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뇌보호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28초

만성 알코올 섭취로부터 유도되는 뇌 및 간 조직 독성에 대한 지구자 혼합 추출물의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Mixed Extract including Hovenia dulcis Thunberg against Chronic Ethanol Treatment-induced Cytotoxicity in a Brain and Liver Tissue)

  • 김종민;박선경;궈텐자오;강진용;하정수;이두상;권오준;이욱;허호진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0권2호
    • /
    • pp.125-138
    • /
    • 2016
  • 산업화를 위한 지구자 및 12가지 식물성 원료 추출물의 생리학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만성 에탄올을 투여한 마우스 혈청 내에서의 생리학적 지표 및 간과 뇌 조직 내에서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효과를 확인하였다. 에탄올을 투여한 마우스의 혈당은 정상 대조군 그룹(NG)과 에탄올 투여 그룹(EG)에서 각각 119.43mg/dL, 305.25mg/dL로 나타났고, 에탄올과 혼합 추출물을 동시에 투여한 그룹(100, 200mg/kg body weight + 25% ethanol 5g/kg body weight, ME100, ME200)에서 각각 272.76mg/dL, 234.60mg/dL로 감소하였다. 혈중 에탄올 함량은 EG에서 4.08mg/dL를 나타내었고 ME100, 200에서 각각 3.85mg/dL, 3.08mg/dL로 감소하였으며,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함량은 18.72mg/dL에서 각각 15.76mg/dL, 15.16mg/dL로 감소하였다. 또한 ME100, ME200은 혈청 내의 생리학적 지표에서 간 독성 지표인 glutamine pyruvic transaminase(GPT),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GOT)와 신장 독성 지표인 blood urea nitrogen(BUN), creatine(CRE), 혈중 total cholesterol(TCHO), triglyceride(TG)의 함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뇌 조직에서 에탄올에 의해 acetylcholinesterase(AChE)가 EG(116.10%)에서 NG(100.00%)와 비교하였을 때 증가된 활성을 나타냈으나, ME에서 각각 109.00%와 108.47%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ME에서 EG에 비해 간과 뇌 조직에서 superoxide dismutase(SOD)의 함량이 증가하였고, oxidized glutathione(GSH)/total GSH 비율과 malondialdehyde(MDA)의 함량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지구자를 포함한 혼합 추출물은 간, 뇌 조직 및 혈액 등에서 만성 에탄올 섭취에 의해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제품으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이 유발된 신생자돈에서 재산소-재관류기 동안 NG-monomethyl-L-arginine과 L-arginine이 뇌의 혈역학 및 에너지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G-monomethyl-L-arginine and L-arginine on cerebral hemodynamics and energy metabolism during reoxygenation-reperfusion after cerebral hypoxia-ischemia in newborn piglets)

