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목적실용위성 3호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4초

기술논문 : 연성 하중 해석에 의한 다목적실용위성 1 호의 구조하중 예측 (Technical Papers : Structural Loads Prediction of KOMPSAT-1 by Coupled Loads Analysis)

  • 이호형;이주훈;황도순;김성훈;김진희;김학정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23-129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다목적실용위성 1호 개발 과정 중에 수행했던 연성 하중 해석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먼저 일반적인 연성 하중 해석 과정과 다목적실용위성 개발시 수행한 실제의 과정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다목적실용위성 1호의 유한요소모델과 본 해석에 관련된 각 기관들의 역할을 설명하였다. 준비행모델의 진동 시험 결과를 이용한 유한요소모델의 조정에 대하여 설명하고, 또한, 해석에 입력으로 사용되는 외력함수에 해당하는 하중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대표적인 해석 결과들을 제시하여 위성이 발사하중에 대하여 안전하다는 것이 예측되었음을 보여 주었다.

다중위성 운영을 위한 통합 자료처리 시스템의 개념적 설계 (A Conceptual Design of Integrated Receiving end for Multi-Satellite Mission Data Processing)

  • 배희진;채태병;오승엽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7-22
    • /
    • 2010
  • 다목적실용위성 2호 (KOMPSAT-2)의 상용화로 인한 국내외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고품질 위성자료의 처리를 위한 수신과 제품을 생성하기 위한 처리시스템의 기술적인 진보와 해외 위성 직수신 시스템과 연계된 운용을 위해 체계화된 플랫폼의 구성이 요구되고 있다. 더불어 다목적실용위성 3호 및 5호 등 기 개발 중이거나 개발될 시스템의 유사기능의 중복개발 방지와 원활한 시스템 운영을 위해 통합 자료처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절실한 때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미 운용중인 다목적실용위성 2호의 자료처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향후 다목적실용위성 시리즈의 상용화를 고려해 통합자료처리 시스템의 개념적 설계를 수행해 보았다.

다목적실용위성 3호의 지표 정규식생지수 산출 및 비교 분석: GeoEye 자료 활용 (The comparative analysis of KOMPSAT-3 based surfac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Application of GeoEye data)

  • 염종민
    • 항공우주기술
    • /
    • 제13권2호
    • /
    • pp.80-8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다목적실용위성 3호 영상을 이용하여 지표면 상의 정규식생지수 비교 분석 하고자 한다. 산출된 다목적실용위성 3호의 정규식생지수 비교 분석을 위해 동일 지점 최소 관측 시간 오차를 가지는 고해상도 GeoEye 영상이 사용되었다. 먼저, 각 밴드별 분광 정도 산출을 위해 대기 보정이 수행되었다. 대기 보정 수행을 위한 기하 정보는 다목적실용위성 3호 보조자료에 포함된 태양천정각, 태양방위각, 위성천정각, 위성방위각, 날짜 정보이다. 그리고 대기 요소에 의한 감쇄, 산란, 흡수 정보를 물리적으로 계산하기 위해 수증기량, 오존량, 에어러솔 정보가 적용되었다. 일반적으로 정확한 대기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현장관측자료가 중요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MODIS atmospheric products를 사용하였고, 대기보정 모델에서 산출된 지면 반사도는 식생지수 산출에 사용되었다.

다목적실용위성 3호 발사 후 초기 궤도 운영결과 분석 (Analysis on Orbital Dynamics Operation Results of KOMPSAT-3 during Early Phase after Launch)

  • 정옥철;임현정;정대원;김은규;김학정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19-326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다목적실용위성 3호의 초기 궤도운영 결과를 기술하였다. 다목적실용위성 3호는 2012년 5월 18일 발사된 이후 지상국 추적데이터 및 GPS 수신기 데이터를 이용한 궤도결정을 통해 위성의 초기 궤도정보를 획득하였다. 또한, 발사체 투입 궤도로부터 임무궤도로의 변경을 위한 궤도조정을 성공적으로 완료하였다. 그리고 GPS 수신기 원시데이터 및 IGS 데이터를 이용한 정밀궤도결정을 통해 궤도 정밀도를 확인하였다. 다목적 실용위성 3호는 현재 임무궤도에서 정상 운영 중에 있으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지상 관제국에서는 위성 임무 수행에 필요한 궤도 데이터를 매일 생성하여 배포하고 있다. 초기 운영 기간 동안 수행된 궤도운영 결과는 향후 다른 위성의 초기운영의 참고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다목적실용위성 시리즈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in KOMPSAT Series)

  • 이광재;오관영;채태병;이원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6_4호
    • /
    • pp.1313-1318
    • /
    • 2019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총 3기의 다목적실용위성(3호, 3A호, 5호)을 개발 및 운영하고 있다. 위성개발의 주요 목적은 위성으로부터 획득되는 자료의 활용에 있다. 따라서 자료처리의 정확도 향상, 활용 분야의 확대를 위한 지속적 노력이 필요하다. 본 특별호에서는 다목적실용위성 광학 및 레이더 센서 기반의 전처리 기술 및 활용 기술에 대해서 소개하고 있다. 향후, 후속 다목적실용위성, 소형 위성 등이 개발 중에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개발 및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목적실용위성 3호 Overlap 영역의 특성분석 (Characterizing Overlap Area of KOMPSAT-3)

