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능력기반 소요평가

Search Result 2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mpirical Capability Assessment Methodology of Quick Look using Weapon Score of Joint Integrated Contingency Model (전구급 워게임 모형의 무기점수를 활용한 Quick Look의 실증적 능력평가 방법론)

  • Kim, Hyungkwon;Kim, Youngh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6 no.1
    • /
    • pp.55-67
    • /
    • 2017
  • The requirement planning system of Korea military has used top down planning approach after introducing Joint Combat Development System since 2007. But this new system has not been propelled harmoniously because it does not have any connection with the current planning system. Due to current time-exhaustive analysis and assessment process in requirement planning system, it not only delays proper decision making, but also hinders understanding on the problem in a whole perspectiveand finding a reasonable solution to our problem. In this study, we present a methodology which can analyze and assess capability utilizing the weapon score of JICM(Joint Integrated Contingency Model). The process identifies capability gap from a mission-oriented perspective in the requirement planning phase and suggests an appropriate solution to our problem. A Quick Look tool which has been developed using Python Script to implement the methodology is also introduced in this study.

A Study on Methodology of Capability-Based Force Development (능력기반 전력개발 방법론에 관한 연구)

  • Lee, Yong-Sin;Lee, Soo-Hwan;Lee, Tae-Gong;Lim, Byung-Youn;Jeong, Yong-Won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chitecture
    • /
    • v.10 no.4
    • /
    • pp.517-536
    • /
    • 2013
  • Warfare paradigm has been changed from PCW to NCW and the military requirement/acquisition system has been changed from bottom-up process(Weapon-Centric) to top-down process(Capability-Centric) in orde to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NCW. The concept of top down acquisition process focused on acquiring the capability based on CBP through CBA. However, implementing the concepts and embdding them into methodology will be chanllenging. So, we analyze existing examples overseas and to create new methodology which identify the our force capability through the CBA based on enimy capability. The proposed methodology can be implemented military operation area, public safety area and disaster relief area for CBP based on CBA.

NCW 체계하의 전투능력 평가 방안 연구

  • Jeong, Jong-Mun;Go, Dong-Cheol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6 no.3
    • /
    • pp.3-8
    • /
    • 2009
  • 본 연구는 네트워크 중심전(NCW)에서 전투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과 전투능력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기초변수로 상황인식, 환경적응, 물자보급, 정보유통 및 지휘통제를 설정하고 이러한 기초변수가 전투능력에 미치게 될 영향을 추론하였다. 설정된 기초변수를 전제하여 대응소요 시간을 기반으로 전투능력을 평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대응 신뢰성 및 대응 효율을 평가함으로써 전투능력을 정량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정량화된 자료를 축적함으로써 통계적으로 전투능력과 기초변수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러한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NCW 체계구축에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미국 방위산업기반 구축 조망 (4)

  • Choe, In-Seok;Kim, Yeong-Su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3 s.169
    • /
    • pp.68-75
    • /
    • 1993
  • 정부는 안보상 필수 소요를 뒷받침하는 산업 부문을 평가해야 하며, 미래 첨단 체계 생산에 필수적이고 절대적인 방산 단독품목이 어떤 것이며, 또 얼마나 많은 능력이 필요한가를 결정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평가를 바탕으로 국방부는 장기간에 걸쳐 최소 산업능력을 보존하기 위한 미래 조달물량을 결정해야 합니다. 결국, 정부는 국가이익에 합치되는한 최대한으로 방산 무역을 뒷받침하고 허용해야 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방위산업 전환기에서 중요한 산업 능력과 일자리를 확보할수 있을 것입니다

  • PDF

A Proposal for Establishing and Applying of the Joint Capability Management System (JCMS) (합동능력 관리체계 구축 및 활용 방안)

  • Lee, Jin-Woo;Lim, Byung-Youn;Lee, Tae-Gong;Park, Byung-Jin;Choi, Hangjoon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chitecture
    • /
    • v.11 no.2
    • /
    • pp.187-199
    • /
    • 2014
  • The DoD of United State, the MoD of United Kingdom and NATO have developed and implemented not only the concepts of joint capability but also management system for the joint capability to respond the future uncertain operations effectively. The resources of the DoD in United State have been efficiently planning, programming, budgeting, execution and evaluation using the PPBEE system which developed based on the concept of joint capability. The joint capability of the DoD has been managing through the JCAMS (Joint Capability Area Management System) which constructed based on JCA, UJTL and so on. Recently the MND of Korea eager to try introducing concept of the JCMS and developing the JCMS like the JCAMS of DoD for the future joint operation in the uncertain environment. We propose the holistic mechanism to develop the JCMS (Joint Capability Management System) of MND which can implement during the constructing the JCMS of Korea efficiently and effectively.