  • 고선영;강샘;장윤실;박은애;박원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3호
    • /
    • pp.317-325
    • /
    • 2006
  • 목 적 : 주산기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의 병태 생리에서 nitric oxide(NO)가 급성 저산소성 허혈(hypoxia-ischemia, HI) 후 재산소-재관류기(reoxygenation-reperfusion, RR)에 대뇌의 혈역학 및 에너지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NO 합성 억제제인 NG-monomethyl-L-arginine(L-NMMA)와 NO 합성 촉진제인 L-arginine(L-Arg) 투여를 통하여 뇌신경 세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생후 3일 이내의 신생자돈 28마리를 대상으로 무작위로 나누어, Sham 처치만 받은 정상 대조군(n=9), HI와 RR만 유발한 실험 대조군(n=7), HI 이후 RR 직전에 L-NMMA 투여군(n=6)과 L-arginine 투여군(n=6) 등 4군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은 ether을 흡입 시킨 후 thiopental을 정주하고, 기관 삽관 후 인공호흡기 등의 처지를 끝낸 후, HI를 유발하기 위하여 실험군에서 수술 겸자로 양측 경동맥을 폐쇄한 후 8% 산소로 30분간 흡입하였고, RR을 시행하기 위하여 경동맥 폐색을 풀고 흡입 산소농도를 60%로 올려 1시간까지 투여하면서 관찰하였다. 생리적 변수로 혈압과 동맥혈 가스 소견을 관찰하였고, 뇌의 혈역학적 변화와 에너지 상태는 near infrared spectroscopy(NIRS)를 이용하여 대뇌의 산화 헤모글로빈($HbO_2$), 환원헤모글로빈(Hb), 환산 헤모글로빈(HbD), 싸이토크롬 $aa_3$(Cyt $aa_3$) 등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실험 종료 시 얻은 뇌조직에서 $Na^+$, $K^+$-ATPase의 활성도 및 지질 대사산물인 conjugated dienes, 고에너지 인분자인 ATP(adeninetriphosphate)와 phosphocreatine(PCr)을 비교하였다. 결 과 : 생리적 변수의 변화에서는 실험군 모두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혈압, 동맥혈 산소 분압, pH, base excess 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5), 젖산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L-NMMA와 L-Arg군에서 실험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실험군에서 RR 1시간 후 pH를 제외한 혈압, 동맥혈 산소 분압, base excess 등의 이상소견은 모두 기저치로 회복되었고, 실험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NIRS 소견에서 $HbO_2$와 HbD는 HI 동안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5), RR 직후 기저치로 회복되었으며, $HbO_2$는 RR 40분 이후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Hb은 정상 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실험군에서 HI 동안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가(P<0.05), RR 직후 기저치로 회복되었다. 산화 Cyt $aa_3$는 HI 동안 실험군 모두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RR 이후 다시 증가하였다. 정상 대조군과 각 실험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뇌의 $Na^+$, $K^+$-ATPase 활성도와 conjugated dienes은 실험군 모두에서 정상 대조군(제1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뇌의 ATP, phosphocreatine은 실험군 모두에서 정상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고, 또한 실험군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신생 자돈에서 급성 저산소성 허혈 이후 재산소-재관류기 동안 NO 합성 억제제인 L-NMMA나 NO 생성 촉진제인 L-arginine이 뇌 혈역학이나 뇌의 에너지 대사에는 특별한 변화를 일으키지 않았다. 따라서 급성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에서 재산소화 재관류기 초기에는 NO가 뇌손상의 주요한 기전으로 작용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뇌혈역학 및 생화학적 검사 결과 등에서 급성기에는 에너지 부전 상태가 주요한 세포손상 기전이 아니고, 이온 농도의 변화에 의한 뇌부종, 산소유리기에 의한 뇌세포 손상이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의 급성기에 주로 작용하는 뇌세포 손상의 주요 기전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NO 생성 억제제 혹은 생성 전구물질인 L-Arg은 뇌신경 세포 보호 효과를 보이지 않아 급성 주산기 가사의 치료제로서 제한이 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좀 더 명확한 효과를 보기 위하여 선택적 억제제의 사용, 제제의 용량 및 투여시기, 손상 후 좀더 긴 시간 이후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일시적 국소 뇌허혈 흰쥐모델에서 원지석창포산의 뇌손상 및 인지기능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Wonjiseokchangpo-san has on Brain Damage and Cognitive Dysfunction in Transient Focal Cerebral Ischemia)

  • 강미선;장규태;김장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777-1783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Wonjiseokchangpo-san on brain damage in transient focal cerebral ischemia. Rats were used for testing in the following three models: Morris Water Maze, Eight-Arm Radial Maze, and Histochemistry. In the Morris Water Maze Model, the Wonjiseokchangpo-san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the 3rd and 6th training session compared with the ischemia group. A retention test, in the Morris Water Maze Model, was performed on the 7th day without the escape platform. The Wonjiseokchangpo-san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the ischemia group. In the Eight-Arm radial Maze model, the Wonjiseokchangpo-san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the error rate compared to the ischemia group. In the density of hippocampal CA1 cell of the cresyl violet-stained section, the Wonjiseokahangpo-san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the ischemia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Wonjiseokchangpo-san may have a significant protective effect on brain damage and cognitive dysfunction in transient focal cerebral ischemia.

일시적 국소 뇌허혈 흰쥐모델에서 거풍지보단의 뇌손상 및 인지기능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Geupunggibodan on Brain Damage and Cognitive Dysfunction in Transient Focal Cerebral Ischemia in Rats)

  • 정성욱;장규태;김장현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52-62
    • /
    • 2005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Geupunggibodan on brain damage in transient focal cerebral ischemia in rats. Methods: Rats were used for testing in the following three models: Morris water maze, eight-ann radial maze, and histochemistry. Results: In the Morris water maze model, the Geupunggibodan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the 3rd, 4th and 6th training sessions compared with the ischemia, group. A retention test in the Morris water maze model was performed on the 7th day without the escape platform. The Geupunggibodan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the ischemia group. In the eight-ann radial maze model, the Geupunggibodan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the error rate compared to the ischemia group. In the density of hippocampal CA1 cell of the cresyl violet-stained section, the Geupunggibodan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the ischemia group.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eupunggibodan may have a significant protective effect on brain damage and cognitive dysfunction in transient focal cerebral ischemia.

