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이오드 정류기

Search Result 144,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Study of New Technique of Harmonic Elimination in Three-Phase Bridge AC/DC Converter (3상 브리지 AC/DC 컨버터의 고조파 저감에 대한 연구)

  • 김병진;문학룡;김준환;김상우;전희종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2 no.2
    • /
    • pp.21-28
    • /
    • 1998
  • A new technique for shaping the line current and reducing the total hannonic distortion in a threephase rectifier is introduced. A review of the problems inherent in a three-phase diode rectifier feeding capacitive load and the possible solutions are first presented. The proposed 3 bidirectional switches and their operation are presented. The main features of this paper are low cost, high efficiency and simplicity. A simulation and experiment results show its good action.action.

  • PDF

The Study on Characteristic of Thyristor and Diode for Excitation System (여자시스템 정류기용 싸이리스터 및 다이오드 열화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Bong-Suck;Lim, Ik-Hun;Shin, Man-Su;Ryu, Ho-Seon;Lee, Joo-Hy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10d
    • /
    • pp.179-181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전력용 반도체 소자인 싸이리스터 및 다이오드의 열화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발전소의 동기발전기 여자시스템 정류기의 싸이리스터 및 다이오드가 오랜 기간 사용됨으로써 반도체 소자의 열화가 진행이 되며 전기적 특성이 변하여 발전소 운전에 크게 영향을 줄 수가 있다. 한국중부발전(주) 보령화력 발전소의 요청에 따라 전력연구원은 계획 예방 정비 공사 기간 중에 동기발전기 여자시스템 정류기에 사용되는 싸이리스터 및 다이오드 누설전류를 측정하여 전력소자의 건전성을 평가하였다.

  • PDF

Maximum Power Design of Bridge Rectifier for Triboelectric Nanogenerator Using Impedance Analysis (마찰전기 나노발전기의 임피던스 분석을 통한 정류기의 최대 전력 설계)

  • Yoon, Bo-Kyung;Lee, Jun-Young;Jung, Jee-H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9.07a
    • /
    • pp.233-235
    • /
    • 2019
  • 에너지 하베스팅은 주변의 에너지를 수확하여 활용하는 기술로 이에 관련한 연구가 여러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마찰전기 나노발전기는 물리적인 움직임이나 마찰을 통해 발생되는 정전기를 이용하여 센서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활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중 하나이다. 마찰전기 나노발전기는 ${\mu}W$(마이크로와트) 단위의 미소 전력을 생산함에도 불구하고, 다른 에너지 하베스팅 발전기들과 비교하여 큰 임피던스를 가지고 있어서 전력을 전달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마찰전기 나노 발전기의 출력 전력은 Spike성 Pulse Train의 형태여서 다이오드 정류기가 필요하기 때문에, 정류기의 입력 임피던스와 마찰전기 나노 발전기의 출력 임피던스에 대한 분석을 이용한 임피던스 매칭 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이오드 정류기의 임피던스 모델을 유도하여 마찰전기 나노 발전기의 내부 임피던스와의 매칭을 통해 최대 전력을 전달하는 커패시터와 출력 부하 설계를 목표로 한다. 유도한 임피던스 모델에 대하여 실제 전력 실험을 통해 모델의 유효성과 정확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PDF

1kW Photovoltaic Converter with High Frequency Transformer (1kW급 태양광발전용 고주파링크 방식의 컨버터)

  • Yu, B.G.;Lee, K.O.;Yu, G.J.;Choi, J.Y.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1087-1088
    • /
    • 2008
  • 계통연계형 태양광발전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전력변환 장치인 PCS(power conditioning system)은 성능, 효율, 가격, 그리고 보호 및 협조 문제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주파 변압기를 이용한 컨버터에 대하여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FB(full bridge) 컨버터, 고주파 변압기, 다이오드 정류기, DC link 필터, PWM 인버터 그리고 저역통과필터로 이루어져 있다. 고주파 변압기를 이용한 컨버터의 스위칭 주파수는 10kHz로 Uniploar PWM 방식을 이용하였고, 변압기의 2차단에 다이오드 정류기와 커패시터를 통하여 DC로 정류한다. 고주파 변압기를 이용한 컨버터의 제어는 전압형 전류제어로 MPPT 알고리즘에 의한 입력전류제어를 담당하고, DC link 전압의 제어는 Unipolar PWM 인버터에서 제어를 담당한다. 논문에서는 고주파 변압기를 이용한 FB Conveter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 PDF

A New Diode Clamp Rectifier Flyback Converter with Low Voltage Stress (낮은 전압 스트레스를 갖는 새로운 다이오드 클램프 정류기 플라이백 컨버터)

  • Park Sang-Gab;Han Sang-Kyoo;Roh Chung-Wook;Hong Sung-Soo;SaKong Suk-Chin;Kim Jong-Sun;Choi Heung-Kyun;Cho Kwang-Seu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6.06a
    • /
    • pp.360-362
    • /
    • 2006
  • 기존 플라이백 컨버터의 출력 정류 다이오드는 변압기 누설 인덕터와의 공진으로 소자의 전압 스트레스 부담이 크며 스너버의 부가가 필수적이다. 반면 제안된 다이오드 클램프 정류기를 채용한 플라이백 컨버터는 출력 다이오드가 출력전압의 절반 또는 출력전압으로 클램프 되어 전압 내압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손실이 큰 스너버가 필요 없으며 저가형 및 고효율의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컨버터를 소개하고 동작원리 및 동작모드 해석과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한 검증결과를 제시 한다.

