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각형모델

Search Result 65,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Control Net Generation for Parametric control of freeform shape (자유형상의 파라메트릭 변형을 위한 조정 다각형 생성)

  • 박현풍;이관행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667-669
    • /
    • 2003
  • 특징 형상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없는 자유 형상을 가진 제품이 늘어남에 따라 자유형상을 효율적으로 변형시키는 기법이 필요하다. 여러 가지 자유형상 변형기법(FFD) 가운데에서 자유 형상을 파라메트릭하게 컨트롤하기 위해서는 조정 다각형 기반의 형상 변형 기법이 적합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FFD 기법을 적용하여 자유형상 모델을 파라메트릭하게 컨트롤하기 위해 입력 모델에 대한 조정 다각형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크게 기본 조정 다각형 생성과 조정 다각형 최적화 단계로 나누어진다. 기본 다각형 생성에서는 1)입력모델을 직교 3방향에 투영, 2)투영된 결과에 대해 2차원 조정 다각형을 생성, 3)2차원 조정 다각형을 조합하여 3차원 기본 조정 다각형 생성의 단계를 거친다. 조정 다각형 최적화 단계에서는 기본 조정 다각형에 에지 및 면 연산자를 적용하여 입력 모델에 더욱 근사하는 최종 조정 다각형을 생성한다. 예제에서는 제안된 알고리즘을 통해 자동으로 생성된 조정다각형을 자동차 모델에 적용하여 모델의 형상을 변화시킨 결과를 보였다.

  • PDF

Scalable Metaball Polygonization algorithm (확장성 있는 메타볼 다각형화에 관한 알고리즘)

  • 이종현;박규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577-579
    • /
    • 1999
  • 컴퓨터 그래픽의 모델링에 있어서 메타볼은 인체를 모델링하기에 매우 적합한 모델링 요소로서 사용되어 왔다. 메타볼을 랜더링하는 방법으로서는 광추적기법(ray-tracing)이나, 메타볼을 다각형화하여 다각형랜더링가속기를 이용하는 것이 있는데, 전자는 높은 계산량으로 인해서 실시간으로 랜더링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후자인 경우에는 모델링 과정에서 메타볼로 구성된 모델로부터 다각형들을 추출하여 이를 랜더링 시에는 랜더링 가속기를 이용해서 실시간으로 랜더링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다각형을 추출하는 과정이 높은 계산량과 많은 메모리를 필요로 하므로 랜더링 시 모델의 특성이 변화하는 경우마다 많은 계산량을 필요로 하는 다각형화를 재 수행해야 하므로 실시간 랜더링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메타볼로 구성된 모델로부터 다각형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이들 대부분이 많은 메모리와 높은 계산량을 요구하고, 다각형화를 가속화기위한 병렬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서,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특징이 잇는 메타볼 다각형화 알고리즘에 대해서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로 기존의 방법에 비해서 적은 메모리를 사용한다. 둘째로 높은 병렬화로 하여금 계산량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 PDF

Effect of an Opening on Buckling Strength of Polygonal Section Wind Turbine Tower (다각형 단면 풍력타워 좌굴강도에 대한 개구부의 영향)

