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능묘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the Latter Baekje Dynasty Royal Tombs and Boundary of the Royal Tomb (백제 후기 능묘와 능원의 특성)

  • Kim, Young-sung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7 no.2
    • /
    • pp.68-84
    • /
    • 2014
  • The royal tombs of Baekje(백제), afte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the Geumgang(riv)(금강) basin, changed to Songsanri(송산리) style(stone chamber) ${\rightarrow}$ Southern dynastic(남조) style(brick chamber) ${\rightarrow}$ Neungsanri(능산리) style(stone chamber). The most special feature of this process is the change of the ceiling structure. The ceiling had been changed from dome(Songsanri style) ${\rightarrow}$ tunnel ceiling(transition period of brick tombs and Neungsanri style) ${\rightarrow}$ a roof style(is Neungsanri style of three imitate type, trapezoid, triangle, flattened ceiling). The most special feature among this process is Neungsanri style(stone chamber), created especially in Baekje. The royal tombs of Baekje didn't lay stress on the mound, so the mound is not noticeable. It is result that they more stressed on basin of the boundary than showed off individual tomb, and this is count as an element of China Southern dynasty. Boundary of the royal tomb of Baekje, afte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south, were changed from royal family's boundary to single independent's. Those are Songsanri's and Neungsanri's, these are the pair tombs(쌍릉) of Iksan(익산). That is influence of the Southern dynasty, reflect 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completely, this is influence of the China Sui(수) and the early Tang(당) dynasty's system of boundary of the royal tomb. Besides the royal tomb, they also buried a closely related person, in the boundary of the royal tomb. And facilities for memorial ceremony were existed too. An altar was equipped in Songsanri's boundary of the royal tomb, it was seen a kind of character of a sanctuary for progenitor. Neungsanri's boundary of the royal tomb were equipped with an open-aired altar that performed memorial ceremony about communal royal tombs, and also equipped a temple, was needed to pray for the happiness of the dead. This structure and arrangement are very similar to Seoakdong(서악동) of Silla(신라).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Order of the Zodiac Statues Tombs in the late Silla Dynasty (신라 십이지신상 능묘의 특징과 순서에 대한 일고찰)

  • PARK, Hyoungyoul;LEE, Jihyang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5 no.2
    • /
    • pp.252-271
    • /
    • 2022
  •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yal tombs of the late Silla Dynasty with the statues of the 12 animal deities(Zodiac) and estimates the process of change. The features of the statues show a difference in their combination in terms of continuity and similarity of the object in their hands. In addi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hape of the face of the stone statue, and differences are observed in the orientation and aspect ratio of the statue according to the sculptural metho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statues are somewhat different from the previously studied protected-stone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For example, the Zodiac statues that are flattened from high relief to low relief are known to be decorated in realistic expressions, but they tend to be treated as separate conditions because they do not match the change of the stone. In addition, there was a characteristic that did not show regular changes, such as appearing and disappearing again when there was no balustrade in the tomb. Summing up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rt, the Zodiac statues are largely divided into curved angles and flat angles according to the sculptural technique, and the head orientation and clothing of the statue are related. They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and can be viewed as having temporality according to the aspect ratio. These characteristic changes are consistent with the continuity of features and changes in the object in the hands of the 12 Zodiac statues. Therefore, the number of faces with protected-stone changes were gradually increasing in trend. As a resul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Gujeongdong Square-shape Tomb and King Jindeok Tomb are earlier royal tombs than the Wonseong Royal Tomb. Therefore, the royal tombs of the late Silla Dynasty have a complete, tomb structure, containing the 12 animal god statues, ceremonial spaces(拜禮空間), Shindo(神道), stone statues(石像), and tombstones. This can be understood as a basic motif for the royal tomb structures of Goryeo and Joseon.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8)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4 s.384
    • /
    • pp.105-110
    • /
    • 2001
  • 중국의 원림건축은 성시건축, 주거건축, 궁궐건축, 사묘건축, 단묘건축, 능묘건축 등과 더불어 중국고전건축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한 유형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어떤 건축유형도 원림건축 만큼 중국인의 정신세계와 조형세계를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은 없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는 중국을 정점으로 한국과 일본이 함께 일궈낸 한자문화권의 범주 속에서 세 나라가 각기 가지고 있는 건축미학의 차별성도 비교적 명확하게 담겨져 있다. 따라서 중국 고전 원림건축에 대한 이해는 최근들어 우리 건축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비교건축의 시각을 여는 발판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나아가 우리 자신의 존재가치와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고 믿는다. 이 연재는 모두 10회로 구성하였으며 먼저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기본적인 발전과정을 서술하고 이어서 그 설계원리를 규명해 보며, 다음으로 몇가지 대표적인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실천의 과정을 탐색하는 한편, 최종적으로는 오늘의 중국 현실에서 그러한 가치들이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추적해 보고자 한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9)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5 s.385
    • /
    • pp.83-88
    • /
    • 2001
