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공질 재료

Search Result 14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Study on the Acoustic Properties of Porous Materials by Using Acoustical Transfer Matrix (전달행렬법에 의한 다공질 흡음재료의 음향특성 연구)

  • 염창훈;박철희;주재만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4.10a
    • /
    • pp.323-330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다공질 흡음재료 중 closed cell 구조를 갖는 발포수지재료(Foamed Material)에 음(sound)이 입사할 때 발생하는 흡음현상을 보다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 다공질 흡음재료에 대한 Biot 이론에 근거한 Allard의 모델링기법[4]을 이용하여 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다공질 흡음재료가 단층(single layer)일 때 이 재료의 Surface Impedance와 흡음률(Absorption Coefficient)을 예측하고, 물성치(parameters)변화에 따른 다공질 흡음재료의 흡음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 재료가 자동차 제조시 사용되는 압연강판(rolled steel piate)에 부착되었을 때의 투과손실(Transmission Loss)을 예측하였고, 또한 다공질 흡음재료는 중고주파 대역의 음에 대한 흡음특성은 좋지만 저주파 대역의 음에 대한 흡음특성은 좋지 않으므로 흡음 재료의 저주파 대역의 흡음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2층(two layers)으로 하였을 때의 흡음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자동차 제조시 사용되어지는 다공질 흡음재료는 물론 산업용기계나 건축용등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어지는 다공질 흡음재료의 흡음특성 분석에 응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방향성 다공질금속의 제조 및 기계적성질

  • Hyeon, Seung-Gyun;Nakajima, Hideo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9.11a
    • /
    • pp.19.2-19.2
    • /
    • 2009
  • 금속을 용해 응고시킬 때 생성되는 소위, 주조 결함이나 소결금속 내의 기공은 재료의 성능이나강도를 현저하게 낮추는 결함으로서 예전부터 기피되어 왔다. 또한, 재료공정에있어서도 여하의 기공이나 기포가 없는 치밀한 고강도 및 고기능성 재료를 개발하는 것에 최대한의 주의와 관심을 기울여 왔다. 그렇지만, 우리가 자연계의 천연물이나 인공물을 둘러보면 그 대부분이다공질임을 쉽게 눈치챌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재, 지엽등의 생물을 시작해서 콘크리트 등의 인공물, 우리 체내의 뼈도 전형적인 다공질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부터 재료의 재질제어 이외에 구조제어라는 새로운 어프로치를 고려할 수 있고, 최근 들어, 금속재료에 있어서도 이러한 다공질구조에 관한 연구가활성화되어 충격흡수재, 생체재료, 베어링재료 등의 다양한응용이 전개되고 있다. 특히, 원주상의 방향성 기공을 갖는 로터스금속은 기존의 복잡한구조의 다공질금속보다 뛰어난 기계적 성질을 갖는다. 이러한 다공질금속은 일방향응고할 때 생성하는 과포화가스원자를 석출시켜 기공을 일방향으로 성장시킨다. 즉, 융점에서의 고상과 액상의 가스 용해도 차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응고시에 고용할 수 없는 가스원자가 기공을 형성한다. 이와같이 제조한 방향성 다공질금속은 BT (인플란트, 생체적합성, 저탄성, 경량), ST (초음속기엔진부품, 경량), IT (고성능수냉모듈), ET(고온촉매, 필터)의 분야로의 응용이 기대된다. 본 강연에서는 방향성 다공질금속의 제조법, 특성 및 응용을 포함하여그 동안의 연구성과 및 앞으로의 과제 등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Numerical Calculation of High Pressure Compaction for Porous Materials (높은 압력을 받는 다공질재료의 압축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 박종관
    • Geotechnical Engineering
    • /
    • v.3 no.3
    • /
    • pp.63-74
    • /
    • 1987
  • A practical constitutive equation with sufficient generality is proposed for porous materials to deal with plastic pore compaction and pore related strain-hardening. With an application of this proposed model, finite element calculations are executed for the compaction of a porous material. Results show powerful potential of finite element method in a quantitative investigation of the process of the compaction.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the process of unloading during which the development of tensile principal stress may lead to phenomena such as lamination and end-capping.

