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누설유량

Search Result 9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배관을 흐르는 압축성 유채의 누설량 측정 방법

  • 이재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05a
    • /
    • pp.400-405
    • /
    • 1997
  • 산업 현장에서 널리 쓰이는 압축성 유체가 밸브 등을 통하여 원하지 않은 누설이 발생할 경우 그 배관의 외부 온도만을 측정하여 누설량을 개략적으로 구하는 방법을 보였다. 특히 배관라인등 유량 제한 요소가 없는 계통은 Fanno Line 방법을 적용하고 오리피스나 벤추리등 유량 제한 요소가 있을 경우는 노즐 모델링 방법을 적용하면 누설량을 구할수 있고 노즐모델링 방법으로 구한 누설량이 Fanno Line 방법으로 구한 누설량의 약 50%였다.

  • PDF

Excessive Leakage Measurement Using Pressure Decay Method in Containment Building Local Leakage Rate Test at Nuclear Power Plant (원전 격납건물 국부누설률시험에서의 압력감소법을 이용한 과다누설 측정 방법)

  • Lee, Won Kyu;Kim, Chang Soo;Kim, Wang B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36 no.3
    • /
    • pp.231-235
    • /
    • 2016
  • There are two methods for conducting the containment local leakage rate test (LLRT) in nuclear power plants: the make-up flow rate method and the pressure decay method. The make-up flow rate method is applied first in most power plants. In this method, the leakage rate is measured by checking the flow rate of the make-up flow. However, when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test pressure because of excessive leakage, the pressure decay method can be used as a complementary method, as the leakage rates at pressures lower than normal can be measured using this method. We studied the method of measuring over leakage using the pressure decay method for conducting the LLRT for the containment building at a nuclear power plant. We performed experiments under conditions similar to those during an LLRT conducted on-site. We measu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kage rate under varies pressure decay conditions, and calculated the compensation ratio based on these data.

Study on Leakage Measurements of Oxygen and Helium Using Standard Gas Flow Rates in a Orifice Flow (오리피스에서 기체의 표준유량을 이용한 산소와 헬륨의 누설량 측정에 관한 연구)

  • Lee, Joongyoup;Han, Sangyeop;Huh, Hwan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3 no.12
    • /
    • pp.1108-1115
    • /
    • 2015
  • In this study, correlation equations were arranged about mass flow rates of oxygen and volume flow rates of helium using a mouthpiece method. The mouthpiece method can reduce examination cost by using similar empirical formula. Instead of liquid oxygen, in the mouthpiece method, gas helium can be measured in order to determine the leakage amount of liquid oxygen conveniently. Experiment was conducted and compared to understand leakage amount relation between the helium and the oxygen for prototype item under a room and a cryogenic temperature conditions. The leakage volume flow rate [$A.m{\ell}/s$] of the helium was 174 times higher than mass flow rate [g/s] of the oxygen leakage at liquid state. The derived correlation equations were verified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NIST).

증착 시 질소 유량 변화와 열처리에 따른 ZrN 박막의 기계적 특성 및 전기적 특성 변화 연구

  • Hyeon, Jeong-Min;Kim, Su-In;Kim, Hong-Gi;Jo, Si-Yeong;Lee, Cha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300.1-300.1
    • /
    • 2016
  • 최근 반도체 회로의 미세화로 인해 디자인 공정이 20 nm 이하로 내려갔다. 그 결과 회로간의 간격이 줄었으며 많은 문제가 발생 한다. 첫 번째 문제는 미세하게 여러 박막 층들을 쌓기 때문에 박막 층이 그전 50 nm 공정에 비해선 쉽게 무너질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박막 층은 다른 여러 박막들의 하중을 잘 견뎌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회로의 미세화에 따라 박막의 기계적 특성이 좋아야 될 것이다. 또 다른 문제는 너무 좁은 회로의 간격으로 인해 다른 회로에 영향을 미치는 크로스토크라는 전기적 문제이다. 크로스토크가 크다는 것은 회로간의 누설 전류가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만큼 신호 전달 능력이 감소 한다는 것을 뜻한다. 크로스토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회로 사이에 절연 막을 만들어 누설전류를 막아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Zirconium nitride (ZrN) 박막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는 지연구해 보았다. 박막 제작 시 변화 요인은 질소유량 과 열처리 온도 이며 질소유량 변화는 2 sccm 과 8 sccm 두 경우로 하였다. 또한 열처리는 As-deposited state, $600^{\circ}C$$800^{\circ}C$로 열처리 하였다. 박막 증착은 RF magnetron sputtering을 이용하였으며 열처리는 질소 분위기에서 furnace를 이용하였다. 기계적 특성분석 결과 질소유량이 2 sccm 인 박막의 hardness는 as-deposited stste에서 18.8 GPa이고 $600^{\circ}C$에선 18.4 GPa로 거의 비슷하고 $800^{\circ}C$ 열처리한 경우는 15.4 GPa 으로 hardness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질소 유량을 8 sccm 흘려주며 증착한 박막의 경우는 as-deposited state, $600^{\circ}C$, $800^{\circ}C$에서의 hardness가 각각 17.5, 16.4, 21.1 GPa 으로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zrN 박막의 전기적 특성인 누설 전류 밀도도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ZrN 박막의 질소 유량 변화와 열처리에 따른 기계적, 전기적 특성변화를 확인 하였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a ceramic heat exchanger (세라믹 열교환기의 성능 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

