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문화정보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초

국내 다국어/다문화 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Multilingual and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in Korea)

  • 조용완;이수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269-297
    • /
    • 2011
  • 최근 우리사회의 다문화사회의 진전과 함께 민간단체 등에서 비롯된 다국어/다문화자료의 구비와 다국어/다문화 정보 서비스를 위한 노력이 공공도서관으로 확장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다국어/다문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도서관들은 국가 도서관 정책단위들(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국립중앙도서관 등)로부터 정책, 예산, 기술적 지원을 풍부하게 얻지 못한 상황에서 개별적으로 자료를 구비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각개약진'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국내 도서관들이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다국어/다문화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체계적인 접근방법을 모색하고자 전국적 차원에서 국내 도서관들의 다국어/다문화 서비스의 실태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국어/다문화 서비스와 관련된 국가적 차원의 도서관 정책 뿐만 아니라 다국어/다문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개별 도서관들을 위한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

다문화 가정 학생을 위한 컴퓨터 교육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Computer Education for the Multiculture Students)

  • 박수현;박선주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5-31
    • /
    • 2009
  • 최근 한국사회는 급속히 다문화 사회로 변화 되면서 다문화 가정 학생을 위한 교육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 변화 흐름에 맞추어 다문화 가정 학생의 기초학습 능력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또한 국어, 사회, 음악, 미술, 통합교육 등에서 다문화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의 생성, 처리, 분석, 검색, 활용 등의 기본적인 정보 소양능력을 기르고, 이를 학습 활동과 일상생활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데 필요한 컴퓨터 교육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다문화 가정 학생을 위해 필요한 컴퓨터 교육내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다문화 연구의 이슈 추적 연구 (A Study on Issue Tracking on Multi-cultural Studies Using Topic Modeling)

  • 박종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73-289
    • /
    • 2019
  • 본 논문은 국내 다문화 관련 분야의 연구동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다문화와 관련한 국내 학술 문헌을 수집하여 LD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기반의 토픽 모델링을 통해 토픽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다문화 관련 연구에서의 중심 연구 토픽을 시기별로 추적하여 그 변화의 양상을 관찰하였고, 그 결과 핫 토픽으로는 '다문화 사회통합'과 '학교 다문화 교육'이 관찰되었으며 콜드 토픽으로는 '문화정체성과 민족주의' 관련 토픽이 관찰되었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의 다문화수용성이 다문화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Workers on Multicultural Attitude)

  • 김영교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17-124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들의 다문화의 수용성의 인식수준에 대한 분석과 다문화 태도와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이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들의 사회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다문화 수용성과 다문화 태도의 차이가 어떠한지를 분석한 결과 변수들 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들의 다문화 수용성의 다문화관계 형성능력, 다문화적 인식, 다문화적 공감의 요인들이 다문화 태도의 개방성과 수용성, 그리고 융통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변수들 간에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들의 다문화 태도의 수준을 제고시킬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는 것이다.

다문화 가정 학생을 위한 컴퓨터 교육 내용 개발 (Development of the Computer Education Contents for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y)

  • 박수현;박선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417-425
    • /
    • 2010
  • 다문화 가정 학생들을 위한 교육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문화 교육 수업모형 및 수업방법 등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컴퓨터 교육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 가정학생의 정보격차는 일반학생에 비해 현저히 낮아 학업과 미래의 삶에 영향을 미치므로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다문화 가정 학생들에게 정보격차를 해소하고 한국문화와 한국교육 흐름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 보충학습과정으로 다문화 가정 학생을 위한 컴퓨터 교육내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개발된 교육내용을 다문화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타당성을 검증한후 단계별, 차시별 교육내용을 구성한다.

  • PDF

대구지역 다문화 유관 기관의 아카이빙 활동 현황에 관한 연구 (Current Status of Archiving Activities of Multicultural Service Agencies and Organizations in Dae Gu Metropolitan City)

  • 조용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25-155
    • /
    • 2016
  • 본 연구는 대구 지역 다문화 유관 기관들의 다문화 정보자원의 생산, 수집, 관리를 포함하는 아카이빙 활동에 대해 살펴보고자 시청 다문화팀, 다문화 관련 센터와 시민단체, 공공도서관 등 총 12곳을 대상으로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들은 온/오프라인을 통한 정보자원의 생산, 외부 정보자원의 수집, 그리고 공문서와 상담일지, 다문화 도서, 박물자료 등의 정보 관리를 위해 노력해왔으나, 이 과정에서 일부 문제점들도 나타났다. 향후 다문화 유관 기관들은 정보생산, 수집, 관리에서 책임성을 강화하고, 공공도서관은 다문화 유관 기관들의 자료에 대한 수집과 조직을 위해 적극 노력해야 하며, 양측은 협력적 아카이빙 활동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다문화가족의 건강욕구 분석 및 정보접근성 향상을 위한 ICT 활용 방안 (Policies and ICT Strategies based on Health Needs for Multicultural Families)