  • PDF

뇌해마배양조직을 이용한 치매 뇌손상 모델에 대한 소풍순기원(疏風順氣元)과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 처방약재의 신경보호효과 연구 (Investigation of Neuroprotective Effect Using Herb Medicine against Dementia related Brain Damage in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

  • 곡경내;김종우;정선용;박지호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3-57
    • /
    • 2010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neuroprotective effects of herb medicine against Alzhheimer's disease related brain damage in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 Methods: We induced dementia related brain damage in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s by $\beta$-amyloid. Those slices were treated with herb medicines - Hwangryeonhaedoktang, Sopungsoongiwon. Using by PI staining, the extents of cell death were assessed. After that, we selected the best effective one among those herb medicines and the major components of that medicine were studied to reveal neuroprotective effects and related proteins by using PI stating. Results: In PI staining, Sopungsoongiwon is the best effective herb medicine between Hwangryeonhaedoktang and Sopungsoongiwon. Notopterygii Rhizoma, Corni Fructus, Areca Catechu, Aurantii Fructus Immaturus, Plantaginis Semen is the best effective one among the components of Sopungsoongiwon. Conclusions: We suggested that purgative effect would be the best effetive medicine on dementia related brain damage between clearing heat and toxic materials.

흰쥐의 뇌 astrocyte에서 $amyloid-{\beta}25-35$로 유발된 지질의 과산화와 항산화 효소계 및 NO 생성에 미치는 백강잠의 효과 (Effects of Bombycis corpus on Amyloid-induced Lipid Peroxidation Antioxidative Enzymes and NO Synthesis in Rat Astrocytes)

  • 김희준;정지천;윤철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31-339
    • /
    • 2001
  • 목적 : 본 연구는 식풍해경(熄風解痙), 소산풍열(疏散風熱) 효능이 있는 백강잠이 치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방법 : 치매 유발물질인 $amyloid{\beta}(A{\beta})$ 25-35를 흰쥐의 뇌 astrocyte에 처리한 후 대표적인 항산화 효소인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glutathione peroxidase 및 glutathione-S-transferase의 활성 변화와 NO 생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A{\beta}$ 25-35 처리로 catalase와 superoxide dismutase 활성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백강잠을 처리한 경우는 이들 효소 활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A{\beta}$ 25-35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된 NO 생성은 백강잠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백강잠은 항산화계 효소의 활성화 및 $A{\beta}$처리와 같은 치매유발 물질의 독성에 대한 적응능력 향상을 통하여 astrocyte를 보호하는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되며, 아울러 노인성 치매 등 임상적 응용에 그 효과가 기대된다.

  • PDF

스마트폰 대체재로서의 신뢰증강보는통신용 스마트안경 기술 (Smart Glasses Technologies for Trustworthy, Augmented Reality, See-Through Eyes-Direct Communications as Substitute for Smart Phones)

  • 송기봉;이준경;김광용;김건우;박소희;김태연;윤호선;이재호;김도형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4권5호
    • /
    • pp.58-70
    • /
    • 2019
  •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R&D status of ETRI's Trusted Reality (TR) project and its core technologies. ETRI's TR project focuses on the next-generation paradigm of smart phones, ETRI-TR Smart Glasses, which aims to provide the same features as those of smart phones without the involvement of any handheld device. Furthermore, they are characterized by additional features enabled by trustworthy VR/AR/MR/XR, such as privacy masking/unmasking, distributed structure of thin-client computing/networking among TR-Glasses, TR-LocalEdge, and TR-RemoteEdge, with novel see-through eyes-direct communication between IoT real/virtual objects and human eyes. Based on these core technologies of the ETRI's TR project, the human-held ETRI-TR Smart Glasses is expected to aid in the realization of XR vision with particularly more XR's safe_privacy on social life in the near future.

