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누설 검출

Search Result 18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Introduction to HELIUM Mass Spectrometry(I) (헬륨 질량 분석법 소개 (I))

  • 주승환
    • Journal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s Association
    • /
    • v.31 no.1
    • /
    • pp.17-28
    • /
    • 1998
  • 누설 검출기들 중에서 검출 감도가 가장 민감한 것은 '헬륨 양이온 질량 분석계 누설 검출기(줄인 이름, '헬륨 누설검출기')'이다. 이 글은 헬륨 누설 검출기의 주요 부분을 이루고 있는 질량 분석계의 측정 원리를 요약하여 소개한 것이다. 누설 검사의 항목들은 검사의 필요에 따라 대개 시험 물체에서 누설의 크기와 시험 방법을 바탕으로 하여 대규모 누설, 총량 누설, 소규모 누설 그리고 미세 누설 등으로 나뉘어지며, 미세 누설들은 누설 검출기의 최소 검출 가능 누출률이 $10^{-8}$ std ㎤ s$^{-1}$ 보다 작은 범위에 있는 것들로서, 그들의 누설 시험은 헬륨 누설 검출기를 써서 하게 된다. 따라서, 헬륨 누설 검출기의 심장은 바로 질량 분석계이며, 질량 분석계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곧, 헬륨 누설 검출기를 다루는 기술의 바탕을 다지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헬륨 질량 분석계의 원리를 쉽게 풀이하고, 그런 검출기를 써서 누설검사를 하는 데 바탕이 될 모습들을 함께 요약한다.약한다.

  • PDF

Development of the Leakage Current Detection Module for a Concent (콘센트용 누전감지 모듈 개발)

  • Han, Young-Oh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8 no.3
    • /
    • pp.447-452
    • /
    • 2013
  • In this paper, the leakage current detection and auto shut-off module for a concent has been developed. Existing leakage current detection modules are detecting resistive leakage current, using a resistive leakage current detection chip but the proposed leakage current detection module separates and detects resistive leakage current in the synthesis leakage current by only programming in a power processor MCU(MSP430). The module implemented by proposed method has early detection and auto shut-off feature at more than resistive leakage current 5mA, and has the advantage of easily adjusting resistive leakage current less or more than 5mA, because of resistive leakage current detection function being implemented by a program in MCU.

Development of residual current detector for protecting human and equipment of TN grounding systems in DC power distribution systems (TN접지방식 직류배전에서의 인체 및 설비 보호를 위한 누설전류 검출기)

  • Lee, Won-Ki;Kim, Hyosu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11a
    • /
    • pp.64-65
    • /
    • 2014
  • 신재생에너지원의 급속한 보급, 고신뢰 및 고효율 전원망에 대한 고객의 요구, 디지털부하의 급증 등 기술적 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직류배전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직류배전망의 안전성에 대한 문제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특히 지락, 단락사고, 절연고장, 낙뢰, 아크, 전식 등으로부터 인체 감전과 기기의 소손, 정지 또는 오동작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심각한 문제를 야기될 수 있다. 국제표준 IEC 60364에서는 전기설비에 따른 접지시스템을 TT, TN 및 IT접지의 3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TN접지방식은 전원선과 설비외함의 노출 도전부를 보호도체를 사용하여 공통으로 접지하는 계통을 말한다. 따라서, 전원선이 외함에 접촉되거나 인체의 감전에 의한 누전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전원선 전체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의 차이를 검출함으로서 사고전류의 검출이 즉각 이루어 질 수 있다. 교류계통에서는 영상전류검출기에 의하여 누설전류의 검출이 가능하지만 직류계통에서는 영상전류검출기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새로운 방식의 누전검출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감전 사고는 인체의 사고와 설비의 사고 두 가지로 구별되며, 효율적인 전력운영과 안전을 위하여 두가지 사고에 대해 통합적으로 구분 동작이 가능한 누설전류 검출기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TN접지계통에서 직류누설전류 검출이 가능한 홀 센서(HCT)를 사용하여 인체 및 설비의 누설전류 패턴에 따라 구분 동작이 가능한 직류용 누설전류 검출기 개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Steam Leak Detection Method in a Pipeline Using Histogram Analysis (히스토그램 분석을 이용한 배관 증기누설 검출 방법)

  • Kim, Se-Oh;Jeon, Hyeong-Seop;Son, Ki-Sung;Chae, Gyung-Sun;Park, Jong 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35 no.5
    • /
    • pp.307-313
    • /
    • 2015
  • Leak detection in a pipeline usually involves acoustic emission sensors such as contact type sensors. These contact type sensors pose difficulties for installation and cannot operate in areas having high temperature and radiation. Therefore, recently,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the leak detection phenomenon by using a camera. Leak detection by using a camera has the advantages of long distance monitoring and wide area surveillance. However, the conventional leak detection method by using difference images often mistakes the vibration of a structure for a leak.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steam leakage detection by using the moving average of difference images and histogram analysis. The proposed method can separate the leakage and the vibration of a structure. The working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by comparing with experimental results.

