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농축

검색결과 2,744건 처리시간 0.023초

농축방법에 따른 마늘 농축액의 저장 안정성 (Storage Stability of the Concentrated Garlic Juices with Various Concentration Methods)

  • 배수경;김미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615-623
    • /
    • 1998
  • 마늘즙의 농축방법에 따른 저장 안정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90^{\circ}C$ 가열농축, $45^{\circ}C$ 감압가열농축, $-50^{\circ}C$ 동결 농축을 통해 농축액을 제조하고 이를 $4^{\circ}C$$25^{\circ}C$에서 보관하면서 마늘 농축액의 물리적 특성 및 미생물, 색도를 분석하였고 GC와 GC/MS를 이용하여 향기성분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또한 열풍건조로 마늘가루를 제조하여 향기성분을 측정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미생물수의 변화는 중온성균과 저온성균의 CFU/mL 모두가 $90^{\circ}C$ 가열농축액에서는 다른 농축액보다 $1{\sim}2log\;cycle$ 이상 낮은 값을 보였으며, 색도는 마늘즙 원액과 $-50^{\circ}C$ 동결농축액에서 L, a, b 값이 저장 초기에 뚜렷하게 증가하였고 $4^{\circ}C$ 저장시보다 $25^{\circ}C$ 저장시에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45^{\circ}C$ 감압가열농축액은 대체로 낮은 L값을 보였고, $90^{\circ}C$ 가열농축액은 높은 a값을 보였다. GC-MS에 따른 향기성분 분석에서는 3,3'-thiobis 1-propene, di-2-propenyl disulfide, 3-(methylthio)-1-propene이 마늘즙 원액과 농축액 모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열풍건조한 마늘가루에 비해 마늘농축액이 향기 성분 보유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전기투석을 이용한 분리막 담수화 공정 배출 농축수의 이차 농축기술 (Secondary Concentration Technology of Brine from Membrane Seawater Desalination Process with Electrodialysis)

  • 문정기;박광석;유윤기;윤영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C: 기술과 교육
    • /
    • 제1권1호
    • /
    • pp.69-73
    • /
    • 2013
  • 역삼투막을 이용한 해수담수화 공정에서 발생되는 농축수의 최소방류 및 회수율 극대화를 위한 공정으로 전기투석을 이용한 농축수의 이차 농축기술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방법은 정전압운전 방식을 채용하였으며, 농축/탈염조의 용량비율, 전압별 변화 및 전해질을 농축수로 활용시 등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사용한 막은 다가이온막을 채용하였으며, 전력효율을 최소화하며, 농축수의 농도를 극대화 및 탈염수의 농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 도출을 목표로 삼았다. 실험결과 농축/탈염조의 비율은 1대 5의 비율이, 전압의 경우 12V로 전해질의 경우 농축수를 이용시에도 효율에는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실험조건에서 도출된 최적조건으로는 탈염수의 총용존고형물 농도가 5.32g/l, 이차 농축수의 염도는 17.07%이며 전력량은 탈염수 톤당 16.74kWh로 나타났다.

추출용매에 따른 천마 농축액의 리올로지 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Gastrodiae Rhizoma Concentrates by Extraction Solvents)

  • 이부용;이옥환;김경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88-194
    • /
    • 2003
  • 천마식품가공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천마 추출농축액의 리올로지 특성을 조사하였다. 천마의 열수 및 50% 에탄올 추출물운 각각 5, 10, 15, 및 20 Brix와 10, 20, 30, 40 및 50 Brix로 농축하여 제조하였다. 열수 및 50% 에탄올 농축액의 정상유동특성과 동적점탄성을 조사하였다. Power law model로 구한 n에 의하면 모든 열수 농축액들은 전형적인 의가소성$(n=0.484{\sim}0.802)$유체의 흐름특성을 보였고, 50% 에탄올 농축액들은 뉴튼유체$(n=0.875{\sim}1.078)$에 가까운 흐름특성을 나타내었다. 열수 및 50% 에탄올 농축액의 ${\eta}_{app}$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Herschel-Bulkley model에 의한 열수 및 50% 에탄올 농축액의 C는 각각 $0.030{\sim}1.255$ Pa와 $0.007{\sim}0.065$ Pa이었다. ${\eta}_{app}$에 대한 온도 및 농도의 영향은 arrhenius식으로 해석하였다. 열수 및 50% 에탄올 농축액의 $E_a$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각각 $3.340{\sim}4.620{\times}10^3\;J/mol{\cdot}kg$$1.6289{\sim}18.6699{\times}10^3\;J/mol{\cdot}kg$의 범위로 나타났다. 진동수(angular frequency, ${\omega}$)가 증가할수록 저장탄성률(storage modulus, G#)과 손실탄성률(loss modulus, G@)은 일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50% 에탄올 농축액의 경우 모든 진동수에서 G#이 G@보다 높게 나타나 전형적인 저분자용액의 흐름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열수농축액의 경우 G@이 G#보다 높았고 0.5 rad/sec에서 교차점을 형성하였으며 전형적인 고분자 용액의 흐름특성을 나타내었다.

