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Order of the Zodiac Statues Tombs in the late Silla Dynasty

신라 십이지신상 능묘의 특징과 순서에 대한 일고찰

  • PARK, Hyoungyoul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LEE, Jihyang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Received : 2022.03.31
  • Accepted : 2022.05.13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yal tombs of the late Silla Dynasty with the statues of the 12 animal deities(Zodiac) and estimates the process of change. The features of the statues show a difference in their combination in terms of continuity and similarity of the object in their hands. In addi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hape of the face of the stone statue, and differences are observed in the orientation and aspect ratio of the statue according to the sculptural metho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statues are somewhat different from the previously studied protected-stone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For example, the Zodiac statues that are flattened from high relief to low relief are known to be decorated in realistic expressions, but they tend to be treated as separate conditions because they do not match the change of the stone. In addition, there was a characteristic that did not show regular changes, such as appearing and disappearing again when there was no balustrade in the tomb. Summing up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rt, the Zodiac statues are largely divided into curved angles and flat angles according to the sculptural technique, and the head orientation and clothing of the statue are related. They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and can be viewed as having temporality according to the aspect ratio. These characteristic changes are consistent with the continuity of features and changes in the object in the hands of the 12 Zodiac statues. Therefore, the number of faces with protected-stone changes were gradually increasing in trend. As a resul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Gujeongdong Square-shape Tomb and King Jindeok Tomb are earlier royal tombs than the Wonseong Royal Tomb. Therefore, the royal tombs of the late Silla Dynasty have a complete, tomb structure, containing the 12 animal god statues, ceremonial spaces(拜禮空間), Shindo(神道), stone statues(石像), and tombstones. This can be understood as a basic motif for the royal tomb structures of Goryeo and Joseon.