Location Estimation Method of Steam Leak in Pipelines Using Leakage Area Analysis (누설영역 분석을 이용한 배관 증기누설 위치 추정 방법)

  • Kim, Se-Oh;Jeon, Hyeong-Seop;Son, Ki-Sung;Park, Jong 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36 no.5
    • /
    • pp.384-390
    • /
    • 2016
  • It is important to have a pipeline leak-detection system that determines the presence of a leak and quickly identifies its location. Current leak detection methods use a acoustic emission sensors, microphone arrays, and camera images. Recently, many researchers have been focusing on using cameras for detecting leaks. The advantage of this method is that it can survey a wide area and monitor a pipeline over a long distance. However, conventional methods using camera monitoring are unable to target an exact leak loc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detecting leak locations using leak-detection results combined with multi-frame analysis.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by experiment.

A development on the compensating technique of the signal distortion and an Analysis of the signal in the CMFL type nondestructive testing system for detecting axial cracks (CMFL 비파괴 검사 시스템에서 축방향 결함 위치에 따른 신호의 왜곡 분석 및 보정 기술 개발)

  • Kim, Hui-Min;Kim, Jin-Sung;Park, Gwan-S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922-923
    • /
    • 2011
  • 비파괴 검사방법 중 자기누설 방법을 이용한 방법은 높은 자기 투자율을 갖고 있는 배관 검사에 적합하다. 자기누설 방식이 적용된 시스템을 MFL PIG라고 한다. MFL PIG는 금속 손실이나 부식과 같은 결함을 검출하는데 높은 성능을 보인다. 하지만 이 시스템은 축방향으로 자기장을 형성하여 투자율이 큰 금속 배관을 포화시켜 결함이 있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누설자속을 검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축방향으로 발생하는 미소 결함은 자기장이 통과하는 단면이 작고 누설자속이 거의 없어 검출이 어렵다. 축방향 미소결함을 검출하기 위해 기존의 MFL PIG를 개선시킨 것이 CMFL PIG이며, 이것은 자기장을 원주방향으로 형성하여 결함에서의 자기 누설을 최대화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축방향 미소 결함의 검출이 가능한 CMFL 비파괴 검사 방법에 관한 논의와 이를 이용하여 축방향 결함의 위치이동에 따른 왜곡 신호의 분석 및 보정하는 방법에 관해 제안한다.

  • PDF

Effect on detecting signal according to transition of pipeline thickness in Magnetic Flux Leakage system (자기누설탐상시스템에서 배관의 두께 변화가 탐상신호에 미치는 영향)

  • Seo, Kang;Park, Gwan-S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b
    • /
    • pp.643-644
    • /
    • 2006
  • 자기누설탐상시스템은 지하에 매설된 가스관에서 발생되는 부식이나 크랙 또는 기계적 변형을 탐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비파괴검사 방법의 하나이다. 가스관은 Nd자석에 의해 착자가 되고, 가스관에 부식이 발생했을 경우 가스관의 단면적이 작아지게 되어 자기누설이 발생하며, 발생된 자기누설을 홀센서로 검출하여 부식의 유무, 크기, 모양 등을 판별하게 된다. 지하매설 배관은 배관의 직경은 같으나 배관의 두께는 다양하게 존재한다. 특히 30inch의 배관에는 배관의 두께가 11.1, 14.3, 17.5 mm 등이 있다. 자기누설탐상시스템은 배관의 단면적 변화를 감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배관의 두께에 따라 그 특성이 변화하게 된다. 또한 두께에 따른 결함의 종류에 따라서 검출신호도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배관의 두께 변화에 따른 검출신호를 분석하였으며, 두께 변화의 영향을 적용하여 검출신호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ompressible Fluid Leak Position Detection of Buried Pipelines (매설배관 내의 압축성 유체 누설 위치 검출에 관한 연구)

  • Lee, Jeong-Han;Kim, Hyung-Jin;Yoon, Doo-Byung;Park, Jin-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0 no.5
    • /
    • pp.40-49
    • /
    • 2016
  • When a leak occurs in the buried pipelines, The leak locations are able to detected by using the vibration sensors. These leak detection system, intended for incompressible fluid, such as water, are of using the wave propagation velocity and a signal arrival time delay between the sensors. In this paper, to develop a leak location detection system for a compressible fluid such as gas, the conventional detection methods have been studied, improved, and verified through the experiment using the compressed air. It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leak location for compressible fluid in the buried pipelines and to be applicable to the development of a leak location detection system in buried pipelines for gas.

