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뇌졸중 영향 척도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38초

지역사회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과 뇌졸중 영향 척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mmunity Ambulation Training on the Gait Ability and Stroke Impact Scale in Stroke Patients)

  • 지상구;차현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788-2794
    • /
    • 2013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지역사회 보행 훈련과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보행 능력과 뇌졸중 영향 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는 총 22명의 뇌졸중 환자가 참여하였으며, 대상자들은 무작위 추출법으로 지역사회 보행 훈련군 11명과 트레드밀 보행 훈련군 11명으로 각각 배정되었다. 모든 대상자들은 전통적 물리치료를 6주 동안 주 5회, 하루 30분씩 시행하였으며, 지역사회 보행 훈련과 트레드밀 보행 훈련을 하루에 30분씩 각각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지역사회 보행 훈련군이 트레드밀 보행 훈련군에 비해 보행 속도와 분속수, 뇌졸중 영향 척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것은 지역사회 보행 훈련이 트레드밀 보행 훈련에 비해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과 뇌졸중 영향 척도에 유익한 영향을 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 보행 훈련은 뇌졸중 환자에게 실행 가능하며 적합한 훈련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뇌졸중 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Post Stroke Depression in Acute Stroke Patients)

  • 박순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385-394
    • /
    • 2020
  • 본 연구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뇌졸중 후 우울 발생 현황을 파악하고 뇌졸중 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2개 지역병원에서 허혈성 뇌졸중으로 입원 치료 후 상태가 안정되어 퇴원 예정인 20대 이상의 성인 104명을 편의추출 하였다. 뇌졸중 후 우울 측정은 뇌졸중 후 우울척도, 사회적지지는 사회적지지 척도, 뇌졸중 심각도는 미국 국립보건원 뇌졸중 척도, 장애정도는 수정 랜킨 척도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뇌졸중 발병 후 입원기간은 평균 5.9±2.1일이었고 79.8%가 7일 이내였다. 뇌졸중 심각도는 평균 2.4±2.5점이었으며 69.2%가 경증 뇌졸중이었고, 장애정도는 평균 1.6±1.1점이었고 46.2%가 발병 전의 모든 업무와 일상활동 실행이 가능했다. 대상자의 32.7%가 경증 이상의 우울상태였으며, 종교가 없고(p<.004), 장애정도가 심하고(p<.031), 뇌졸중 심각도가 높으며(p<.034), 가족지지가 적을수록(p<.009) 뇌졸중 후 우울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뇌졸중 환자들에게 발병 초기 단계부터 우울이 나타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뇌졸중 급성기 단계부터 우울에 대한 지속적인 조기 사정과 종교나 가족지지 등을 포함한 급성기 뇌졸중 후 우울 중재에 대한 간호지침 개발이 필요하다.

뇌졸중 환자의 체간조절, 균형능력에 기계적 승마치료가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chanical Horseback Riding Training on Trunk Control and Balance function in Stroke patients)

  • 송명수;강태우;김수미;노현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487-494
    • /
    • 2013
  • 본 연구는 기계적 승마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체간조절,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 15명의 뇌졸중 환자가 참여하였다. 연구 대상은 뇌줄중 환자를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7명, 8명씩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보존적 물리치료를 받았으며, 실험군에게 추가적으로 기계적 승마치료를 30분동안 시행하였다. 연구는 2013년 3월 4일부터 5월 3일 까지 약 8주간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평가 도구는 체간조절 검사, 뇌졸중 자세조절 검사, 버그 균형 척도, 일어나서 걷기 검사였다. 측정은 중재 전, 후로 실시하였다. 중재 후 군내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체간조절 검사, 뇌졸중 자세조절 검사, 버그 균형 척도, 일어나서 걷기 검사의 중재 전, 후 값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실험군은 중재 전, 후 차이값이 체간조절 검사, 뇌졸중 자세조절 검사, 버그 균형 척도, 일어나서 걷기 검사에서 각각 $27.85{\pm}19.03$, $6{\pm}4.04$, $19.28{\pm}4.27$, $16.68{\pm}4.61$ 향상되었고, 대조군에서는 각각 $17.87{\pm}18.3$, $2{\pm}2.07$, $7.62{\pm}6.75$, $3.21{\pm}1.75$ 향상되었다. 두 군간의 중재 후의 평가 비교에서 중재 후 체간조절 감사, 뇌졸중 자세조절 검사, 버그 균형 척도, 일어나서 걷기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이는 기계적 승마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체간조절 능력, 균형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하여 앞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시간사용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생활만족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ime-Use Intervention on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in Stroke Patients)

  • 류성현;박수진;김민혁;황도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9권3호
    • /
    • pp.91-102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8주간 실시된 시간사용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생활만족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9년 7월부터 10월까지 뇌졸중 환자 21명을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생활만족도의 변화는 생활만족도 척도(Life satisfaction scale)를 사용하였고, 자아존중감의 변화는 자아존중감 척도(Self-esteem scale)를 사용하였다. 결과 : 첫째, 실험군과 대조군 각각 중재 전과 후를 비교한 결과, 생활만족도와 자아존중감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둘째,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생활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을 비교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시간사용중재가 뇌졸중환자의 생활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따라서 의미있는 작업 수행의 참여가 뇌졸중 환자의 정신건강과 생활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뇌혈관질환 환자 이송 시 환자평가 시행에 미치는 요인 (Influential Factors on patient assessment Execution Given Emergency Medical Care Transportation of Cerebro-Vascular Accident Patients)