  • PDF

Design of high power factor induction heating system with 3 phase diode rectifier and buck converter (3상 다이오드 정류기와 벅 컨버터를 사용한 고역률 유도가열 전원장치)

  • Lee, Chang-Woo;Choi, Seung-Soo;Kim, In-Dong;Jung, Jang Han;Seo, Dong Hoa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07a
    • /
    • pp.345-346
    • /
    • 2017
  • 유도가열은 전자기 유도현상을 이용하여 금속체를 직접 가열하는 방식이므로 높은 변환 효율로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단조용 유도 가열 전원 장치는 주로 위상제어 정류기를 이용한다. 하지만 입력단의 저 역률 및 입력전류 THD가 높은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안하기 위한 3상 다이오드 정류기와 벅 컨버터를 사용한 고 역률 유도가열 전원 장치를 제안한다.

  • PDF

Design of high efficient interface circuit for electromagnetic energy harvester (전자기유도현상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의 고효율 인터페이스 회로 설계)

  • Kim, Jae-Woo;Koo, Byoung-Hyun;Kwon, Jin-San;Cho, Hyun-Ok;Halim, Miah A.;Das, Partha Sarati;Park, Jae-Ye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71-7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전자기유도현상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터의 AC 출력 전압을 DC 전압으로 바꾸는 고효율 정류회로를 제안한다. 하베스터에서 다이오드의 문턱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생산될 수도 있을 뿐더러, 더 높은 전압이 생산된다 해도 결국 다이오드 정류를 거치면 엄청난 손실이 생기기 때문에 기존의 다이오드를 이용한 정류회로는 작은 AC 전압을 생산해내는 전자기유도현상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터와는 맞지 않다. 따라서 제안하는 정류회로는 별도의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스위치 회로를 갖추어 MOSFET과 LC공진을 이용하여 부스팅 후 정류를 그 목적으로 한 고효율 정류회로이다. 본 논문에서는 MOSFET과 LC공진회로의 특성을 이용한 고효율 정류회로를 설계, 동작원리를 설명하고, PSIM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그 유용성을 검증한다.

  • PDF

A Single-Stage Single-Switch Flyback Converter with Synchronous Rectifier (단일단 단일스위치 동기정류기형 플라이백 컨버터)

  • Lim, Ik-Hun;Lee, Joo-Hyun;Ryu, Ho-Seon;Kwon, Bong-Hwan;Kim, Bong-Suck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11 no.4
    • /
    • pp.361-370
    • /
    • 2006
  • A single-stage single-switch flyback converter with synchronous rectifier is proposed. The proposed single-stage single-switch technique meets the IEC 61000-3-2 harmonic requirements. The proposed SR is the voltage driven synchronous rectifier (VDSR) which operates depending on the voltage drop across the drain and source of the MOSFET. Experimental results for the 85W (12V /7.1A) proposed converter are shown.

Harmonic Reduction of Electric Propulsion Ship using New Rectification Scheme (새로운 정류방식을 이용한 전기추진선박의 고조파 저감)

  • Kim, Jong-Su;Choi, Jae-Hyuk;Yoon, Kyoung-Kuk;Seo, Dong-Ho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6 no.10
    • /
    • pp.2230-2236
    • /
    • 2012
  • Currently, the AC-to-DC power conversion system using diode rectifiers is mainly used in large vessels. Also, to reduce the total harmonic distortion(THD) of current and voltage, this system requires an additional phase-shifting transformer which can be powered multi-pulses. In this case,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transformer, the spatial or economic loss occurs. This paper presents a novel active rectification scheme using silicon controlled rectifier(SCR) or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IGBT) devices on behalf of the diode rectifiers which are currently operating in large vessels such as LNG Carrier(LNGC). The proposed system can use the low voltage source and reduce current and voltage harmonics generated by nonlinear loads connected to the power distribution bus and save economic costs by removing the phase-shifting transformers which are used in conventional system. Computer simulations are performed under the electric propulsion system which is operating in current large vessel. The results are shown in support of the improvement of THD included in the current and voltage wave forms of propulsion motor.

A New Active High Power Factor Diode Rectifier System (새로운 능동형 고역률 다이오드 정류기시스템)

  • Kim H.J.;Choi S.W.;Won C.Y.;Kim G.S.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3.07a
    • /
    • pp.269-27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2대의 다이오드 정류기에 부스트 컨버터를 이용하여 전류의 파형을 능동적으로 만들어 정현파의 입력전류를 얻는 새로운 방식의 고조파 저감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한 당식으로 역률 1의 전원 품질을 얻을 수 있으며 입력측의 변동에 대한 출력전압의 조정도 가능하다. 또한 저감된 용량을 갖는 3상 오토 트랜스포머의 사용으로 기존의 $\Delta$-Y 변압기에 비해 KVA정격이 80$\%$ 절감되며 상간변압기도 필요 없다. 본 방식을 소형화와 고품질의 전원이 요구되는 통신용 정류기등에 적용하면 효과적이다. 제안한 방식의 동작원리, 제어 및 설계방법을 기술하고 1.5KW급 시작품으로부터의 실험결과를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