  • 중국의 원림건축은 성시건축, 주거건축, 궁궐건축, 사묘건축, 단묘건축, 능묘건축 등과 더불어 중국고전건축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한 유형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어떤 건축유형도 원림건축 만큼 중국인의 정신세계와 조형세계를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은 없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는 중국을 정점으로 한국과 일본이 함께 일궈낸 한자문화권의 범주 속에서 세 나라가 각기 가지고 있는 건축미학의 차별성도 비교적 명확하게 담겨져 있다. 따라서 중국 고전 원림건축에 대한 이해는 최근들어 우리 건축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비교건축의 시각을 여는 발판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나아가 우리 자신의 존재가치와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고 믿는다. 이 연재는 모두 10회로 구성하였으며 먼저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기본적인 발전과정을 서술하고 이어서 그 설계원리를 규명해 보며, 다음으로 몇가지 대표적인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실천의 과정을 탐색하는 한편, 최종적으로는 오늘의 중국 현실에서 그러한 가치들이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추적해 보고자 한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4)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11 s.379
    • /
    • pp.51-59
    • /
    • 2000
  • 중국의 원림건축은 성시건축, 주거건축, 궁궐건축, 사묘건축, 단묘건축, 능묘건축 등과 더불어 중국고전건축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한 유형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어떤 건축유형도 원림건축 만큼 중국인의 정신세계와 조형세계를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은 없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는 중국을 정점으로 한국과 일본이 함께 일궈낸 한자문화권의 범주 속에서 세 나라가 각기 가지고 있는 건축미학의 차별성도 비교적 명확하게 담겨져 있다. 따라서 중국 고전 원림건축에 대한 이해는 최근들어 우리 건축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비교건축의 시각을 여는 발판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나아가 우리 자신의 존재가치와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고 믿는다. 이 연재는 모두 10회로 구성하였으며 먼저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기본적인 발전과정을 서술하고 이어서 그 설계원리를 규명해 보며, 다음으로 몇가지 대표적인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실천의 과정을 탐색하는 한편, 최종적으로는 오늘의 중국 현실에서 그러한 가치들이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추적해 보고자 한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7)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3 s.383
    • /
    • pp.100-104
    • /
    • 2001
  • 중국의 원림건축은 성시건축, 주거건축, 궁궐건축, 사묘건축, 단묘건축, 능묘건축 등과 더불어 중국고전건축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한 유형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어떤 건축유형도 원림건축 만큼 중국인의 정신세계와 조형세계를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은 없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는 중국을 정점으로 한국과 일본이 함께 일궈낸 한자문화권의 범주 속에서 세 나라가 각기 가지고 있는 건축미학의 차별성도 비교적 명확하게 담겨져 있다. 따라서 중국 고전 원림건축에 대한 이해는 최근들어 우리 건축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비교건축의 시각을 여는 발판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나아가 우리 자신의 존재가치와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고 믿는다. 이 연재는 모두 10회로 구성하였으며 먼저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기본적인 발전과정을 서술하고 이어서 그 설계원리를 규명해 보며, 다음으로 몇가지 대표적인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실천의 과정을 탐색하는 한편, 최종적으로는 오늘의 중국 현실에서 그러한 가치들이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추적해 보고자 한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완)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6 s.386
    • /
    • pp.74-79
    • /
    • 2001
  • 중국의 원림건축은 성시건축, 주거건축, 궁궐건축, 사묘건축, 단묘건축, 능묘건축 등과 더불어 중국고전건축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한 유형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어떤 건축유형도 원림건축 만큼 중국인의 정신세계와 조형세계를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은 없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는 중국을 정점으로 한국과 일본이 함께 일궈낸 한자문화권의 범주 속에서 세 나라가 각기 가지고 있는 건축미학의 차별성도 비교적 명확하게 담겨져 있다. 따라서 중국 고전 원림건축에 대한 이해는 최근들어 우리 건축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비교건축의 시각을 여는 발판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나아가 우리 자신의 존재가치와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고 믿는다. 이 연재는 모두 10회로 구성하였으며 먼저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기본적인 발전과정을 서술하고 이어서 그 설계원리를 규명해 보며, 다음으로 몇가지 대표적인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실천의 과정을 탐색하는 한편, 최종적으로는 오늘의 중국 현실에서 그러한 가치들이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추적해 보고자 한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3)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7 s.375
    • /
    • pp.61-65
    • /
    • 2000
  • 중국의 원림건축은 성시건축, 주거건축, 궁궐건축, 사묘건축, 단묘건축, 능묘건축 등과 더불어 중국고전건축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한 유형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어떤 건축유형도 원림건축 만큼 중국인의 정신세계와 조형세계를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은 없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는 중국을 정점으로 한국과 일본이 함께 일궈낸 한자문화권의 범주 속에서 세 나라가 각기 가지고 있는 건축미학의 차별성도 비교적 명확하게 담겨져 있다. 따라서 중국 고전 원림건축에 대한 이해는 최근들어 우리 건축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비교건축의 시각을 여는 발판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나아가 우리 자신의 존재가치와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고 믿는다. 이 연재는 모두 10회로 구성하였으며 먼저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기본적인 발전과정을 서술하고 이어서 그 설계원리를 규명해 보며, 다음으로 몇가지 대표적인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실천의 과정을 탐색하는 한편, 최종적으로는 오늘의 중국 현실에서 그러한 가치들이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추적해 보고자 한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2)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6 s.374
    • /
    • pp.62-65
    • /
    • 2000
  • 중국의 원림건축은 성시건축, 주거건축, 궁궐건축, 사묘건축, 단묘건축, 능묘건축 등과 더불어 중국고전건축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한 유형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어떤 건축유형도 원림건축 만큼 중국인의 정신세계와 조형세계를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은 없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는 중국을 정점으로 한국과 일본이 함께 일궈낸 한자문화권의 범주 속에서 세 나라가 각기 가지고 있는 건축미학의 차별성도 비교적 명확하게 담겨져 있다. 따라서 중국 고전 원림건축에 대한 이해는 최근들어 우리 건축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비교건축의 시각을 여는 발판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나아가 우리 자신의 존재가치와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고 믿는다. 이 연재는 모두 10회로 구성하였으며 먼저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기본적인 발전과정을 서술하고 이어서 그 설계원리를 규명해 보며, 다음으로 몇가지 대표적인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실천의 과정을 탐색하는 한편, 최종적으로는 오늘의 중국 현실에서 그러한 가치들이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추적해 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