  • Choi, Byung Ho;Park, Seong Mi;Hwang, Min Oh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63-163
    • /
    • 2011
  • 풍력타워 기둥구조물에는 유지관리 등의 이유로 출입구 역할을 하는 개구부가 존재하게 된다. 다각형 타워구조물에 개구부형상이 존재하게 되면 압축좌굴 강도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거나 예측하기는 용이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판단할 만한 관련 기준이나 지침도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최병호 등(2011)에서 다룬 다각형 단면 기둥구조물의 하단에 개구부를 형상화한 수치해석 모델을 수립하고 축방향 압축하중을 재하하는 탄성좌굴 해석 및 비선형비탄성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다각형 단면 기둥모델 중에서 6각형 단면모델에 관해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다각형 단면 기둥 해석모델은 단순한 다각형 단면 타워구조에 대해서 뿐 만 아니라, 각 subpanel에 종방향 보강재를 둔 모델에 대해서도 추가적으로 검토하였다. 개구부의 형상은 높이 2000mm, 폭 800mm이며 상하부에 만곡부를 둔 형태이다. 수치해석은 3차원 유한요소해석프로그램인 ABAQUS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보강방안으로는 일정범위까지의 모듈 subpanel의 판두께를 보강하는 방안과 edge stiffener를 적용하는 방안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각각의 보강방식에 따른 효과를 비교해 보기 위해 개구부가 없는 모델, 단순히 개구부만 설정한 모델, 판두께를 보강한 모델, edge stiffener로 보강한 모델에 대해 비교해석을 수행하였다. 보강재 없는 단순 다각형 타워구조 모델에 대한 해석결과로부터 개구부로 인한 강도저하는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종방향 보강재가 적용된 6각형 단면 타워구조 모델에서는 개구부로 인한 강도저감이 22.9%로 높게 나타났으며 상당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개구부 주변의 판두께 보강이나 edge stiffener보강 등으로 상당한 강도향상 효과가 확인되었으나, 개구부로 인해 손실된 강도 수준을 완전히 회복하는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다양한 보강방식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변수연구를 통해 개구부의 영향 없이 온전한 다각형 단면 타워 구조의 극한강도에 도달되기 위한 보강 조건에 대해 검토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Feature Extraction Algorithm from Polygonal Model using Implicit Surface Fitting (음함수 곡면 맞춤을 이용한 다각형 모델로부터 특징 추출 알고리즘)

  • Kim, Soo-Kyun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2 no.1
    • /
    • pp.50-57
    • /
    • 2009
  • This paper proposes a extraction of feature lines on a polygonal model using local implicit surface fitting technique. To extract feature lines on a polygonal model, the previous technique addressed to compute the curvature and their derivatives at mesh vertices via global implicit surface fitting. It needs a user-specified precision parameter for finding an accurate projection of the mesh vertices onto an approximating implicit surface and requires high-time consumption. But we use a local implicit surface fitting technique to estimate the local differential information near a vertex by means of an approximating surface. Feature vertices are easily detected as zero-crossings, and can then be connected along the direction of principal curvature. Our method, demonstrated on several large polygonal models, produces a good fit which leads to improved visualization.

  • PDF

Simplification using Edge Property of 3D Model (3D 모델의 에지특성을 이용한 간략화)

  • 한태화;민경필;박구락;전준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682-684
    • /
    • 2003
  • 상호작용컴퓨터 그래픽스분야의 지배적인 역할을 하는 다각형모델의 간략화 표현을 위해서 본논문에서는 모델의 특징을 이용하고자한다. 본논문에서는 vertex clustr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다각형 메쉬모델을 간략화 한다. 이때 클러스터링하기 위한 셀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모델의 에지의 길이 특성을 이용하여 셀의 크기를 결정한다. 개선된 vertex clustering 방법은 기존의 방법에 비해 모델자체의 에지 특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신뢰성있는 간략화를 수행할 수 있다.

  • PDF

Polygon-based Space Carving Algorithm For 3D Model Reconstruction (삼차원 모델 복원을 위한 다각형 기반 Space-Carving 알고리즘)

  • Lee, Jung;Kim, ChangHu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7 no.2
    • /
    • pp.1-9
    • /
    • 2001
  • 본 논문은 여러 장의 이미지로부터 삼차원 모델을 빠르게 복원하기 위한 다각형 기반 Space Carving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기존의 복셀 carving 연산에 다각형 carving 연산을 추가하여 기존 복셀 carving 기법의 단점인 렌더링 품질의 저하와 느린 렌더링 속도 문제를 보완하였다. 따라서 복원된 모델은 다각형 구조를 가지며, 이로부터 텍스쳐 매핑을 이용한 빠른 속도의 고품질 렌더링 기법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각형 carving 후잉여 데이터를 삭제함으로써 복원된 모델의 품질 저하없이 메모리를 줄이고, 더욱 빠른 렌더링을 가능하게 한다.

