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문화 태도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39초

Structural Model Analysis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Korean Language Ability of Multicultural Children

  • Kim, Jae-Na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1호
    • /
    • pp.241-249
    • /
    • 2022
  •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 2기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문화 아동들의 심리사회 적응, 이중문화체험, 부모지지 및 양육태도, 학교생활이 한국어 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고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외국인 가정과 중도입국 가정의 396명으로 2019년도에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하고 있었던 다문화 아동들이다. 연구 결과 심리사회 적응, 이중문화체험, 학교 활동은 다문화 아동들이 한국어를 구사하고 이해하는 능력에 직·간접적으로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교 활동이 다문화 아동들의 한국어 능력 향상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친구의 지지와 교사의 지지가 교육 현장의 교육활동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다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 아동을 위한 한국어 교육정책에서 한국어 능력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이상적인 교육 환경이 필수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학교준비도와 감각처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 of a Multicultural Family Mother on the School Readiness and Sensory Processing Skill)

  • 송경아;오명화;김혜미;김정자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531-539
    • /
    • 2019
  • 본 연구는 광주·전남에 거주하고 있는 다문화가정의 어머니 및 아동 각 43명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정의 어머니 양육태도와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이 취학 전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MBRI,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은 SSP를 그리고 학교준비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가정의 어머니 양육태도 총점은 165.72±24.19점 이었고, 하위항목에서는 자율적 태도, 통제적 태도, 거부적 태도, 애정적 태도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어머니 양육태도만 아동의 학교준비도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p<.05).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어머니양육태도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긍정적인 양육태도 형성에 필요한 부모교육과 학교준비도와 관련된 학교작업치료 중재들이 적극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문화 과목을 이수한 새내기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에 대한 주관적 견해 및 태도 (Subjective View of and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ism in First-yea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fter Completing a Multicultural Subject)

  • 하은호;조진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8-259
    • /
    • 2015
  • Purpose: Individuals' view of multiculturalism can be var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subjective view of and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ism in first-yea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who had completed a multicultural subject. Methods: The Q methodology, which integrate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was used. Forty one Q-statements selected from each of the 40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he shape of normal distribution using a nine-point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NL program. Results: Two types of view of multiculturalism were identified: 'domestic type-constructive view' and 'global type-advanced view.' Conclusion: The findings show how nursing students think about multiculturalism and provide a basis for further research and education.

세계시민교육 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과 운영 효과 조사 연구: 예비음악교사의 다문화 교육태도 및 교수효능감을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Effects of a Music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정주연;신지혜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0권1호
    • /
    • pp.47-74
    • /
    • 2023
  • 본 연구는 A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15명의 예비 음악 교사들을 대상으로 세계시민교육 역량 제고를 위한 강좌를 개발 및 실현하고, 그 효과성을 탐색하였다. 강좌는 세계시민교육의 여러 주제 중 다양성과 포용을 바탕으로 한 다문화 교육에 중점을 두고, 관련 이론 탐색을 통해 음악의 사회·문화적 산물로서의 본질을 이해하고, 참여자 주도로 중학생을 위한 수업 방안을 개발 및 실현하는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사전/사후 검사 결과 강좌 전후로 첫째, 예비음악교사들의 다문화 교육 태도가 향상되었고, 특별히 교사의 역할에 대한 태도가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본 연구의 강좌가 예비교사들로 하여금 다양성 및 다문화 교육과 관련한 인식과 편견을 반성하고 음악 교사로서의 역할을 고민하도록 도왔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둘째, 다문화 교수 효능감의 향상 중 다문화 상황에서의 교육 및 다문화 교육 교수 효능감 향상이 두드러졌는데, 이는 성찰지를 통해 본 강좌가 음악의 사회·문화적 산물로서와 상징적 표현 가능성의 가치를 깨닫도록 한 영향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강좌는 실질적인 삶의 문제들을 풀어나가는 변혁적 교수법의 필요성 인식과 실천, 음악에 대한 다각적인 이해와 탐색을 바탕으로 한 세계시민교육의 여러 주제들의 접근을 도와 예비음악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 역량을 발전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

우리나라 다문화 가족 교육 및 복지정책의 개선방안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Family Education and Welfare Policy in Korea)

  • 김운삼
    • 산업진흥연구
    • /
    • 제4권2호
    • /
    • pp.29-38
    • /
    • 2019
  • 본 연구는 다문화 교육이 유치원과 같은 교육현장에만 국한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유아의 다문화적 태도와 의식은 무의식적으로 부모의 언행과 어린 시기 학교교육을 통해서 습득되기 때문에 가정과 유치원에서 다문화 교육을 실시할 것을 강조하였다. 즉, 다문화 교육은 단순히 교육현장에서만 이루어져서는 안되며, 유아들의 가정내의 교육도 동반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부모를 대상으로 한 다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는 점무 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다문화 교육에 대한 경험 여부에 따른 인식과 양육실제를 조사함으로써 다문화 교육에 관한 부모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또한 부모를 위한 다문화 교육 및 복지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Testing the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 황성동;임혁;윤성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1호
    • /
    • pp.125-150
    • /
    • 2012
  • 본 연구는 이주문화에 대한 상호문화적응과 통합의 관점에서 대학생들의 다문화 태도변화를 위한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 유사실험전후비교 조사설계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실험집단(45명)과 통제집단(47명)에서 나타나는 다문화태도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프로그램 효과성의 지속성 여부를 분석하기 위하여 추후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차이는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t=4.264, p=.000) 그리고 사전-추후 차이 역시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음(t=2.466, p=.016)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통제집단의 경우 사전-사후-추후점수간에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향후 우리사회가 지향해야 할 다문화교육의 전개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이주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와 시민권에 대한 태도 (Social Distance and Attitude toward Migrants' Citizenship in Korea)

