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뇌 사진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136초

게임 장애/중독 연구에 대한 비판적 분석 - 뇌 사진, 판단 척도 및 연구 절차를 중심으로 (Critical Analysis of Gaming Disorder/Addiction Researches on Neuroimages, Measurement Tools, and Research Processes)

  • 송두헌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35-146
    • /
    • 2019
  • 2018년부터 국제보건기구의 게임 장애의 국제 질병 코드(ICD-11) 등재 계획이 본격화하면서 세계적으로 학자들 간에 뜨거운 토론이 있었다. 하지만 대한민국은 등재의 부당함에 대한 학문적 근거 제시 없이 회피만 해온 것 같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 중독/장애와 관련한 과거의 학술 연구의 쟁점과 연구 오류 및 왜곡 사례들을 뇌 사진 판독과 게임 중독/이상 진단 도구의 적절성 등을 중심으로 짚어 본다. 본 분석은 게임의 과도한 사용이 게임의 질병 코드 등재의 충분 조건이 아니며 대다수의 건강한 게이머들에게 부당한 낙인을 찍어버릴 위험이 있음을 밝힌다.

뇌기능영상기법을 이용한 흡연욕구 가상환경 단서노출치료 효과 연구 (Cue Exposure Treatment in Virtual Environments to Reduce Nicotine Craving: Using fMRI)

  • 문지윤;이장한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501-50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단서노출치료가 흡연자의 니코틴 갈망수준을 감소시키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8명의 흡연청소년을 대상으로 6회기의 가상환경 단서노출치료를 실시하였다. 또한 단서노출치료 실시전과 후에 흡연관련 사진과 중립사진을 제시하는 동안 참가자들의 뇌를 기능성 자기공명영상장치(fMRI)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단서노출실시 전에는 prefrontal cortex(PFC), Anterior cingulate gyrus(ACC) 영역을 비롯한 7개의 영역이 활성화되었고, 단서노출치료 후에는 right middle frontal gyrus, right uncus, left medial frontal gyrus, right fusiform gyrus, 그리고 right superior frontal gyrus 영역이 활성화되었다. 단서노출치료 전과 후의 비교에 서는 PFC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흡연자의 흡연 갈망은 감소되었으며, 가상현실단서노출치료는 흡연자들 뿐 아니라 여러 물질의존자들의 치료에 유용한 방법이 될 것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 PDF

Fuctional MRI for Phobic Stimuli: Comparison study between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nd Control groups

  • 박지강;박종익;이호규;문찬흥;유재욱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2001년도 제6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106-106
    • /
    • 2001
  • 목적: 일반인과 외상성 스트레스 장애환자들(PTSD)에서 동일한 공포 자극에 대한 기능적 뇌 자기ㆍ공명영상에서 뇌 활성화 부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조군 (여자9명)과 외상성 스트레스 장애로(PTSD) 진단된 환자군 (여자9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모두 오른손잡이였다. 외상성 스트레스 장애군은 모두 교통사고와 관련되어 있었다. 1.5T MR 기기에서 EPI BOLD 기법을 이용하여 24개의 axial slice를 얻었으며, 시각자극으로 교통사고 현장 사진과 비교군으로 체크 무의 사진을 무작위로 배열하여 각각 1초씩 보여 주었다 (event related design). SOA (Stimulus Onset Asynchrony)는 3.5초로 하였고 전체 영상은 10분 동안 얻었다. 모든 환자에서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은 1차례 시행하였다. 영상후 처리는 SPM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황성화 신호의 유의수준은 p=0.01을 기준으로 활성화 영상을 얻었다. 활성화 신호를 육안으로 비교 분석하였고 해마, 편도핵, 전전두엽의 활성화 정도를 중심으로 평가하였다.

  • PDF

해외뉴스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17권9호통권184호
    • /
    • pp.21-24
    • /
    • 1984
  • 번호를 기억하는 전화기 / 바퀴벌레 없는 세상이 온다 / 보스턴 과학자들 상어의 연골에서 항암물질 찾는다 / 칼러사진을 수초내에 전송 /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인스탄트 X선 장치 / 밝혀지는 뇌의 약물수용체