  • Choe, Hyeon-Su;Sin, Dong-Hun;Jeong, Tae-Yong;Park, Sa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10.04a
    • /
    • pp.44-44
    • /
    • 2010
  • 대부분의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공업로는 연소 시 $1000^{\circ}C$이상의 고온 배기가스가 배출되고 있기 때문에, 이들 배기가스로부터 폐열을 회수하여 에너지를 절감하고자 열교환기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금속 소재의 열교환기의 경우 사용온도가 $800^{\circ}C$로 제한되어 있으며, 산화, 부식, creep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라믹 소재의 열교환기를 제작하여 열전달율, 공기누설율등을 평가하는 성능실험을 하였다. 실험방법은 연소시작 후 정상상태에 도달하기까지의 경향을 알아보고 공기유량과 가스유량에 변화를 주었을 때, 열전달율과 공기누설율등을 평가하고 이론적인 데이터와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1300^{\circ}C$이상의 환경에서도 정상적으로 작동하였으며, 외부환경조건을 고려하였을 때, 이론적인 데이터와 근접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대류열전달에 의한 열손실과 공기누설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류열전달에 의한 열손실을 고려한 연구와 효과적인 씰링으로 누설을 줄일 수 있는 실험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 PDF

A Study on the Simulation of Leak Flow-rate Using Isothermal Chamber (등온화용기를 이용한 누설유량 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

  • Ji, S.W.;Jang, J.S.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14 no.5
    • /
    • pp.71-75
    • /
    • 2010
  • Leak detection technology is a challenging research until nowadays, because it has wide and various applications in industry. Furthermore pneumatic component reliability test based on ISO requires air leakage measurement. The conventional measurement methods need a complex operation and the calibration of leak detector. Tracing the history of our study, we proposed a new method for measurement of leak flow rate using isothermal chamber. In this study, propose a simulation model of isothermal chamber by infinitesimal flow -rate, such as a leak flow-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imulation model is proved by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Base on the comparison results, proposed simulation model is good agreement with experimental results.

CFD Analysis of Leakage Prediction for Brush Element (CFD를 활용한 브러쉬 요소의 누설유량 예측 해석)

  • Kim, Kyul;Ha, Tae Woong
    • The KSFM Journal of Fluid Machinery
    • /
    • v.20 no.2
    • /
    • pp.11-16
    • /
    • 2017
  • The accurate prediction of leakage flow through the brush element of brush seal at the steam turbine is important to find optimum design parameters for increasing an efficiency. In this study, CFD analysis method using commercial software FLUENT is proposed to predict leakage through the brush element. Since the brush element has a complex three-dimensional shape with many bristle assemblies, it is difficult to analyze the flow field. Therefore, if the brush element is assumed to be porous medium region, the analysis time can be shortened. Two determination methods of resistance coefficients of the Darcian porous medium equation are suggested. By comparing the 2D and 3D CFD analysis results for the leakage of the brush element using the two resistance coefficient determination methods, the effectiveness of the analysis for the porous medium assumption is proved.

A Study on the Measurement Method of Leakage for Pneumatic Cylinder (공기압실린더의 누설유량 계측에 관한 연구)

  • Jang, J.S.;Ji, S.W.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11 no.4
    • /
    • pp.98-102
    • /
    • 2007
  • In this study, a measurement method of leakage flow-rate for pneumatic driving apparatus is proposed. The existing measurement methods of leakage flow-rate of air need disassemble the test component. Therefore, there is no effective method to measure the leakage flow-rate while operating pneumatic driving apparatus. In this study, the leakage flow-rate is measured from the pressure change in an isothermal chamber that can realize isothermal conditions by stuffing the steel wool into it. Therefore, a wide range of flow-rate could be measured only from the pressure response and the leakage flow-rate can be measured during operating pneumatic driving apparatu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is proved by experimental resul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