Pipeline Defects Detection Using MFL Signals and Self Quotient Image (자기 누설 신호와 SQI를 이용한 배관 결함 검출)

  • Kim, Min-Ho;Rho, Yong-Woo;Choi, Doo-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30 no.4
    • /
    • pp.311-316
    • /
    • 2010
  • Defects positioning of underground gas pipelines using MFL(magnetic flux leakage) inspection which is one of non-destructive evaluation techniques is proposed in this paper. MFL signals acquired from MFL PIG(pipeline inspection gauge) have nonlinearity and distortion caused by various external disturbances. SQI(self quotient image), a compensation technique for nonlinearity and distortion of MFL signal, is used to correct positioning of pipeline defects. Through the experiments using artificial defects carved in the KOGAS pipeline simulation facility, it is found that the performance of proposed defect detection is greatly improved compared to that of the conventional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coefficients based detection.

반도체 검출기의 절연 최적화를 위한 다층 절연막 평가

  • Park, Jeong-Eun;Myeong, Ju-Yeon;Kim, Dae-Guk;Kim, Jin-Seon;Sin, Jeong-Uk;Gang, Sang-Sik;Nam, Sa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372-372
    • /
    • 2014
  • 반도체 검출기는 입사되는 X선 에너지에 의하여 이온화되어 발생하는 전자 전공쌍을 수집함으로 방사선 정보를 확인하는 선량계로써 많은 연구와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X선 에너지에 의하여 반도체 검출기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량이 높지 않기 때문에 누설 전류의 저감이 필수적이다. 누설 전류를 저감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반도체 층과 전극 층의 Schottky Contact 구조의 설계, Insulating Layer의 사용, 높은 비저항의 반도체 물질 연구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누설 전류 저감을 위하여 Insulating Layer를 전극층과 반도체 층 사이에 형성하는 연구에 있어서 Insulating Layer와 반도체 층의 계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Charge Trapping으로 인하여 생성되는 신호의 Reproducibility 저하, 동영상 적용의 제한 등의 문제점을 겪어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누설 전류를 저감시킴과 동시에 Charge Trapping의 최소화를 이루기 위하여 Insulating Layer의 두께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Insulating Layer는 검출기 표면에 입사하는 X선 정보 손실을 최소화 시키는 동시에 누설 전류와 Charge Trapping을 최소화 시키는 방법으로써 CVD방법으로 검출기 표면에 균일하게 Insulating Layer를 코팅하였다. Insulating 물질은 Parylene을 사용하였으며, 그 중 온도, 습도 등 외부환경에 영향을 적게 받는 type C를 사용하였다. 증착에 사용한 장비의 진공도는 Torr로 설정하여 증착되는 Parylene의 두께가 약 $0.3{\mu}m$가 되게 하였으며, 실험에는 반도체 물질 PbO를 사용하였다. Parylene의 절연 특성은 Dark Current와 Sensitivity를 측정한 SNR을 이용하여 Parylene코팅이 되지 않은 동일 반도체 검출기와의 신호를 비교하였으며 또한 Parylene를 다층 제작한 검출기의 수집 신호량을 비교하였다. 제작한 검출기의 X선 조사 시의 수집 전하량 측정 결과, 100 kVp, 100mA, 0.03s의 X선 조건에서 $1V/{\mu}m$의 기준 시, Parylene를 코팅하지 않은 PbO 검출기의 Dark current는 0.0501 nA/cm2, Sensitivity는 0.6422 nC/mR-cm2, SNR은 12.184이었으며, Parylene단층의 두께인 $0.3{\mu}m$로 증착된 시편의 Dark current는 0.04097 nA/cm2, Sensitivity는 0.53732 nC/mR-cm2으로 Dark current가 감소되고 sensitivity도 감소하였지만 SNR은 13.1150으로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erylene이 $0.6{\mu}m$로 증착된 시편의 경우, Dark Current는 0.04064 nA/cm2, Sensitivity는 0.31473 nC/mR-cm2, SNR은 7.7443으로써 Insulating Layer가 없는 시편보다 SNR이 약 40%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arylene이 $0.9{\mu}m$로 증착된 시편의 경우 Dark current는 0.0378 nA/cm2, Sensitivity 0.0461 nC/mR-cm2로 Insulating Layer가 없는 시편에 비해 SNR은 약 1/12배 감소한 1.2196이었고, Parylene이 $1.2{\mu}m$로 증착된 시편의 SNR은 1.1252로서 더 감소하였다. 따라서 Parylene을 다층 코팅한 검출기일수록 절연 효과의 영향이 커짐으로써 SNR 비교 시 수집되는 신호량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도체 검출기의 누설 전류를 저감시킴과 동시에 신호 수집율에 영향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Insulating Layer의 두께를 적절하게 설정하여 적용하면 Insulating Layer가 없는 검출기에 비해 누설전류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고 신호 검출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