  • PDF

천둥번개로부터 전력 및 통신 시설을 방호하는 대책에 대하여

  • 조규심
    • 전기의세계
    • /
    • 제45권7호
    • /
    • pp.18-24
    • /
    • 1996
  • 천둥번개가 방전현상이라는 것을 확고히 알아낸 것은 벤자민 프랭클린으 유명한 '연의 실험'에 의한 것이지만, 그러나 뇌의 현상의 본격적인 해명이 시도된 시초는 1900년대에 들어와서 보이스씨의 카메라(1928년의 C. V. Boys씨의 Camera)에 의한 뇌광의 사진기록이 가능하게 된 이래의 일이다. 천둥번개는 아직도 불명확한 부분이 있으나 국내 및 국외의 많은 연구가들에 의해 뇌운의 발생기구, 구조, 뇌격전류의 특성 등 상당히 많은 부분이 명확해졌다. 여기에서는 그것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 PDF

알코올 중독자의 얼굴 표정 인식과 관련된 뇌 활성화 특성 (Brain Activation to Facial Expressions Among Alcoholics)

  • 박미숙;이배환;손진훈
    • 감성과학
    • /
    • 제20권4호
    • /
    • pp.1-14
    • /
    • 2017
  • 본 연구는 자기공명영상 기법을 이용하여 알코올 중독자의 정서 인식과 관련된 뇌 활성화 특성을 관찰하였다. 입원치료 중인 알코올 중독자 18명과 이들과 나이, 성별, 교육 수준 등이 유사한 비중독자 16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참여자들은 뇌 영상 촬영 동안에 얼굴 사진을 보고 얼굴 표정 정서의 강도를 평정하였다. 연구 결과, 행동 반응에서는 알코올 중독자와 비중독자 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뇌 반응 결과, 알코올 집단에서는 비중독자 집단과 비교하여 얼굴 표정 정서 인식 동안에 정서 처리와 관련된 편도체/해마는 더 적게 활성화되었으며, 얼굴 정보 처리와 관련된 방추이랑, 시 공간 탐색과 관련된 이마엽 및 마루엽 영역은 더 크게 활성화되었다. 반면, 알코올 집단에서 혀이랑/방추이랑(BA 19), 시각적 탐색에 관여하는 가운데이마이랑(BA 8/9/46), 그리고 시공간적 정보 처리에 관여하는 위마루소엽(BA 7)이 더 크게 활성화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알코올 중독자의 정서 인식과 관련된 뇌 활성화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위 다방향 방사선조사의 선량분포를 위한 증명 (A Verification for Multiple Arc Stereotaxic Radiotherapy)

  • 윤세철;장홍석;김인아;신경섭;박용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8권1호
    • /
    • pp.111-114
    • /
    • 1990
  • 정위다방향 단일 고선량 방사선치료는 최근 치료방사선과 및 신경외과 영역에서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는 분야이다. 이 방법은 병소 부위를 중심축으로하여 여러 방향으로 다양한 각도의 회전조사를 하여, 주위 정상 뇌조직에는 최소한의 방사선을 주면서, 뇌병소 부위에는 집중적으로 1회 고선량을 조사할 수 있어서, 방사선 치료효과를 최대로 높아고자 시도되고 있다. 저자들은 6 MV 선형가속기와 치료 계획용 컴퓨터를 이용한 정위 다방향 단일고선량 방사선치료를 실시 함에 있어, 방사선 선량분포를 증명하고자, 등선량곡선 분포 및 뇌 CT상에 방사선 통로의 증명을 위한 사진을 각각 시도해 보았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소닉 브랜딩에 대한 신경 반응 : fMRI 연구 (Neural responses to sonic branding : an fMRI study)

  • 성영신;최민조;정선주;김채연
    • 감성과학
    • /
    • 제14권1호
    • /
    • pp.93-100
    • /
    • 2011
  • 소닉 브랜딩은 소리를 활용하여 브랜드 가치를 창조하고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닉 브랜딩의 다양한 방법 중에서도, 브랜드 정체성의 청각적 요소인 소닉 로고는 보통 비주얼 로고와 함께 쓰이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소닉 브랜딩의 형태이다. 소닉 브랜딩이 중요한 마케팅 도구로 활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거의 수행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 자기 공명영상 기법을 사용하여 소닉 브랜딩에 대한 신경 반응을 알아보고자 한다. 15명의 오른손잡이 참가자의 뇌 반응이 3T MRI 장비를 통해 스캔되었고, 청각 자극 없이 여러 장의 브랜드 로고 사진(광고에서 소닉 로고와 함께 제시되었던 비주얼 로고 사진 20장과 광고에서 소닉 요소가 없었던 비주얼 로고 사진 20장)이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 소닉 요소가 없었던 비주얼 로고에 비해 소닉-비주얼 로고가 청각 심상과 관련된 뇌 영역(예를 들어, 상측두이랑)의 활성화 증가와 연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닉-비주얼 로고에 대한 브랜드 친숙도, 광고 친숙도가 높을수록, 이러한 영역의 활성화 정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뇌 혈관계를 침범한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2례 (Two Cases of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with Cerebrovascular Involvement)