십이지신상이 표현된 능묘는 신라 후기의 대표적인 무덤 양식이다. 하지만 내부 매장시설에 대한 조사나 출토유물을 확인할 수 없다는 점에서 이 능묘는 근본적인 연구에 한계를 가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에서는 능묘에 표현된 가시적인 특징을 토대로 십이지신상의 조각수법의 변화나 표현기법의 변화, 그리고 외부호석 및 난간석을 별개의 조건으로 다루어 연구를 진행해왔다. 외부호석 및 난간석을 별개의 조건으로 다룬 것은 다른 제속성들과 정합되지 않기 때문이다. 본 글에서는 기존 연구의 제속성을 다시 분석하여 십이지신상에 표현된 기법의 변화가 능역 구성요소의 변화와 부합되는가를 확인하였다. 제속성의 특징은 첫째, 호석의 갑석과 지대석의 치석방법의 차이와 면석의 이격 칸수는 1단(무단) 치석에서 2단, 3단의 순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둘째, 십이지신상의 지물은 방망이, 창, 낫형지물, 봉, 삼지창 등으로 배열되며 연속성을 띤다. 또한 석상의 지물은 십이지신상에서 사라진 이후에 석인상에 표현된다. 셋째, 십이지신상은 조각수법에 따라 곡면각과 평면각으로 크게 구분되고, 세부적으로 두향과 복장은 화면비율에 따라 시간성을 갖는다. 넷째, 상석의 안상형태는 돌기의 수가 9개에서 5개, 3개 등으로 줄어들고, 보주형의 중앙돌기에서 돌기의 높이가 낮아져 편평한 형태로 변화한다. 이들 각 제속성들의 상관관계를 살피면 정합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를 토대로 신라 후기 십이지신상의 능묘는 5단계로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왕릉의 입지 또한 서악동고분군과 전선덕여왕릉처럼 초기에는 구릉 능선에서 원성왕릉 단계에는 산기슭으로, 나아가 전 헌덕왕릉에서는 평지 순으로의 변화를 보인다. 더불어 능묘의 상대순서에 대해 다시 한 번 재고해 볼 필요가 있음을 인지하였다. 이 능묘에 대한 근본적인 연구의 한계는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기 때문이다. 결국, 전 진덕왕릉과 구정동방형분은 원성왕릉보다 이른 왕릉일 가능성이 있다. 아울러 신라 후기 십이지신상의 능묘는 능과 석상, 배례공간, 신도, 능비가 조합된 완성형 능역구조를 갖추며 고려와 조선왕릉에 기본 모티브가 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우방, 1973, 「신라 십이지신상의 분석과 해석」, 「불교미술」 1.
  2. 강우방, 1982, 「통일신라 십이지신상의 양식적 고찰」, 「고고미술」 154·155 합본, pp.117~136.
  3. 강우방, 1990, 「통일신라 십이지신상의 양식적 고찰」, 「원융과 조화」, 열화당.
  4. 강인구, 1987, 「신라 왕릉의 재검토(3)」, 「삼국유사의 종합적 검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5. 강인구, 2000, 「고분연구」, 학연문화사.
  6. 계림문화재연구원, 2013, 「경주 신당리 산7번지 내 1호 석실분」.
  7.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1995, 「憲康王陵 補修收拾調査報告書」.
  8.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07, 「新羅古墳 基礎學術調査硏究IV -石造物資料-」.
  9.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 「한국고고학 전문사전 고분유물 편」.
  10. 김용성, 2012, 「신라 십이지신장상 호석 능묘의 변천」, 「한국고대사탐구」 11.
  11. 김용성.강재현, 2012, 「신라 왕릉의 새로운 비정」, 「야외고고학」 15호, pp.175~207. https://doi.org/10.35347/JKFA.2012..15.175
  12. 김지현, 2015, 「통일신라시대 안상문 석탑 고찰」, 「문물연구」 27, 동아문화재단.
  13. 東朝, 2011, 「高句麗壁畫と東アジア」, 學生社.
  14. 박광열, 2020, 「V.고찰」, 「慶州 傳皇福寺址I」, 聖林文化財硏究院, pp.268~279.
  15. 박형열, 2021, 「고려왕릉의 특징과 변천」, 「고고학」 20-1, 중부고고학회, pp.261~296.
  16. 배노찬, 2021, 「九政洞 方形墳 年代 再考」, 「중앙고고연구」 36, pp.1~36.
  17. 西嶋定生, 1978, 「中國.朝鮮.日本における十二支像の變遷について」, 「末松先生古稀記念古代東アジア史論集」 下, 吉川弘文館.
  18. 聖林文化財硏究院, 2020, 「慶州 傳皇福寺址I」.
  19. 有光敎一, 1936, 「十二支生草の石彫を繞らした新羅の墳墓」, 「靑丘學叢」, 靑丘學會.
  20. 이근직, 2006, 「신라 왕릉의 기원과 변천」,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이근직, 2012, 「신라왕릉연구」, 학연문화사.
  22. 李偉樹, 1995, 「新羅王陵의 立地形態와 外形構造 分析」, 慶北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3. 임영애, 2011, 「'삼단팔각' 연화대좌의 통일신라 수용과 전개」, 「신라문화」 38, pp.279~306.
  24. 임영애, 2013, 「신라 왕릉 조각의 미술사적 조망과 특수성」, 「신라문화」 41, pp.135~162.
  25. 임영애, 2016, 「II 신라왕릉의 석인상」, 「조선왕릉 석물조각사I」, 국립문화재연구소.
  26. 장현희, 1998, 「통일신라 왕묘 십이지상의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장호진, 2019, 「신라 황복사의 창건과 변천 -고고자료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齋藤忠, 1937, 「新羅墳墓の封土形式と諸に形式ついて」, 「考古學論叢」 5.
  29. 齋藤忠, 1973, 「新羅文化論攷」, 吉川弘文館.
  30. 朝鮮古蹟硏究會, 1938, 「昭和十二年度古蹟調査報告」.
  31. 洪大韓, 1998, 「統一新羅 下代 石佛臺座 樣式硏究」, 東國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