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누화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9초

파장분할다중화방식 전광통신망에서 다중홉 연결 알고리즘 (Multihop Connection Establishment Algorithms in Wavelength-Routed Optical Networks)

  • 김상완;서승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7A호
    • /
    • pp.951-958
    • /
    • 2000
  • 파장분할다중화방식 전광통신망에서는 신호가 먼 거리를 진행할 경우, ASE(Amplified Spontaneous Emission) 잡음이나 누화(Crosstalk)와 같은 물리적 제약으로 인해 신호가 손상된다. 소낫ㅇ된 신호를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광신호를 중간 노드에서 재생(signal regeneration)해야 하지만, 신호 재생은 추가의 네트워크 자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재생 노드(Signal Regeneration Node, SRN)는 다른 광경로의 블록킹을 최소화하도록 신중히 선택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물리적인 제약 하에서 다중홉 방식으로 광경로를 설정하는 문제에 대해 최소비용 알고리즘(Minimal-Cost Placement Algorithm, MCPA)과 휴리스틱 알고리즘들을 제안하다. 최소비용 위치선정 알고리즘은 다이내믹 프로그래밍을 이용하여 송수신기나 파장의 부족으로 인한 다른 광경로들의 블록킹을 최소화하도록 공식화하였다.

  • PDF

유도탄 탄내케이블 브레이드 제거에 따른 고찰 (Study on the Removal of the Cable Braid Inside the Missile)

  • 은희현;김지민;이민형;정재원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05-110
    • /
    • 2018
  • 오늘날 북핵문제는 한반도와 동북아시아에 심각한 안보 위협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 군은 휴전선에서 수백 Km 떨어진 상공에서도 평양 등 북한 지휘부 건물과 핵시설을 정밀 타격할 수 있는 장거리 공대지 유도탄의 해외 도입과 국내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장거리 공대지 유도탄 개발을 위한 여러 설계 요소 중 유도탄 경량화를 위한 탄내케이블 브레이드를 제거하고 이에 따른 성능을 예측 및 분석하였다. 브레이드 제거에 따른 탄내케이블 뭉치 내부의 누화 (cross-talk) 및 군사 EMI 규격인 MIL-STD-461F의 내성(conduction susceptibility) CS114 및 방사(radiated emission) RE101 규격을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브레이드 제거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마하 젠더 변조기로 생성된 CSRZ 펄스 기반의 200 Gb/s OTDM-PAM4 신호의 전송 (Transmission of 200-Gb/s 2-channel OTDM-PAM4 Signal Based on CSRZ Pulse Generated by Mach-Zehnder Modulator)

  • 배성현
    • 한국광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51-156
    • /
    • 2023
  • 파장당 200 Gb/s급 신호를 전송하는 고속 근거리 광통신 시스템을 비용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캐리어 억제 펄스 기반의 2채널 광학적 시분할 다중화 시스템을 제안한다. 캐리어 억제 펄스는 널 바이어스가 인가된 마하 젠더 변조기로 생성되며, 이는 시분할 다중화 신호를 색분산에 강인하게 만든다. 송신부에서는 캐리어 억제 펄스를 둘로 분기하고, 각각을 100 Gb/s의 4레벨 진폭 변조 신호로 변조한 후, 광학적 시분할 다중화를 통해 200 Gb/s의 신호를 생성한다. 다중화된 광 신호는 광섬유로 전송된 후, 반도체 광 증폭기로 증폭되며, 한 개의 광 검출기로 검출된다. 증폭기에 의해 발생한 잡음은 광학 필터로 제거된다. 시분할 다중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누화는 다중 입력-다중 출력 이퀄라이저로 보상한다. 본 연구에서는 200 Gb/s의 고속 신호를 40 ps/nm의 색분산을 갖는 광섬유로 전송하여도 3.8×10-3 이하의 비트 오율을 확보할 수 있음을 시뮬레이션으로 확인하였다.

쪽제비싸리종자(種子)의 지질성분(脂質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Lipid Components of Amorpha Fruticosa Seed)

  • 이영;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84-290
    • /
    • 1977
  • 쪽제비싸리 종자의 일반성분(一般成分)과 diethyl ether로 추출한 조지방질(粗脂肪質)에 대한 몇가지 물리화학적(物理化學的) 항수(恒數), 지방질(脂肪質)의 구성(構成) 및 지방산(脂防酸)의 조성(組成)을 분석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쪽제비싸리 종자의 일반성분은 수분(水分) 10.14 %, 조단백질(粗蛋白質) 21.77 %, 조지방질(粗脂肪質) 12.73 %, 탄수화물(炭水化物) 51.75 %, 조회분(粗灰分) 3.61 %였다. 2) 유지(油脂)의 비중(比重)$(15/15^{\circ}C)$은 0.925, 굴절율 $(15^{\circ}C)$은 1,477, 발연점은 $175^{\circ}C$, titer는 $14.8^{\circ}C$였다. 3) 유지(油脂)의 요오드값은 144, 비누화값은, 182, 산값은 2.9, 에스테르값은 179, 비비누화물량은 5.17%였으며 특히 요오드값과 비비화물량이 다른 식물성 유지 보다 높았다. 4) 지방질(脂肪質)의 구성은 다른 식물성 유지와 같이 triglyceride가 주성분으로 약 75% 함유 되어 있으며 esterified sterol이 약 14% 로 그 다음으로 많고, phospholipid, free sterol 및 free fatty acid가 3.08 %, 4.40 %, 3.77 % 각각 함유되어 있었다. 5) 지방산(脂肪酸)의 조성은 linoleic acid가 76.21 %로 주성분이며,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가 9.92 % 및 5.07 %로 그 다음으로 많으며, oleic acid와 linolenic acid는 4.45 % 및 2.03 %씩 각각 함유되어 있었고, 그 외에 palmitoleic acid와 arachidic acid는 1 %내외의 적은 양이 함유되어 있었다.