  • PDF

Constant Time RMESH Algorithms for Computing the Visibility Polygon in a Polygon with Holes (구멍이 있는 다각형에서 가시성 다각형을 구하는 상수 시간 RMESH 알고리즘)

  • 김수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548-550
    • /
    • 2000
  • 본 논문은 재구성 가능한 메쉬(RMESH) 병렬 모델에서 상수 시간에 구멍이 있는 다각형의 한 점으로부터의 가시성 다각형을 구하는 문제를 고려한다. 알고리즘의 기본 전략은 프로세서의 수에 있어 준-최적인 상수 시간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문제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최적인 상수 시간 알고리즘을 얻는 것이다. 이 전략을 사용해 모두 N개의 에지로 구성된 구멍이 있는 다각형에 대한 가시성 다각형을 N$\times$N RMESH에서 상수 시간에 구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이 알고리즘은 다각형들의 집합이 주어져 있을 때 외부의 한 점에서 가시 영역을 구하거나, 선분들의 집합이 주어져 있을 때 평면상의 한 점에서 가시 영역을 구하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 PDF

Efficient RMESH Algorithms for the Set Operations of Two Visibility Polygons in a Simple Polygon (단순 다각형 내부의 두 가시성 다각형에 대한 집합 연산을 수행하는 효율적인 RMESH 알고리즘)

  • Kim, Soo-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05a
    • /
    • pp.795-797
    • /
    • 2014
  • The visibility polygon of a simple polygon P is the set of points which are visible from a visibility source in P such as a point or an edge. Since a visibility polygon is the set of points, the set operations such as intersection and union can be executed on them. The intersection(resp. union) of two visibility polygons is the set of points which are visible from both (resp. either) of the corresponding two visibility sources. As previous results, there exist O(n) time algorithms for the set operations of two visibility polygons with total n vertices. In this paper, we present $O(log^2n)$ time algorithms for solving the problems on a reconfigurable mesh with size $O(n^2)$.

  • PDF

A Study on the Flattening of 3D Shoes Model (3차원 신발모델의 2차원 평면화에 관한 연구)

  • Lee, Gun-ho;Yoon, Ga-rim;Yoon, Jo-seph;Kim, Young-b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1629-1632
    • /
    • 2004
  • 입체는 특수 장비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화 되어 3차원 물체의 표면을 메쉬나 다각형 등으로 표현하며 입체의 세부구조인 다각형은 면적, 각 정점의 토폴로지, 변의 길이, 내각과 같은 고유 기하정보 요소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입체를 특징짓는 다각형의 기하학적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을 2차원 평면으로 전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기술은 옷이나 신발과 같은 2차원 형태의 부품을 결합하여 입체형태의 제품을 만들어 내는 분야에 매우 유용하게 쓰이며 나아가 3차원 모델에 최소의 왜곡을 가지는 텍스쳐를 적용시켜 3차원 모델의 사실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 PDF

Polygonal Model Analysis on Occupational Exposure Record of Radiation Workers by Work Field (업종별 방사선작업종사자 피폭 기록 다각형 모델 분석 연구)

  • Je-Wan Park;Ji-Young Han;Yong-Min K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7 no.2
    • /
    • pp.277-284
    • /
    • 2023
  • Since the radiological risk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working environment, protection measures and policies must be developed through analysis of the field area environment.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eld area that uses radiation should be conduct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industries, not just the numerical value of the field area. In this study, evaluation factors were derived from exposure records by the department to compare radiation occupational exposure records by sector. And then, we developed a polygonal model for comparative analysis and applied them to eight work fields through ten evaluation factors. Based on the occupational exposure record in 2020, a polygonal model was applied to compare and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diation work area. Through this, the usefulness of the polygonal model was confirmed, and protection policy measures for the industry were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