SPME-GC를 이용한 유해 대기오염물질의 분석 (Analysis of Hazardous Organic Air Pollutants using SPME-GC)

  • 허귀석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9-230
    • /
    • 2001
  • 휘발성이 큰 많은 종류의 유기물질들이 대기오염물질로서 존재하고 있어 이에 대한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유해 유기물질들은 ppb의 매우 낮은농도에서도 유해성을 갖고 있어 이를 분석하기 위한 공인된 분석방법은 모두 농축과정을 사용하고 있다. 캐니스터을 이용한 저온농축법과 흡착관을 이용한 농축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농축방법은 고가의 농축장치를 필요로 하므로 이러한 유해물질의 측정이 보편화되는데 장애가 되고 있다. (중략)

  • PDF

Tubular형 막에 의한 우유농축

  • 김인철;전종영;탁태문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5년도 춘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60-61
    • /
    • 1995
  • 유업에 있어서 분리막의 이용은 에너지 절약면에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현재, 분리 농축에 있어서는 증발 또는 진공 농축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대량의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에너지 손실이 크며, 특히 열변성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으로서 관심을 끌게 된것이 막분리 공정을 응용한 농축공정이다.

  • PDF

국내산 인삼 가공과정 중 difenoconazole의 가공 및 감소계수 연구 (Processing and Reducing Factors of Difenoconazole during Ginseng Processing)

  • 김종걸;박홍열;양규완;김성수;권찬혁;정연호;허장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63-270
    • /
    • 2011
  • 본 연구는 인삼 및 인삼 가공품에 대한 합리적인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과 인삼 및 가공품 중 농약의 잔류성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인삼 가공단계별 농약의 감소계수와 가공계수를 산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시험농약은 difenoconazole로 6년근 인삼포 2곳(강원도 원주, 경기도 이천)에 농약사용기준에 따라 살포한 후 수삼을 수확하여 건삼, 홍삼, 인삼 농축액 및 홍삼 농축액 시료로 가공하였다. 시험결과 difenoconazole의 잔류량은 원주, 이천수삼에서 모두 LOQ(0.02 mg/kg) 미만, 건삼은 각각 0.04 mg/kg, 0.10 mg/kg, 홍삼은 각각 LOQ(0.04 mg/kg) 미만, 0.08 mg/kg, 인삼 알코올 농축액은 각각 0.07, 0.36 mg/kg, 인삼 물 농축액은 모두 LOQ(0.04 mg/kg) 미만, 홍삼 알코올 농축액은 각각 0.08 mg/kg, 0.18 mg/kg, 홍삼 물 농축액은 모두 LOQ(0.04 mg/kg) 미만으로 모두 농약잔류허용기준(MRL) 이하였다. Difenoconazole의 가공계수는 건삼 3.55, 홍삼 3.17, 인삼 알코올 농축액 10.78, 인삼 물 농축액 2.00, 홍삼 알코올 농축액 6.45, 홍삼 물 농축액 2.00으로 산출되었으며, 감소계수는 건삼 1.09, 홍삼 1.02, 인삼 알코올 농축액 3.74, 인삼 물 농축액 0.73, 홍삼 알코올 농축액 2.42, 홍삼 물 농축액 0.74였다.

울금 농축액을 첨가한 불고기 소스의 개발 (Development of Bulgogi Sauce Added with Concentrated Curcuma longa L.)