  • 정수용;이선영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1-14
    • /
    • 2024
  •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의 건강욕구 및 관련 정책들을 파악하고, ICT를 활용한 건강정보의 접근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방법은 질적 연구로서, 선행문헌 검토를 통해 다문화가족의 건강실태를 1차적으로 분석한 후,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그간 다문화가족의 건강정책은 타 부문에 비해 정책우선순위가 밀려 있고, 다문화가족의 건강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한 ICT 활용 논의가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문화가족을 심층인터뷰한 결과, "한국사회 진입초기 경험", "의료기관 이용시 높은 언어장벽", "다양한 이유로 인한 미충족의료 경험", "보건의료 관련 서비스 욕구가 높은 영역" 등의 4개 주제가 도출되었다. 다문화가족의 건강권 보장 및 건강정보 접근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의료기관의 언어적 지원체계 강화, 정부의 다문화가족을 위한 정책적 노력, 수요자 중심의 쌍방향 ICT 플랫폼 설계 등을 제언하였다.

다문화 학습과 소통을 위한 모바일 서비스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Services for Learning and Communication on Multiculture)

  • 송재오;최나은;이상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년도 제5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6권1호
    • /
    • pp.175-176
    • /
    • 2018
  • 다문화주의는 문화적 다양성을 장려하는 생각이나 정책을 말한다.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도 1990년대 이후로 꾸준히 국제결혼이 증가하면서, 2010년에는 다문화 가정이 38만 6977가구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영향력과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 중 하나로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과 다양성 존중을 위한 다문화 아동에 대한 이해로, 본 논문에서는 학생, 교직원, 시민들이 참여하여 다문화에 대한 다양성을 학습하고 이해하여 소통할 수 있는 모바일 서비스를 제안한다.

  • PDF

정보소외대상으로서 다문화가정에 대한 연구: 정보격차지수 조사대상자 재정의를 중심으로 (A Study for Multicultural Families as Digital Poverty: Focusing on Target Changes of the Digital Divide Survey for Multicultural Families)

  • 이향수;이성훈;최정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6호
    • /
    • pp.1-7
    • /
    • 2016
  • 현재 정보소외계층 대상으로서 다문화가정에 대한 정의는 2012년 정부가 다문화가정에 대한 정보격차조사를 시작했던 당시의 기준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정보소외계층으로서 다문화가정에 대해 검토하고 재 정의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는 결혼이주민 중 정보소외대상으로 정보격차조사 대상을 결혼이주여성에 한정하고 있으나, 향후 결혼 혹은 이주노동자 등의 신분으로 결혼이주남성 역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실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다문화사회를 대비한다는 측면에서 볼 때 정보소외대상에 결혼이주남성까지 포함해야 한다. 둘째, 현재 다문화가정에서 정보소외대상으로서 다루어지고 있는 대상은 결혼이주여성에 한정하고 있으나, 결혼이주를 통해 형성된 가정의 아동 역시 정보격차문제를 겪고 있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정보격차가 문제시되는 것은 이러한 정보격차가 교육격차나 향후 경제격차로까지 연계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향후 정부의 정보격차지수 및 실태조사의 대상범위에 다문화가정의 아동을 포함시켜야 한다.

다문화정보서비스의 협력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operation Networks for Multicultural Information Services)

  • 이혜영;곽승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47-169
    • /
    • 2009
  •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의 지식정보의 관문이자 지식정보의 발전소 충전소로써 다문화지식정보서비스 구축을 위한 협력망 구축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지적인 단일기관, 도서관의 한정된 자원과 노력을 '협력'이란 방법으로 실현하기 위해 현재 운영 중인 온라인 다문화지식정보원을 수집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관련 온라인 정보원은 395개 기관에서 422개 정보원을 제공하고 있으며, 국내외 모두 공공기관보다는 민간단체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정보원이 월등히 많았다. 온라인 정보원은 내용별로 교육정보가 24.5%로 가장 많았고, 문화 18.4%, 인권 12.7%, 생활 8.9% 순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관련 온라인 정보원을 기반으로, 국가도서관 중심의 동아시아 국립도서관, 주한대사관과 문화원들과의 연계 및 국내 다문화관련 단체들과 자료를 공유하고 활용하는 협력망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