  • PDF

로터스 금속의 제조 기술 및 응용

  • Hyeon, Seung-Gyu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2.05a
    • /
    • pp.57.1-57.1
    • /
    • 2012
  • 금속을 용해 응고시킬 때 생성되는 소위, 주조 결함이나 소결금속 내의 기공은 재료의 성능이나 강도를 현저하게 낮추는 결함으로서 예전부터 기피되어 왔다. 또한, 재료공정에 있어서도 여하의 기공이나 기포가 없는 치밀한 고강도 및 고기능성 재료를 개발하는 것에 최대한의 주의와 관심을 기울여 왔다. 반면에 자연계의 천연물이나 인공물을 둘러보면 그 대부분이 다공질임을 쉽게 눈치챌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재, 지엽 등의 생물을 시작해서 콘크리트 등의 인공물, 우리 체내의 뼈도 전형적인 다공질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부터 재료의 재질제어 이외에 구조제어라는 새로운 어프로치를 고려할 수 있고, 최근 들어, 금속재료에 있어서도 이러한 다공질 구조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 충격흡수재, 생체재료, 베어링재료 등의 다양한 응용이 전개되고 있다. 원주상의 방향성 기공을 갖는 로터스 금속의 제조 원리는 용융금속의 높은 가스용해도와 고체금속의 낮은 가스고용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응고할 때 고용되지 않는 가스원자가 기포를 형성시키는 것이다. 수소용해도는 모든 금속에 있어서 온도상승에 따라 증가하지만 융점에 있어서 용해도의 불연속적 증가를 나타내며 응고할 때 고액계면에서 다량의 가스를 방출하고 기공 생성을 야기한다. 특히, 고 액상에 있어서 수소용해도 차가 큰 마그네슘, 니켈, 철, 동 등은 기포를 생성하기 쉽다. 또한 기공의 배열구조를 제어하기 위해 일방향응고법를 이용하여 기공에 방향성을 부여한다. 외관상 기공구조가 연근뿌리를 닮은 것으로 부터 로터스 금속이라는 명칭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로터스 금속은 기공 방향, 기공크기, 기공률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고 우수한 기계적 성질이 기존의 발포금속, 소결금속과 전혀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기공구조는 용해온도, 응고속도, 분위기 가스압, 불활성가스와의 혼합체적비 등의 제어를 통해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한 방향성 다공질금속은 BT (인플란트, 생체적합성, 저탄성, 경량), ST (초음속기엔진부품, 경량), IT (고성능수냉모듈), ET(고온촉매, 필터)의 분야로의 응용을 기대한다.

  • PDF

Theoretical Formulation of Porous Medium Behavior Depending on Degree of Saturation (포화도에 따른 다공질 매체 거동의 이론적 정식화)

  • Park, Tae Hyo;Jung, So Chan;Kim, Won Cheul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 no.3
    • /
    • pp.81-88
    • /
    • 2001
  • The behavior of porous medium is modeled by linear thermoporoelastic behavior, linear poroviscoelastic behavior, poroplastic behavior, and poroviscoplastic behavior, etc. The behavior has, in general, a complicated aspect which makes a mechanical description of the problem with time. Constitutive modeling for deformation behavior of porous medium with coupling effects is needed since there is interaction between the constituents in pores with a relative velocity to each other. In this work, it is explained 3-dimensional behavior depending on degree of saturation for porous medium composed of homogeneous, isotropic materials. It is obtained the governing equations based on continuum porous mechanics. In addition, it is developed constitutive model which can be understood of behavior for porous medium which can be understood, analysed behavior of porous medium. It can be accomplished exact analysis and prediction of behavior in porous medium. The behavior for porous medium is analysed exactly, and the prediction of deformation behavior is accomplished. Consequently, it will be basis to analyze 3-dimensional behavior in municipal solid waste landfill, and the practical using of porous medium ground which are composed of nonhomogeneous, anisotropic materials can be done widely.

  • PDF

Fabrication of Cylindrical Macroporous Silicon and Diaphragms (원통형 메크로기공을 갖는 다공질 실리콘과 다이어프램의 제작)

  • 민남기;이치우;하동식;정우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 /
    • v.11 no.8
    • /
    • pp.620-627
    • /
    • 1998
  • For chemical microsensors such as humidity and gas sensors, it is essential to obtain a single pore with a large inner surface and straight structure. In this paper, cylindrical macroporous silicon layers have been formed of p-silicon substrate by anodization in HF-ethanol-water solution with an applied current. The pores grew normal to the (100) surface and were uniformly distributed. The pore diameter was approximately $1.5~2{\mu}m$ with a depth of $20~30{\mu}m$ and the pores were not interconnected, which are in sharp contrast to the porous silicon reported previouly for similarly doped p-Si. Porous silicon diaphragms 18 to $200{\mu}m$ thick were formed by anistropic etching in TMAH solution and then anodization. The fabrication of macroporous silicon and free-standing diaphragms is expected to offer applications for microsensors, micromachining, and separators.

  • PDF

Surface Topography and Photoluminescence of Chemically Etched Porous Si (화학식각법에 의해 형성된 다공질실리콘의 표면형상 및 발광특성)

  • Kim, Hyeon-Su;Min, Seok-Gi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4 no.4
    • /
    • pp.379-384
    • /
    • 1994
  • Room-temperature photoluminescent porous Si has been formed by etching Si wafer u-ith the solution of $HF:HNO_{3}: H_{2}O$=l : 5 : 10. We have observed photoluminescence(PL) spectra similar to those reported recently for porous-Si films formed by anodic etching with HF solutions. We have also investigated the dependence of PI, spectra on the etching time which was varied from 1 to 10 minutes. We found that 5-minute etching gave us the strongest PL intensity. We also found by atomic force microscopy( AFM) measurements that the surface fearure size became smaller for longer etching time and the average feature size of the etched Si wafer for 5-minute was about 1, 500~2, 000$\AA$. This indicates that the surface feature of the etched porous Si affects the PL intensity of the samp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