  • PDF

홀로그래픽 메모리시스템에서 위상 다중화 인코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Phase-encoded Multiplexing Method in Holographic Memory System)

  • 조병철;김규태;길상근;김은수
    • 전자공학회논문지D
    • /
    • 제36D권10호
    • /
    • pp.51-60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홀로그래픽 메모리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위상다중화를 위하여 기준빔으로 구현되는 네가지 형태의 위상코드를 생성시켰다. 프로그램적으로 $32 {\times} 32$의 동일한 픽셀수로 발생된 위상코드에 대하여 어드레스빔의 갯수를 계산하였고, 실제 광시스템에서 SLM의 비선형적 위상변조 특성을 고려하여 0%, 5%, 10% 15%, 20%, 25%의 에러율을 갖는 위상값을 의도적으로 부가하여 네 가지 형태의 위상코드들에 대한 각각 자기상관성분 및 상호상관성분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계산함으로서 위상코드 간의 cross talk 및 신호대 잡음비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32 {\times} 32$의 픽셀수에 대해서는 의사랜덤 위상코드의 상호 상관에 의한 평균값이 0.067로 다른 형태의 랜덤위상코드들의 신호대 잡음비와 비교하여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임의의 어드레스빔에 의한 순간적인 영상누화를 나타내는 표준편차값도 의사랜덤 위상코드가 0.0113으로 가장 작게 나타났다. 또한 픽셀수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32 {\times} 32$, $64 {\times} 64$, $128 {\times} 128$, $256 {\times} 256$ 과 같이 어드레스의 빔 크기에 해당하는 픽셀수를 증가하여 같은 방법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 PDF

위상 다중화 홀로그래픽 메모리 시스템을 위한 CPC 위상코드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Complex Phase-code for Phase Multiplexes Holographic Memory System)

  • 조병철;김정진;김은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1C호
    • /
    • pp.1-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최근 위상 다중화 홀로그래픽 메모리 시스템의 실질적인 구현을 위해 새로이 제시된 CPC(complex phase code)의 성능을 기존의 위상코드인 PR, RCE 및 WHM 등과 비교 분석하였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에서 어드레스빔은 32$\times$32의 픽셀크기로 고정하였고, 위상코드를 표현하는 상용 공간광변조기의 비선형적 위상변조 특성을 고려하여 0~25%의 에러율을 갖는 위상 코드값를 의도적으로 부과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CPC 및 PR, RCE, WHM으로 코딩된 각 어드레스빔에 대한 자기상관 및 상호상관 값을 계산함으로써 위상코드간의 영상누화(crosstalk) 및 신호대 잡음비(SNR)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CPC의 상호상관 결과의 평균값이 0.021, 표준편차값이 0.0113으로 다른 위상코드에 이하여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신호대 잡음비는 27.4로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32$\times$32의 빔크기를 기준으로 할 때 CPC의 어드레스빔의 개수는 6.344$\times$$10^{49}$ 으로 나타나 기존의 위상 코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암종실(種實)의 지질성분(脂質成分)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pid Components of Hazel Nut Oil)

  • 홍형기;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61-365
    • /
    • 1978
  • 개암종실의 일반성분과 petroleum ether로 추출한 지방질에 대한 몇가지 물리, 화학적 항수, 지방질의 구성분 및 지방산조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암종실의 일반성분은 수분 4.0%, 조단백질 15.5%, 조지방질 64%, 가용성무질소물 11.7%, 조섬유 2.0%, 조회분 2.5%였다. 그리고 참개암이 물개암보다 조지방질의 함량이 약 3%가량 더 많았다. 2) 개암종실에서 추출한 조지방질의 비중$(15/15^{\circ}C)$은 0.916. 굴절률$(15^{\circ}C)$은 1.468이였고, 비누화값은 184, 요오드값은 94.5, 산값은 0.2였으며 비비누화물량은 0.25%였다. 3) 개암종실유에는 중성지질이 약 97%이고 복합지질은 약 3%에 불과하였다. 4) 개암종실유중의 중성지질은 98 %가 triglyceride이고, free fatty acid와 free sterol은 각각 0.5% 및 1.3%였으며 esterified sterol은 검출되지 않았다. 5) 개암종실유의 지방산조성은 oleic acid가 $76{\sim}80%$로 가장 많고 linoleic acid는 약 15%로 그 다음으로 많으며, palmitic 및 stearic acid는 각각 5.0% 및 1.7%였으며, 그외에 linolenic acid와 palmitoleic acid가 각각 0.4% 및 0.8% 함유되여 있었다. 그리고 p/s ratio는 $1.8{\sim}2.8$이었다.