  • 박성원;변광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43-158
    • /
    • 2014
  • 본 연구는 울금 농축액을 첨가한 불고기 소스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불고기 소스의 울금 농축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불고기 소스의 울금 농축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색도(명도; L, 적색도; a, 황색도; b)도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울금 농축액 첨가 불고기 소스의 DPPH 라디컬 소거능은 울금 농축액의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 시료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관능평가에서는 울금 농축액 10% 첨가 소스가 맛 기호도 측면에서 가장 우수했던 반면, 전반적인 기호도 측면에서는 울금 농축액 20% 첨가 소스가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울금 농축액 20% 첨가 쇠고기 구이가 관능 기호도 측면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으로써, 불고기 소스의 관능적 기호성을 위해서는 울금 농축액 20%를 첨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추 농축액을 첨가한 데리야끼 소스의 개발 (Development of Teriyaki Sauce Added with Jujube Concentrate (Ziziphus jujube Miller) Extracts)

  • 안준배;최석현;김현룡;박미란;이세희;김동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39-251
    • /
    • 2012
  • 본 연구는 대추의 농축액을 첨가한 데리야끼소스의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대추 농축액을 첨가한 데리야끼 소스구의 당도는 대추 농축액 무첨가구보다 높았다. 데리야끼 소스의 대추 농축액 증가에 따라 점도, 명도(L값), 적색도(a값), 황색도(b값)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반면, 데리야끼 소스의 대추농축액 첨가량 증가는 pH, 염도,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에서는 대추 농축액 20% 첨가 데리야끼 소스가 가장 높은 관능선호도를 나타내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데리야끼 소스의 총균수는 대추 농축액 무첨가구, 첨가구 모두 저장기간동안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써, 위의 결과를 고려하여 대추 농축액을 첨가한 데리야끼 소스 제조 시 대추 농축액을 20% 첨가하는 것이 적절한 배합비로 사료된다.

  • PDF

전처리 농축 정도에 따른 Aloe Vera gel의 동결건조분말의 물성 (Physical Properties of Freeze-Dried Powder of Aloe Vera Gel with Respect to the Concentrating Degree as Pre-Treatment)

  • 이남재;이승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2-36
    • /
    • 2009
  • 농축시킨 Aloe vera gel을 동결건조하였을 때 그 농축도 차이에 의한 최종 건조분말의 물성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분말의 최종 수분함량은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점성 측정에서는 높은 농축 조건의 경우 전형적인 shear thinning 현상과 non-Newtonian 유체의 속성을 나타냈다. 이에 비하여 낮은 농축 조건의 경우 Newtonian 액체의 성질과 고형분이 입자가 아닌 풀린 형태로 존재할 때 나타나는 현상을 보였다. 분말이 물에 용해되는 동안 전기전도도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한 결과 평형상태에 도달하였을 때, 가장 높은 농축 조건에서 전기전도도가 가장 낮게 나타나, 비전해질성 물질의 용해도가 가장 큰 것으로 해석되었다. 분말의 등온흡습성에서는 농축이 증가할수록 수분 흡착과 결합수의 양이 작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Aloe vera gel을 농축하여 동결건조할 때는 그 농축도에 따라 점성, 현탁시 전기전도도에 따른 용해성, 등온흡습성이 변하는 것으로 나타나, 특정 품질의 동결건조제품을 얻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농축의 최적화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번데기 농축단백질의 기능성 (Functional Properties of Silkworm Larvae Protein Concentrate)

  • 박금순;박정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04-209
    • /
    • 1986
  • 번데기 단백질의 이용성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농축 단백질을 조제하여 중요한 성질인 기능성을 대두 단백질과 비교하였다. 번데기 농축단백질은 대두 농축단백질보다 지방 흡수력이 더 높았으며, 용해도와 수분 흡수력은 낮았다. 유화성은 62.8%로 번데기 농축단백질이 더 높았으며, 유화력도 307ml/g으로 역시 높게 나타났다. 또한 $80^{\circ}C$로 가열한 후의 유화안정성도 번데기 농축단백질이 65.8%로 대두 농축단백질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포말성은 번데기 농축단백질이 더 낮았으며 포말안정성은 달걀알부민보다, 번데기, 대두 농축단백질이 더 낮았고, $5{\sim}7%$사이에 점도 증가 현상이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나타난 번데기 농축단백질의 높은 지방 흡수력과 유화성은 유화력을 이용한 식품제조에 좋은 단백질원으로서 이용이 가능하리라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