  • 김봉준;이은영;홍영훈;박기도;송영두;이충기;심영란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371-380
    • /
    • 1998
  • 저자들은 최근 루푸스가 뇌 혈관계를 침범하여 신경 정신과적 이상 증상을 보였으며 면역 검사, 뇌파 검사 및 뇌 자기공명사진에서 중추 신경 루푸스의 소견에 부합되는 양상을 보였고 고용량의 부신피질 호르몬 충격 요법에 반응이 좋았던 2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H_2^{15}O$ 양전자단층촬영술을 이용한 뇌기능 지도 작성(II): 작업 기억의 지도 작성 (Functional Brain Mapping Using $H_2^{15}O$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 II ): Mapping of Human Working Memory)

  • 이재성;이동수;이상건;남현우;김석기;박광석;정재민;정준기;이명철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38-249
    • /
    • 1998
  • 목적: PET을 이용하여 특정한 자극에 대한 국소 뇌혈류 변화를 영상화함으로써 비침습적으로 뇌의기능적 구조를 밝혀 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조과제와 언어성 및 시각적 작업기억중추에 대한 활성화과제를 수행하면서 뇌혈류 PET을 시행하고 그 차이를 분석하여 작업기억에 관한 뇌기능지도를 구성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정상인 6명에 대해서 각각 대조과제, 단어기억 언어성 작업기억 활성화과제, 그림기억 언어성 작업기억 활성화과제, 시각적 작업기억 활성화과제를 수행시키면서 뇌혈류 PET을 촬영하였다. 언어성 작업기억과제로서 단어 기억과제에서는 4개의 단어를 순차적으로 보여주고 1초 후 1개의 단어를 보여주어 동일한 단어가 4개의 단어 중에 있었으면 버튼을 누르게 하며 $H_2^{15}O$ PET을 촬영하였다. 두 번 째 언어성 작업기억과제인 그림 기억과제에서는 단어 대신에 특정 단어가 연상되는 사물의 그림을 보여 주었다. 시각적 작업기억과제로는 사람의 얼굴 사진을 보여 주고 같은 실험을 하였다. 의미 없는 기호를 보여 주면서 특정한 기호가 나오면 버튼을 누르게 함으로써 시각적 자극과 손가락운동으로 인한 뇌혈류 분포를 포함하게 하여 대조과제로 삼았다. SPM96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각 영상을 표준 지도 위에 공간적으로 정규화하고 활성화상태에서 뇌혈류가 의미 있게 증가된 영역을 찾아내기 위하여 각 화소의 방사능 계수에 대한 공분산분석을 하여 전체 계수 차이를 제거한 후 국소 계수 차이에 대한 귀무가설을 검증하여 각 화소의 Z 값에 대한 통계적 파라메터 영상(statistical parametric image)으로 뇌기능지도를 작성하였다. 결과: 단어를 이용한 언어성 작업기억에 대한 뇌기능지도에서는 왼쪽 브로카 영역와 전-운동영역, 왼쪽 소뇌, 오른쪽 대상회에서 뇌혈류가 증가하였다. 그림 기억과제 때에는 단어 기억과제에서 활성화된 각 부위에 더하여 왼쪽 위쪽 측두엽, 왼쪽 기저핵과 시상, 왼쪽 전-전두엽 등에서 뇌혈류가 증가하였다. 얼굴기억과제는 오른쪽 아래쪽 전두엽, 브로카 영역, 대상회, 위쪽 두정엽 등 주로 오른쪽 대뇌반구의 뇌혈류가 증가하였다. 세 가지 실험에 공통적으로 활성화된 영역을 찾기 위한 결합분석에는 왼쪽 전-운동영역, 소뇌와 기저핵, 오른쪽 대상회, 브로카 영역, 기저핵에서 뇌혈류가 증가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는 언어성 작업기억은 주로 왼쪽 대뇌반구의, 시각적 작업기억은 주로 오른쪽 대뇌반구의 활동에 의해서 주도되며 작업기억에 공통적인 활성화지역이 있다는 가설을 지지하였다. 전두엽이 작업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