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뇌혈관 수술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37초

관상동맥우회술 후 발생한 뇌혈관계 합병증 (Cerebrovascular Complications after Coronary Bypass Surgery.)

  • 진웅;김영두;윤정섭;김치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11호
    • /
    • pp.869-875
    • /
    • 2000
  • 배경: 뇌혈관계 합병증은 관상동백우회술 후 발생하는 사망률 중 10% 이상을 차지하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최근들어 고령 환자, 고혈압, 당뇨병 등이 병발하고 고 위험군에 대한 수술이 증가하면서 뇌혈관계 합병증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관상동맥우회술을 받은 환자의 의무기록을 조사하여 관상동맥우회술 후 발생되는 뇌혈관계 질환의 위험 인자를 밝히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3월부터 1999년 7월 사이에 관상동맥우회술을 받은 185명을 조사하여, 뇌혈관계 합병증의 위험 인자들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결과: 뇌혈관계 합병증의 유병율은 7.57%(14명)였으며 이중 5예는 사망하였다. 동 기간 중 전체 사망은 11예이므로 사망자의 45.5%가 뇌혈관계 합병증으로 사망한 것이다. 통계적의의가 있는 뇌혈관계 합병증 위험 인자로는 수술 후 부정맥(p=0.0064), 기왕의 뇌혈관계 병력(p=0.0090), 체외순환시간(p=0.0181), 대동맥의 동맥경화(p=0.03575) 및 당뇨병(p=0.0452) 등이었다. 경동맥협착이 동반되어 경동맥 혈관내막 절제술(carotid endarterectomy)을 동시에 시술한 경우는 2예였으나, 뇌혈관계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75세 이상의 고령환자는 3명이었으며 모두 뇌혈관계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관상동맥우회술 후 발생하는 뇌혈관계 질환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위험요인은 수술 후 부정맥, 뇌혈관이상의 기왕력, 체외순환시간, 대동맥궁의 동맥경화, 당뇨 등이었다.

  • PDF

반대측 내경동맥 폐쇄를 동반한 경동맥 협착에서 경동맥 내막절제술 후 뇌혈류 및 뇌혈관 예비능의 증가: 아세타졸아마이드 부하 뇌혈류 SPECT 연구 (Improved Cerebral Blood Flow and Cerebrovascular Reserve after Carotid Endarterectomy in Patients with Carotid Stenosis and Contralateral Carotid Occlusion: Acetazolamide Stress Brain SPECT Study)

  • 김재승;문대혁;김건언;김종성;권순억;조용필;류진숙;이희경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52-361
    • /
    • 1999
  • 목적: 경동맥 내막절제술은 양측성 경동맥 협착환자의 뇌혈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반대측 경동맥의 폐쇄가 있는 환자에서 경동맥 내막절제술 후 뇌혈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아세타졸아마이드 부하 뇌혈류 SPECT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내경동맥 협착(>50%)으로 경동맥 내막절제술을 시행한 77명의 환자 중 반대측 내경동맥의 폐쇄가 있었던 14명(평균연령 66세, 모두남자)을 대상으로 하였다. 하루검사 프로토콜로 Tc-99m ECD 아세타졸아마이드 부하 SPECT를 수술전 2주 이내와 수술 후 2주 이내에 시행하였다. SPECT 영상은 육안적 분석을 통해 뇌혈류와 뇌혈관 예비능의 감소 여부 및 수술 후 변화 여부를 평가하였다. 12명의 환자에서는 수술 전 윌리씨 환의 개통 유무를 수술 후 뇌혈관 예비능의 호전 유무와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전 뇌혈류는 동측의 2예와 반대측의 10예에서 감소되어 있었고 이 중2예(16.7%)에서 수술 후 뇌혈류가 호전되었다. 뇌혈관 예비능은 동측 대뇌반구에서 4예, 반대측은 9예에서 감소되어 있었고 수술 후 동측의 4예(100%)에선 모두, 반대측도 7예(78%)에서 호전되었다. 전뇌동맥이나 전교통동맥의 협착 혹은 폐쇄가 있으면서 반대측 뇌혈관 예비능이 감소되어 있었던 3예 모두와 전뇌동맥과 전교통동맥이 정상이면서 반저측 뇌혈관 예비능이 감소되었던 4예 중 3예에서 수술 후 동측 뿐만 아니라 반대측 뇌혈관 예비능이 호전되었다. 결론: 아세타졸아마이드 부하 뇌혈류 SPECT를 통하여 반대측 내경동맥의 폐쇄를 동반한 내경동맥 협착 환자에서 경동맥 내막절제술이 수술 부위의 대뇌반구뿐만 아니라 반대측 대뇌반구의 뇌혈관 예비능도 호전시킴을 알 수 있었고, 따라서 아세타졸아마이드 분하 뇌혈류 SPECT는 수술 전후의 뇌혈류 및 뇌혈관예비능의 변화를 평가하는데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 PDF