  • 서두천;김희섭
    • 항공우주기술
    • /
    • 제10권2호
    • /
    • pp.154-162
    • /
    • 2011
  • 다목적실용위성 3호는 고해상도 0.7m 흑백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PAN 카메라와 2.8m 다중파장대의 칼라 영상을 수집할 수 있는 멀티스펙터럴 카메라를 탑재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취득한 위성영상은 국토관리, 농업, 환경, 해양감시 및 GIS등의 광범위한 분야에 활용될 예정이다. 다목적실용위성3호의 15km의 관측폭을 가지는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각 detector의 양 끝단의 20 pixel을 제외하고 24,020 픽셀로 구성된다. 이러한 크기의 CCD를 하나의 CCD로 구성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다목적실용위성 3호는 12,080 픽셀로 구성된 두 detector로 구성되며, 따라서 두 detector의 기하학적 특성이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목적실용위성3호의 한 밴드내의 기하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영상의 생성과정을 서술하고자 한다.

다목적실용위성 영상처리 및 분석 (KOMPSAT Image Processing and Analysis)

  • 이광재;오관영;채성호;이선구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6_3호
    • /
    • pp.1671-1678
    • /
    • 2023
  • 다중 센서로 구성된 다목적실용위성 시리즈는 1999년 1호 발사 후 현재까지 국토 및 환경 모니터링, 재난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왔다. 최근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각종 정보처리기술(고속 컴퓨팅 기술, 컴퓨터 비전, 인공지능 등)들이 원격탐사 분야에서도 활용됨에 따라 보다 다양한 위성영상 처리 및 분석 알고리즘 개발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특별호에서는 최근 연구된 다목적실용위성 영상 활용 관련 기술과 2023 위성정보활용 경진대회에 참여한 연구주제에 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다목적실용위성 3호 위성상태모니터링시스템 초기운영 결과 분석

  • 이명신;백현철;현대환;정대원
    • 천문학회보
    • /
    • 제37권2호
    • /
    • pp.187.2-187.2
    • /
    • 2012
  • 다목적실용위성 3호는 2012년 5월 발사되어, 위성 기능점검을 위한 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하였다. 위성발사이후 태양전지판 전개를 포함하여 장착된 모든 전장품(Unit)을 순차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관련 명령어를 송신하고, 이후 송신된 명령어에 대한 수행여부를 모니터링하며 전장품의 정상 동작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위성상태의 모니터링은 상태 디스플레이 페이지(AND, AlphaNumeric Display), 각종 이벤트 디스플레이 및 위성에서 수신한 덤프 데이터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서 수행한다. 이러한 위성의 상태정보는 지상의 엔지니어가 신속하면서 정확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확한 정보를 가독성있게 디스플레이해야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위성교신 이후에는 위성에서 저장된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비실시간 위성상태 데이터를 분석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엔지니어가 필요로 하는 상태정보 아이템을 자신이 원하는 형태로 추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필수 기능들은 시스템의 안정성을 기반으로 동작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이 운영될 수 있도록 초기운영 이전에 안정화 및 검증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초기운영 기간에도 정상운영 단계에서 임무관제국의 운영요원이 용이하게 위성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위성상태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와 오류 감지 능력을 포함하는 위성상태 표출 기능을 최적화 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임무관제국에서 개발된 위성상태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하여 안정적으로 다목적실용위성 3호의 초기운영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비실시간 데이터 분석 작업을 수행하였다. 또한, 초기운영기간동안의 최적화 작업을 통하여 정상운영기간 동안 운영요원이 용이하게 오류 감지를 수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하였다.

  • PDF

다목적실용위성 2호의 폐기기동 연구 (Study of the Post Mission Disposal Maneuver for KOMPSAT-2)

  • 성재동;정옥철;정대원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6권12호
    • /
    • pp.1037-104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다목적실용위성 2호의 폐기시점에 대비하여 국제규정, 수행사례를 분석하였고, 현재 다목적실용위성 2호에 탑재된 추진제를 이용하여 폐기기동 계획을 수립하여 국제규정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45kg의 추진제를 이용하여 위성의 근지점을 300km 낮추는 폐기기동을 수행할 경우 3.6년의 궤도수명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동일한 방식을 적용하여 14.5kg 이상의 추진제를 사용하여 고도를 낮추는 경우 국제규정을 만족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목적실용위성 2호의 재진입 생존률 분석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 내열성이 높은 추진제탱크나 반작용 휠의 일부가 생존하여 지상에 낙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상피해확률 측면의 국제규정을 충분히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3 임무계획 자동화 시스템 구조화 방안 연구 (A Study on Structured of KOMPSAT-3 Automated Mission Planning System)

  • 장윤정;박선주;채태병;안상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36-939
    • /
    • 2015
  • 현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저궤도실용위성 시리즈인 '다목적실용위성'은 K2, K3, K5, K3A(2호, 3호, 5호, 3A호) 이렇게 총 네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운영하는 다목적실용위성 K3인 일상 임무계획(Mission Planning)의 모듈 자동화 시스템 개발에 대한 내용을 다뤘다. 그중에서도, 일상적으로 반복 수행되는 K3 임무계획 업무 중에서 수동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해 객체지향 CBD 개발 방법론을 토대로 C#을 이용한 자동화 시스템을 구조화 시키는 방안에 대해 주력하였다. 그 결과로 자동화 개념 정립을 위한 Feasibility Study를 수행할 것이다. 이를 다목적실용위성 K3 임무계획 중 일상적인 임무계획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이는 나아가 본 선행연구 결과물을 이용하여 K3 임무계획 자동화시스템에 적용에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