  • 조동기
    • 한국인구학
    • /
    • 제33권3호
    • /
    • pp.53-73
    • /
    • 2010
  • 이 논문은 다문화 사회로 향하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나타나는 이주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와 이주자에게 부여되는 시민적 지위에 대한 태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지구화의 진전으로 국가의 영토적 경계를 벗어나서 존재하면서도 본래의 국적을 유지하는 사람들이 급격히 증가되면서 이주자들의 시민권이 다인종 다문화 사회의 중요한 쟁점이 되어 왔다. 이 논문은 한국학중앙연구원이 2008년에 수행한 '다인종 다문화 사회통합 관련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외국인 및 이주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 국민정체성의 기반에 대한 인식, 이주자들에게 부여되는 시민적 지위, 즉 이주자 시민권에 대한 태도와 그것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다. 흑인과 중동인에 대한 한국인의 사회적 거리가 큰 편이지만 현실적으로 더 문제가 되는 것은, 이주자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동남아인들과 향후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새터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도 상당히 크다는 사실이다. 국민정체성의 기반을 시민적 요소, 민족적 요소, 문화적 요소를 나누어 살펴보면 시민적 요소가 가장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이중국적에 대해서는 폐쇄적인 태도가 강하게 나타나 지구적 시민권과는 상충되는 현상이 존재하고 있다. 이주자 시민권에 대한 태도 모형을 다중회귀분석으로 추정한 결과에 의하면, 한국 사회에서 이주자들을 위한 지구적 시민권의 개념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본적 인권과 평등에 대한 보편주의적 태도와 시민적 자질을 중요시하는 국민정체성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는 동시에, 한국사회에서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단일민족의식과 이중국적에 대한 폐쇄주의적 태도를 약화시켜 나가야 한다.

다문화수학교사교육의 원리와 방법 (Principles and Methods of Multicultura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 송륜진;문종은;주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4호
    • /
    • pp.639-665
    • /
    • 2010
  • 최근 국내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논의의 확산과 더불어 다원화된 사회에서 요구되는 공존을 위한 삶의 태도 함양과 교육적 기회 평등 보장을 위한 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교사 양성이 교사교육의 주요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 및 다문화수학교육 관련 이론, 그리고 다문화수학교사교육 사례 검토에 기초하여 다문화수학교사교육의 원리와 방법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본 논문에서는 다문화적 수학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정의적 영역', '인지적 영역', '행동적 영역'으로 범주화하였다. 이들 영역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내용적 요소로서 '문화성', '다양성', '평등성', '자기정체성', 그리고 지도원리로서 '반성', '참여', '실행'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다문화수학교사교육에 제공하는 시사점 논의를 통해 다문화적 역량을 갖춘 수학교사양성을 위한 초석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PDF

다문화청소년들의 스트레스대처, 사회적 지원, 심리적 안녕감과 학업태도 간의 인과관계 분석 (Relationships Among Stress Coping Strategy,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Well-being, Academic Attitude, of Adolescents with Multi Cultural Family Background)

  • 이덕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760-77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들의 스트레스와 학업태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스트레스 대처와 사회적 지원,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관계를 파악하여 보다 효율인 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요인 간의 관계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델을 설정하고,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모형의 적합도 및 변인 간 관계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 간에 차이를 검증하였다. 학년과 가족의 월평균 수입에 따른 스트레스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거주기간에 따른 스트레스에 대한 차이는 인간관계와 수업참여에 대한 스트레스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청소년의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대처와 심리적 안녕감에는 음(-)의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사회적 지원, 스트레스 대처, 심리적 안녕감 모두 스트레스와 학업태도 간의 관계에서 정(+)의 매개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행태 실태 분석: 제15차(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 이용 (Sexual Behavior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15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2019)

  • 손예동;최혜선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73-8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다문화 청소년의 성행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빅데이터를 활용한 이차분석 연구로, SPSS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복합표본 빈도와 백분율, 복합표본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성관계 경험은 8.2%로 피임 방법은 콘돔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대부분의 청소년은 학교에서 성교육을 들은 경험이 있었다. 이들의 성관계 경험은 학년, 학업성적, 경제상태, 거주형태, 스트레스, 평생 음주 및 흡연 경험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p<.001). 따라서 다문화 청소년의 성행태에 관련이 있는 요인을 반영하여 성교육을 하는 것이 이들의 성건강에 도움을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