죽상 동맥 경화성 뇌혈관 폐색 환자에서의 두개외강-내강 우회로술 후의 혈관 영역별 연속 혈류역학 변화 (The Serial Change of Cerebral Hemodynamics by Vascular Territory after Extracranial-Intracranial Bypass Surgery in Patients with Atherosclerosis of Cerebral Arteries)

  • 홍일기;김재승;안재성;권순억;임기천;이재현;문대혁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2권1호
    • /
    • pp.8-16
    • /
    • 2008
  • 목적: 내경동맥 또는 중대뇌동맥의 죽상 동맥 경화증 환자에서의 두개외강-내강 우회로술(이하 우회로술) 후의 연속적인 혈류 역학적 변화를 $^{99m}Tc$-ECD 아세타졸아마이드 부하 뇌혈류 단일 광자 방출 전산화 단층 촬영(이하 아세타졸아마이드 부하 SPECT)으로 평가하여 중대뇌 동맥의 각 분지별 영역에 대한 우회로술의 혈류역학적 개선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향적 방법으로 최근 3개월 내에 혈관 폐색성 징후가 발생하여 우회로술을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과 수술 1 주 후, 3-6 개월 후에 아세타졸아마이드 부하 SPECT를 시행하였다. 영상 분석을 위해 SPM의 SPECT 표준 뇌에 공간 정규화한 후 Anatomical Automated Labeling으로 중대뇌동맥의 지배를 받는 양측 전두, 측두, 두정 영역에 관심 구역을 설정하여 각 관심 영역별로 뇌혈류 지표(PI; $C_{region}/C_{ipsilateral\;cerebellum}$) 및 뇌혈관 예비능 지표$((PI_{acetazolamide}-PI_{basal})/PI_{basal})$로 정하여 이들 지표의 수술 전후 변화를 평가하였다. 결과한 측에 성공적인 우회로술을 시행한 환자 17 명(남:여=12:5, 나이 $53{\pm}2$세)을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뇌혈류는 수술 1 주 후 유의하게 증가하나 3-6 개월 후 감소하여 수술 이전의 수준으로 유지되었으며 ($1.01{\pm}0.09{\rightarrow}1.06{\pm}0.09}{\rightarrow}1.02{\pm}0.10,\;p=0.005$) 뇌 혈관 예비능은 수술 1 주 후 유의하게 증가한 이후 유의하지는 않으나, 3-6개월 이후까지 계속 호전되었다($-0.14{\pm}0.05{\rightarrow}-0.07{\pm}0.04{\rightarrow}0.05{\pm}0.05,\;p=0.004$). 각 뇌 영역별로 뇌혈류는 두정 영역에서 수술 직후 증가하였다가($1.12{\pm}0.09{\rightarrow}1.18{\pm}0.09,\;p=0.003$) 수술 3-6개월 이후 감소하여($1.12{\pm}0.09,\;p=0.003$) 수술 이전의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뇌혈관 예비능은 수술 측의 전두 영역($-0.15{\pm}0.07{\rightarrow}0.08{\pm}0.05$), 두정 영역($-0.16{\pm}0.07{\rightarrow}-0.07{\pm}0.05$)에서 모두 수술 직후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1) 이후 유의하지는 않으나 3-6개월까지 계속 호전되었다. 결론: 성공적인 우회로술 후 뇌혈류는 전체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뇌혈관 예비능은 중대뇌동맥 영역 전체에 걸쳐 수술 후 단기간에 유의한 호전을 보였으며 장기간 유지되었다. 따라서 뇌혈관 예비능의 호전여부는 우회로술에 의해 증가된 뇌관류압을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생각되며 향후 우회로술에 의한 뇌졸중 재발방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뇌혈관 예비능의 변화와 예후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Shiga-like Toxin II 항독소에 의한 shiga-like Toxin II-Producing Escherichia coli O157:H7 감염돼지에서의 뇌혈관 병변의 방어 (Shiga-like Toxin-II-Producing Escherichia coli O157:H7 infection in gnotobiotic piglets : Protection against brain vascular lesions with SLT-II antiserum)