A Study on Improvement of Fire Simulation Training for Improving Fire Response Ability (화재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화재모의훈련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Kim, Eun-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13-114
    • /
    • 2023
  • 본 연구분석결과 훈련 이벤트가 다수 적용될 때 훈련 참여자의 참여율, 관심도 및 화재대응자세가 많이 향상되고 훈련계획시 훈련 참여자들의 초기대응능력(화재통보 및 화재신고, 초기소화, 화재대피) 향상과 유지에 훈련목표를 두고 각 대응단계별 목표시간을 설정한 후 이를 기반으로 정량적인 훈련평가를 하여야만 화재대응능력 향상과 향후 화재모의훈련의 개선 및 피드백에 유용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웹 기반 수행평가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강공미;김진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866-868
    • /
    • 2003
  • 학생들의 학습 과정을 관찰하거나 학생들이 산출해 낸 자료를 통해 평가하는 방식인 수행평가는 학습과정 중의 학생 행동 및 반응을 관찰하고 평가하는데 소요되는 업무와 시간 부담으로 교사 주도의 평가방법과 학습 결과로서의 평가 방법을 많이 사용하게 라고 있다. 이에 인터넷을 이용한 수행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학생의 평가 참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평가 방법의 부분적 사용 등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PHP와 Mysql을 이용하여, 학생의 평가 참여 및 학습 과정 중의 수행평가를 지원하고 교사가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웹 기반의 수행평가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이러한 웹 기반 수행평가 시스템을 활용할 경우, 학생들의 평가력 문제해결력 등외 고등사고 능력과 전인적 발달을 도모하고. 교사의 업무와 시간 부담을 줄일 수 있어 다양한 수행평가를 확대 적용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training assessment system for emergency response training simulator (가상현실 기반 안전대응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훈련평가 시스템 개발)

  • Lee, Jai-Kyung;Huh, Young 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811-1812
    • /
    • 2015
  • 대형화, 복잡화 되어가는 대형 기계설비의 위험상황에 대한 실제 훈련은 소요시간 및 비용 증가, 훈련자 안전 확보의 어려움, 반복적인 훈련 및 평가가 어렵기 때문에 가상현실을 이용한 훈련 시뮬레이터가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형 기계설비 안전대응 시뮬레이터에서 수행된 훈련에 대한 훈련자 피드백 및 평가를 위하여 개발된 시스템을 소개한다. 가상현실 기반 훈련 시뮬레이터에서 수행한 훈련결과 데이터를 활용하여 훈련 시나리오 내 임무수행 여부, 수행시간/거리에 대한 정량적 평가와 함께 훈련자의 훈련동작 데이터와 표준동작과의 비교를 통하여 효율적인 훈련을 위한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평가 결과의 시각화를 통해 직관적인 훈련개선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개발된 훈련평가 시스템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훈련자 피드백 제공 및 반복적인 훈련 수행을 통한 안전대응 능력 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 Study on Improvement Method of Defense Systems Interoperability Assessment based on LISI (LISI 기반의 국방 체계 상호운용성 평가 개선 방안 연구)

  • Jang, Jae-Deok;Choi, Sang-Taik;Kim, Myong-Ho;Park, Dong-Ju;Choi, Sa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a
    • /
    • pp.1-4
    • /
    • 2011
  • 본 논문은 현재 국방 체계의 상호운용성 수준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사용하는 LISI 모델에 대해 개선되어야 할 내용을 제시한다. 우리 군은 국방 체계에 대해 상호운용성 수준 측정을 위해 LISI를 기반으로 한 자동화 도구를 활용하는 등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소요제기/개념단계, 설계 단계에서 적용되는 LISI 모델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아키텍처 구축 시 LISI를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상호운용성이 확보 가능한 아키텍처를 구축하기 위해 서는 LISI를 기반으로 아키텍처 대안들을 평가함으로써 향후 개발에 적용될 아키텍처가 상호운용성 요구를 달성하고 있음을 검증해야 한다. 더불어 본 논문은 LISI 모델 기반 상호운용성 평가를 위해 주요하게 고려되는 능력모델에 대한 절차(P), 응용(A), 기반구조(I), 데이터(D) 내용을 참조모델을 통해 최신화하는 방안에 대해 제안한다.

Analysis of Potential Flood Damage and Damage Priority Using Flood Hazard Map in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권역 홍수위험지도를 이용한 홍수피해잠재성 및 피해 우선순위 분석)

  • Kim, Ji-Sung;Oh, Kuk Ryul;Lee, Jae 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75-375
    • /
    • 2020
  • 우리나라는 현재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는 홍수피해잠재능(Potential Flood Damage, PFD) 산정방법은 잠재성요소(인구, 자산, 사회기반시설, 도시화율)와 위험성요소(홍수피해액, 확률강우량, 외수방어능력, 댐 및 저수지, 내수방어능력)로 산정 후 지역평가를 통해 그룹(A,B,C,D)별로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홍수피해잠재능(PFD) 산정인자가 많아 자료조사 및 구축에 많은 시간이 소요 되며, 인자별 다양한 공간적 범위로 인해 실무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소구역 단위 평가로 인해 하천의 침투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여 하천 주변의 중요도 평가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요도 분석 인자 단순화를 통해 자료 조사 및 구축 시간 단축과 더블어 위험성요소를 내포하는 홍수위험지도 사용을 통해 작업을 간소화하고, 하천 주변까지 고려하여 중요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권역을 대상으로 홍수위험지도 및 중요도 분석 인자(인구, 자산(공시지가), 시회기반시설(도로,철도), 도시화율(시가화지역)) 공간정보를 구축하였고, 점수할당법에 의한 인자별 중요도 분석 및 상관성 분석을 통해 피해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구·자산(공시지가) 인자가 높은 구역이 대체로 사회기반시설 연장 및 도시화 면적이 높게 나타났으며, 하천의 치수단위 구역별 중요도 분석시 인구·자산(공시지가) 두가지의 인자로도 치수안전도 결정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