루어진 간단한 모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임의로 주어지는 시간별 강우량 자료를 활용하여 첨두유량의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역량과 자아존중감의 연속다중매개효과 (The Effects of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n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ompetence and Self-Esteem)

  • 박동진;김송미;박경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803-81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역량과 자아존중감의 연속다중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2기 1차년도 조사(2019)의 청소년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이중문화 수용태도는 삶의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사회적 역량이 매개하였다. 셋째,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자아존중감이 매개하였다. 넷째,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사회적 역량과 자아존중감이 연속적으로 다중매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다문화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과 함께 본 연구결과가 가진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결과가 가진 한계점을 제시하고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다중매개모델에서 bootstrapping기법을 이용한 흡수능력의 매개효과 분석 (A Mediation Analysis of Absorption Capacity by Bootstrapping Technique in Multiple Mediator Model)

  • 김현우;이홍배;신용호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89-96
    • /
    • 2015
  • 매개효과 검정기법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Baron and Kenny 접근법, Sobel, Aroian, Goodman 검정법들의 통계적 검정력이 약할 뿐만 아니라, 정확하지 않다는 비판이 대두되면서, bootstrapping 기법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bootstrapping 기법을 토대로 세 개 이상의 변수로 구성된 다중매개모델에서의 매개효과 검정을 위해 가상의 phantom 변수를 도입하여 검정하였다. 특히, 경영전략분야의 자원기준관점 연구에서 진행되고 있는 조직자원과 매개변수 흡수능력, 그리고 기술사업화역량 관계 모델을 다중매개모델로 설정하여, bootstrapping 접근방법과 phantom 변수 설정을 통해 총간접효과 크기와 유의확률을 계산하고, 흡수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검정결과 매우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매개효과 검정이 가능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인적자원과 물적자원의 자원 특성에 따라 흡수능력의 매개 특성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예비창업가의 학습된 무력감과 창업효능감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기업가정신의 다중매개역할 (The Multi-path Mediated Effect of Resilience and Entrepreneu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d Helplessness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 박재춘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6호
    • /
    • pp.77-90
    • /
    • 2019
  • 본 연구는 예비창업가의 학습된 무력감, 회복탄력성, 기업가정신 및 창업효능감의 인관관계를 규명하였다. 특히, 학습된 무력감과 창업효능감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기업가정신의 다중매개역할을 검증하였다. 경기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의 대학생 154명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창업가의 회복탄력성은 기업가정신과 창업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예비창업가들의 학습된 무력감은 기업가정신과 창업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예비창업가의 회복탄력성은 학습된 무력감과 창업효능감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였다. 넷째, 예비창업가의 기업가정신은 학습된 무력감과 창업효능감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된 무력감과 창업효능감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기업가정신은 다중 매개역할을 하였다. 즉, 예비창업가들이 지각하는 높은 학습된 무력감은 대학생들의 회복탄력성과 기업가정신을 거쳐 결국 창업효능감을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스마트폰 의존이 청소년 온·오프라인 비행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mart Phone Dependency on Juvenile Delinquency)

  • 전영준;남태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139-151
    • /
    • 2020
  • 본 논문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드에서 일어나는 청소년 비행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매개분석을 통해 파악한다.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 온라인·오프라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어 매개변수로서 스마트폰 의존도와 정서상태를 포함하여 다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다중매개효과가 문화활동 참여에 따라 완화되는지를 분석하고자 문화활동 참여 여부에 따라 표본을 구분하여 독립변수와 매개변수의 영향력이 문화활동 참여집단과 비참여집단 간에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eran Children Youth Panel Study 2018)의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한 결과,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드에서의 청소년 비행의 증가에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스마트폰 의존과 청소년의 정서상태는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였고 문화활동 참여집단에서 이러한 영향력이 다소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