  • 채찬희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43-454
    • /
    • 1993
  • Shiga-like toxin-II(SLT-II)-producing Escherichia coli 0157 : H7 strain B2387이 분비하는 SLT-II가 gnotobiotic자돈에서의 뇌혈관 병변을 일으키는 pathogenesis에 관해서 실험을 했다. 제왕절개 수술로 태어난 자돈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서, 한 그룹에는 SLT-II 중화항체를 포함한 혈청을 구강을 통해서 수동면역을 시키고, 또다른 한 그룹에는 SLT-II 중화항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혈청을 구강을 통해서 수동면역시켰다. 24시간후 두 그룹 모두에게 SLT-II producing Escherichia coli O157 : H7 strain B2387를 구강으로 접종했다. SLT-II 중화항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혈청으로 수동면역시킨 그룹의 자돈들은 설사와 맹결장염, 신경증상, 뇌혈관병변을 일으키고, plasma의 prostacyclin의 level이 증가했다. 하지만 SLT-II 중화항체가 포함되어 있는 혈청으로 수동면역시킨 그룹의 자돈들은 설사와 맹결장염은 유발했지만, 신경증상과 뇌혈관병변은 관찰되지 않았고, prostacyclin의 level도 증가하지 않았다. 이런 실험결과는 SLT-II 중화항체는 뇌혈관병변은 방어하지만 맹결장염은 방어하지 못한다는 의미를 나타내며, prostacylin의 증가는 뇌혈관의 endothelium의 병변을 의미한다.

  • PDF

퇴원교육 프로그램이 뇌혈관 수술환자의 역할행위 이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scharge Education Program on Compliance with Sick-Role Behavior in Cerebrovascular Surgery Patients)

  • 박오장;이영자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36-445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discharge education program on compliance with the sick role behavior for patients having undergone cerebrovascular surgery. Method: Research was done using a posttest only design. The subjects were 60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neurosurgery unit at C.N.U. Hospital in G. City and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discharge education program were intervened two times in the experimental group by the researcher; the first one was at the time of discharge using a booklet about knowledge related to disease and compliance, and the other one was a telephone education session after a week from discharge. Data were collected two times by interview and telephone using questionnaires from January 19, to June 10, 2000. The first one was at hospital before discharge, and the other one was one month later from discharge. Data were analysed by $\chi^{2}$,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er score of compliance(t=2.772, p=.008)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but knowledge about CVD was not significant between the two groups(p>.05). Conclusion: The discharge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on the compliance of the patients having undergone cerebrovascular surgery.

  • PDF

뇌혈관 수술 환자의 삶의 질과 관련요인 (Quality of life and the related Factors in Cerebrovascular Surgery Patients)

  • 김미영;김금순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12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life and related factors of CVA surgery patients. Method: The subjects were 64 CVA surgery patients who had discharged and received follow up care at the OPD. Data were collected using William's SS-QOL instrument and IADL. An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program in which frequency, percentage,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were used to examine the quality of life and related factors. Result: Gener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QOL were marital status and economical status. Depressio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ith influence on QOL in CVA disease patients after surgery. There were further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tient's IADL and QOL and between patient's social support and QOL. Meanwhile the patient's depression level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QOL. Conclusion: Depressio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ith influence on QOL in CVA patients after surgery. Therefore a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decrease depression and to improve patient's physical functional status in needed. And the patient's family should be included in all nursing intervention and patient education so that the patient's quality of life is prompted by the maintenance of optimal wellbeing.