초음파 기반 혈뇌장벽 개방에 관한 최신 임상시험 연구 현황 (Recent clinical trials with ultrasound induced blood-brain barrier opening)

  • 박주영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64-569
    • /
    • 2022
  • 인체의 다른 장기들과 달리, 뇌는 혈뇌장벽(Blood-Brain Barrier, BBB)라는 보호 장치가 존재하여 뇌혈관내 물질들이 뇌조직으로 투과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BBB는 알츠하이머, 뇌종양 등 다양한 뇌질환에 직접적으로 전달이 필요한 약물의 투과까지 제한하기 때문에 치료 효능 검증 및 임상 적용이 어려운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비침습적 특성의 집속 초음파(Focused Ultrasound, FUS)를 뇌의 국소 부위에 조사할 경우 마이크로버블의 음향공동화 현상으로 인해 BBB가 일시적으로 개방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해당 기술을 안전성 및 유효성 검증, 약물 전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알츠하이머, 뇌종양 등 뇌질환 치료를 위해 활발히 연구가 진행중인 집속초음파 기반 BBB 개방 기술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충격파 완화 복합재의 설계 (Design of Polymer Composites for Effective Shockwave Attenuation)

  • 박경민;조승래;김혜진;이재준
    • Composites Research
    • /
    • 제37권1호
    • /
    • pp.21-31
    • /
    • 2024
  • 이 리뷰 논문은 복합재에 함유되어 충격파를 감쇠하는 물질에 대한 탐구를 통해 폭발로 인한 외상성 뇌손상(bTBI)에 대비하여 인적자원을 보호하는 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더하여 복합재의 충격파 감소의 정량화를 위한 충격파의 생성과 측정에 관련된 실험적인 방법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충격파는 고에너지 폭발물, 충격관, 레이저 및 레이저-플라이어 기술과 같은 다양한 접근법을 통해 생성이 가능하다. 충격파 전파 및 감쇠의 평가는 압전, 간섭계, 전자기 유도 및 스트릭 카메라 방법을 비롯한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진행된다. 또한 충격파 압력감쇠 특성이 알려진 폴리우레아, 이온액체를 포함한 상분리 물질을 조사하였고 복합재 구조의 구성을 통해서 충격파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리뷰에서는 충격파 감쇠 물질 개발에 관한 연구를 종합하고 분석함으로써 폭발로 인한 외상성 뇌 손상에 대한 위험을 낮출 수 있는 재료적인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선화아연바리스터 기반의 1-포트 서지보호장치의 최적 설계 기법 (Optimal Design Method of 1-Port Surge Protective Device Based on Zinc Oxide Varistor)

  • 정태훈;김용성;박근보;이승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93-102
    • /
    • 2018
  • 본 논문은 뇌격전류에 따른 저압 배전계통의 전자식 전력량계 및 배전 패널의 통신설비와 전원장치를 보호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서지보호장치(SPD)에 관한 것이다. 서지보호장치(SPD)는 접속방식에 따라 1-포트 서지보호장치(SPD)와 감결합 요소를 포함한 2-포트 서지보호장치(SPD)로 구분된다. 뇌격전류에 대한 내부 시스템의 보호는 협조된 서지 보호체계를 이루는 계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이론적인 검토를 통해 피뢰구역(LPZ) 정의에 대한 고찰 및 해석을 진행하였다. 뇌서지에 의한 뇌격전류는 상당히 크기 때문에 하나의 서지보호장치(SPD)로 방호하기에는 한계가 발생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단의 종속적으로 서지보호장치(SPD)를 설치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계통에 있어 한전계통에 연계되는 Incoming side가 아닌 건물 내에 설치되는 분기형 배전패널 내부의 전자식 전력량계 및 각종 통신(제어)설비를 보호할 목적으로 한전계통이 연계되는 MOF 단에 설치되는 LPZ0에 해당하는 피뢰기(LA, SA)와 보호협조를 이루는 LPZ1과 LPZ2의 경계영역에 설치하는 저압 배전계통용 II등급 서지보호장치(SPD)에 대해 설계를 하였다. 또한 감결합 요소가 없고, 부하 전류를 흘릴 수 있는 직렬 접속 방식의 1-포트 서지보호장치(SPD)에 대한 최적의 설계 방안을 도출하고 실험을 통해 기존의 방식과 비교하여 성능 개선과 관련한 검증을 실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