  • 노상균;김지희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78-181
    • /
    • 2012
  • 이 연구 대상자는 일개 대학병원 응급의료센터로 소방구급대를 통해 내원한 환자 중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뇌졸중으로 진단된 환자에서 이송 시 환자평가 시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결과 환자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분류(응급, 비응급, 지연), 의식상태(AVPU 척도)보다는 구급대원 자격별이 병원 전 뇌졸중 환자 이송 시 환자평가 시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비디오 투시조영 검사를 통한 높은 점도의 음식 삼킴 훈련이 삼킴 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삼킴 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wallowing training of high viscosity bolus on swallow function based on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examination in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 문종훈;김희진;서진영;홍덕기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909-916
    • /
    • 2016
  • 본 연구는 높은 점도의 음식을 삼키는 훈련이 뇌졸중 후 삼킴장애 환자의 삼킴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종합병원에 입원 중인 삼킴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은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9명씩 무작위 배치되었다. 실험군은 높은 점도의 음식을 반복해서 삼키는 훈련을 받았고, 대조군은 전통적 삼킴치료를 받았다. 평가는 기능적 삼킴장애 척도, 침습흡인척도, 미국 언어 청각협회 삼킴척도를 측정하였다. 두 그룹 모두 중재 전과 후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두 그룹 간의 변화량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기능적 삼킴장애 척도에서 유의하게 더 큰 향상을 보였다(p<.05). 높은 점도의 음식을 삼키는 훈련은 뇌졸중 후 삼킴장애 환자의 삼킴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작업기반 중재와 전산화인지재활치료의 결합 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웰니스를 위한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bination Intervention of Occupation - Based Intervention and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on Depression in Stroke Patients for Wellness)

  • 김선호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29-23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기반 중재와 전산화인지치료의 결합 중재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심리사회적 기능과 인지 기능 및 우울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뇌졸중 환자 23명을 실험집단 11명, 대조집단 12명으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은 4주간, 30분씩의 CoTras를 받았으며, 실험집단의 추가적으로 CoTras 시작 이전에 30분간 작업기반 중재를 받았다. 총 4주간, 20회 진행되었다. 평가는 자기 효능감 척도, 스트레스 척도, 우울척도, 신경행동학적 인지 상태 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은 자기 효능감과 스트레스, 우울의 개선에 대조집단보다 더 유의미한 개선을 나타냈으며, 인지 기능에서 실험집단은 대조집단과 작은 효과의 크기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근거로 뇌졸중 환자의 심리사회적 요인과 우울증, 인지 기능의 개선을 위해 CoTras와 함께 작업기반 중재가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동료멘토(peer mentor)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회복에 미치는 영향: 연구 프로토콜 (A Effect of Peer Mentor Program on Recovery after Stroke)

  • 이창대;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4권2호
    • /
    • pp.84-91
    • /
    • 2015
  • 본 연구는 해외 많은 분야의 재활에서 적용되고 있는 peer mentor 프로그램을 국내에 연구적, 임상적으로 도입하여 뇌졸중 환자의 정신적, 신체적 회복을 돕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두 집단 실험 설계로 뇌졸중이 발생한지 3-6개월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설계하였다. 동료멘토는 뇌졸중이 발생한지 2년이 지난 외래 환자로 서로 다른 회복수준을 보이는 환자들로 구성하고, 프로그램을 운영하기에 앞서 참가자들에게 심리적, 평가적, 정보적인 도움을 주는 방법과 프로그램 운영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 단축형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GDSSF-K)을 사용하여 프로그램 참가자들의 심리적 요인을 측정하고, 뇌졸중 영향척도(Stroke Impact Scale; SIS)를 통해 회복수준을, 노인 상지 기능평가도구(Upper Extremity Function Test for the Elderly; TEMPA)을 사용하여 신체적 요인을 측정한다. 본 연구를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는 연구자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과 더불어 뇌졸중 환자의 회복에 더 효과적인 프로그램 적용 방법에 대한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뇌졸중 영향 척도 3.0의 신뢰도와 타당도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troke Impact Scale 3.0)

  • 박은영;최유임;김은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293-302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Stroke Impact Scale 3.0(SIS 3.0)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연구에서 SIS 3.0은 125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측정하였다(평균 = 62.7, 표준 편차 = 9.43). SIS 3.0 하위 영역들 간에 상관 분석을 통해 구성타당도를 확인하였고, MBI(Modified Barthel Index)와 K-MMSE(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간의 상관을 분석하여 수렴타당도를 조사하였다. 각 항목의 특성은 고전적 문항 이론을 바탕으로 내적 합치도와 문항 변별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SIS 3.0의 구성타당도와 수렴타당도가 확인되었다. 감정 영역에 포함된 i 항목은 문항 변별도가 낮았지만 이 항목을 제외하고는 모두 변별도가 높았다. 하위 영역의 문항내적합치도는 0.858~0.941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현장에서 SIS 3.0 사용을 위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과제지향적순환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 일상생활동작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사례연구 (Effects of Group Task-Oriented Circuit Training on Motor Function, ADLs and Quality of Life in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A Case Study)

  • 고명숙;전혜선;황수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894-190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뇌졸중 환자에게 운동학습이론을 기초한 물리치료와 작업치료를 병행한 집단 과제지향적 순환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운동기능, 일상생활동작과 삶의 질적인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6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31주간 실시하였다. Chedoke-McMaster 뇌졸중평가, 균형검사, 일상생활활동 운동 처리기술 평가(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AMPS)와 뇌졸중 영향척도 측정을 치료 전과 후에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운동기능 손상영역, 균형과 뇌졸중 영향척도의 기분과 정서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일상생활활동 운동 처리기술 평가는 운동(motor)영역에서 6명 중 3명에게 처리(process)영역은 4명에서 훈련 후 향상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집단 과제지향적 순환훈련은 지역사회 만성 뇌졸중 환자의 신체적 기능 향상에 이점이 있다고 제언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