  • PDF

모야모야 환자에게서의 인공심폐기를 이용한 개심술 -1예 보고- (Cardiac Surgery Using CPB in Moyamoya Disease - A Case Report-)

  • 이기복;김응중;신윤철;박종운;이원진;박진흥;손정환;지현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0호
    • /
    • pp.772-775
    • /
    • 2003
  • 모야모야 질환은 원위부 내경 동맥과 근위부 뇌동맥들의 폐쇄성 내피 이형증으로 특징지워는 뇌혈관 질환으로, 아직까지 정확한 병인이 밝혀지지 않은 질환이다. 상기 질환은 양측 내경 동맥의 원위부에 부분적인 협착이나 폐쇄를 야기하게 되고, 이러한 뇌혈관의 해부학적인 변이는 뇌의 기저부에 매우 미세한 혈관들의 문합을 형성하게 하는데, 이러한 신생 혈관들이 뇌혈관 조영검사상 구름처럼 보인다 하여 ‘Moyamoya’라 불리운다. 모야모야 환자군들에게서 관상 동맥 질환 등으로 인한 개심술의 시행은 매우 드물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환자군들에서의 인공심폐기를 이용한 개심술은 수술 중, 그리고 수술 후 허혈성 뇌질환 등의 위험성이 매우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교실은 모야모야 환자에서 심방중격결손 폐쇄와 관상동맥우회술을 인공심폐기를 이용한 개심술을 시행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기에 간략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성인병 뉴스 제303호

  • 한국만성질환관리협회
    • 월간성인병
    • /
    • 303호
    • /
    • pp.1-18
    • /
    • 2006
  • 한국만성질환관리협회 신준식 부회장/국가 심.뇌혈관 질환 예방위 설치/약제비 절감‘포지티브’제도 강행/6월부터 환자 식대 보험 적용 확정/말기암 환자 호스피스기관 선정/“농촌지역 암.만성질환 관리 시급”/의료법인, 세제개선 헌법소원 추진/‘신약인프라 구축’5개년 계획 추진/화장품에 인태반 원료 사용 금지/약국 간판.광고 규제 대폭 완화/‘한방의학으로 수술 않고, 척추질환 치료’/“건강의 비결은 걷는데 있다”/식이섬유 1일 평균 19.8g 섭취/식도암, 내시경 수술 효과 좋았다/만성질환 관리의 현황과 발전방향/“40~50대 파킨슨병 발생 많다”/전립선비대증 치료‘시알리스’효과 있다/위암 수술 후‘젤로다+ 엘록사틴’투여 평가/

  • PDF

심장수술 대상자에서 선별 검사로서 두경부 MRA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ic Evaluation as a Screening Test for Patients who are Scheduled for Cardiac Surgery)

  • 서종희;최시영;김용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6호
    • /
    • pp.718-723
    • /
    • 2008
  • 배경: 최근 20년간 수술적인 기법, 마취 기술, 심폐기 운용, 중환자실 관리의 발전으로 심장수술의 사망률과 합병증은 상당히 감소하였지만 심장수술이 중추신경계에 상당한 위험 요소가 되는 것은 널리 알려진 바이다. 이 연구는 두경부 MRA를 통해 심장 수술 대상자에서 불현성 뇌혈관계 질환의 유병률과 두경부 MRA 상에서 비정상적인 소견을 보인 환자의 치료 방침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0월부터 2008년 6월까지 두경부 MRA 촬영에 동의한 107명의 심장수술 예정자(21세에서 83세까지의 연령분포를 보인 남자 71명과 여자 36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환자들 중에서 신경학적인 고위험군의 비율과 그 환자들의 치료 방침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신경학적으로 고위험군 환자의 비율은 15.7% (17예)였으며, 이중 11예는 허혈성 심질환, 6예는 판막 질환이였으며, 이 중 2예의 환자만이 이전에 신경학적인 병력이 있었다. 14명(13.1%)의 환자에서 치료 방침에 변화가 있었다. 결론: 심장수술 대상자에 있어 불현성 뇌혈관계 질환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생각되며, 이를 밝히는 데 있어 두경부 MRA가 의미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