  • PDF

군용 무인 이동체 배선장치 커넥터에서 트위스트 케이블 핀 배치 최적화 방안 (Pin Distribute Method of Twist Cable at Military Unmanned Vehicle Wiring Unit Connector)

  • 은희현;노동규;곽규민;김재승;이철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245-250
    • /
    • 2020
  • 현재 국내에서 개발 중인 군용 무인 이동체들은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탑재 장치들이 많아지고 있으며 이 탑재 장치 간 인터페이스 케이블도 증가되고 있다. 또한 협소한 무인 이동체 내부 공간 문제로 탑재 장치들은 소형화, 집적화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 두 가지 이유로 커넥터도 소형 커넥터를 선정해야 하며, 이는 핀 간 거리가 가까워져 이로 인해 노이즈에 취약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케이블 트위스트가 풀리는 커넥터 핀에서 노이즈 원 종류에 따라 생성되는 자기장이 주변 핀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최적 핀 배치 설계의 가이드를 제시하였다. 첫째, 핀과 핀 사이에 누화 보다 자기장에 의한 영향이 크다. 둘째, +, - 노이즈원과 1칸 근접 시 +, - 사이 양옆의 자기장 분포가 강하다. 셋째, +,- 노이즈원과 2칸 근접 시 노이즈원과 원 신호 사이 핀을 공핀으로 놓은 경우보다 그라운드 핀으로 설정 시 자기장 분포가 개선된다. 넷째, 노이즈원이 Tx ±, Rx ± 와같이 차동모드 통신인 경우 Tx ±, Rx ± 배치에 따라 민감 신호 최적 배치 영역을 제시하였다.

평판디스플레이 응용을 위한 차동 FPCB 전송선 설계 최적화 (Design Optimization of Differential FPCB Transmission Line for Flat Panel Display Applications)

  • 류지열;노석호;이형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879-88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저전압 차동 신호(Low-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전송방식의 응용을 위한 차동 전송 접속 경로의 분석 및 설계 최적화 방법을 제안한다. 차동 전송 경로 및 저전압 스윙 방법의 발전으로 인해 LVDS 방식은 데이터 통신 분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분야, 평판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매우 적은 소비전력, 개선된 잡음 특성 및 고속 데이터 전송률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차동 유연성 인쇄회로 보드(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전송선에서 선폭, 선두께 및 선 간격과 같은 전송선 설계 변수들의 최적화 기법을 이용하여 직렬 접속된 전송선에서 발생하는 임피던스 부정합과 신호왜곡을 감소시키기 위해 개선 모델과 새로이 개발된 수식을 제안한다. 이러한 차동 FPCB 전송선의 고주파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주파수 영역에서 전파(full-wave) 전자기 시뮬레이션, 시간영역 시뮬레이션 및 S 파라미터 시뮬레이션을 각각 수행하였다. $17.5{\mu}m$$35{\mu}m$의 전송선의 경우, 전극 폭에서의 약 10% 변화가 차동 임피던스에서의 약 6%와 5.6%의 변화를 각각 보였으나, 전송선 간 간격은 차동 및 특성 임피던스에서의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송선 간격이 증가할수록 상호 인덕턴스 및 커패시턴스가 감소하기 때문에 누화 잡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신호 전송선간의 간격을 $180{\mu}m$ 이상 유지 해야함을 확인하였다.

연약지반 평가를 위한 블레이드 타입 현장 전단파 속도 프로브 (Blade Type Field Vs Probe for Evaluation of Soft Soils)

  • 윤형구;이창호;엄용훈;이종섭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12호
    • /
    • pp.33-42
    • /
    • 2007
  • 연약지반의 강성평가는 샘플링(sampling)과 현장 접근에 따른 교란으로 인해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이 상당히 어렵다. 이를 위해 개발된 링 타입 FVP를 이용하여 부산 신항에서 실험이 수행 되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지반 관입시 발생하는 교란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기존의 링 타입 FVP를 블레이드 타입 FVP로 개량하는 것이다. 블레이드 타입 FVP는 하단의 웨지 모양, 시료 교란, 트랜스듀서, 케이블의 보호, 그리고 케이블과 트랜스듀서간의 전자기적 커플링을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케이블 간 누화현상은 케이블의 접지와 통합을 통해 제거 할 수 있었다. FVP의 전단파 속도는 초기 도달 시간과 이동거리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계산될 수 있었다. FVP 블레이드의 관입에 의한 교란 효과 조사 및 FVP를 통해 측정된 전단파 속도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내 대형 calibration 챔버를 이용하여 비교 시험을 수행하였다. 블레이드 타입 FVP는 30m 깊이까지 측정이 되었으며, 전단파 속도는 매 심도 10cm마다 측정이 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개량된 블레이드 타입의 FVP는 대상 지반의 교란을 최소화 시키며 현장에서 직접 전단파 속도를 측정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장비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