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촌지역개발수준

Search Result 14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Promoting the Disaster Safety Consciousness of the Rural Residents Against the Storm and Flood (풍수해 대비 농촌 주민 재난안전 의식 고취를 위한 연구)

  • Park, Miri;Lee, Young Kun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94-94
    • /
    • 2018
  • 풍수해로부터 안전한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국가적인 대책과 함께 지역내 사회구성원이 풍수해에 대한 사전대비의 중요성 인식과 피해를 최소화 시켜야한다는 사회적 인식이 강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농촌의 경우, 지역 개발 정책이 우선순위에 있어 농촌의 풍수해 예방정책이 후순위에 있는 경우가 많다. 더욱이 농촌의 풍수해 피해는 유사한 지역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유형을 가지고 있으며, 지리 지형적, 고령화 인구 비중 등 사회적으로 풍수해에 취약한 지역이다. 또한 농촌 주민들 또한 예방보다는 풍수해 발생 후 복구에 대한 대책이 풍수해 대책이라 생각하는 인식을 지니고 있다. 실제로 농촌주민의 안전 불감증은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통해 나타났으며, 재난 대책에 대해 이장 혹은 관공서 직원에게만 의존하는 등 풍수해대비에 대해 무지하고 낙관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었다. 농촌 주민의 재난 대응에 대한 무지와 무관심등의 인식 변화를 고려하지 않은 채 구조적인 차원의 대응은 풍수해의 예방에 있어 한계성이 발생한다. 농촌의 재난에 대한 인식변화는 주민들의 구조 및 체제에 대한 태도를 변화하게 함으로 써 보다 실효성 있는 변화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현 재난 대책에서는 농촌 주민의 재난대책 등에 대한 의식의 반영이 미비하며, 수준에 대한 정확한 측정 또한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주민의 재난안전 의식의 고취를 위해 현재의 주민의 재난안전 의식의 수준과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모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측정도구를 통해 농촌 주민의 재난안전의식에 측정 결과에 따른 각각 개선방향이 도출되어 농촌의 풍수해 대비 재난 대책에 대한 실효성이 증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ffect of the Level of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and Experience in Local Society Activity Influencing Community Sense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n Rural Areas (농촌 결혼이민여성들의 한국어 능력과 지역사회활동참여경험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 Yang, Soon Mi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21 no.4
    • /
    • pp.1061-1091
    • /
    • 2014
  • Language is connected with culture, and have a function of social and cultural integration. Also social participation is known to conduct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identity of immigran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riables such as the level of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and experience in local society activity on community sense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n rural areas. The result showed that the level of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ir sense of community, and experience in local society activity seemed to have intermediation effect on it. In conclusion,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plans improving proficiency of Korean language of the immigrants and participation in local society activities were suggested.

Indicators of Rural Regional Development Level by the City/County Type (농촌지역 발전수준 지표체계 설정과 시·군 유형별 비교)

  • Koo, Seung-Mo;Park, Yoon-Ho;Lee, Han-Sung;Choi, Se-Hyun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v.44 no.3
    • /
    • pp.99-110
    • /
    • 2010
  • This paper builds a system of indicators representing rural regional development level. Indicator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that is, living environment indicator group and regional vitality indicator group. Living environment indicator group consists of four indicators including housing, road, water supply, and sewage system, while regional vitality indicator group consists of five indicators including regional economy, public finance, and demography. Real data of the year 2002 and 2006 were used to do the basic statistical analysis and estimate the suitable statistical distributions for each indicator. Data were applied for the three city/county type, general city, urban-rural combined city, and county. General cities have the strongest urbanization tendency among the three types, while counties have the weakest tendency. General cities turned out to be superior in housing condition, road density, water supply system and sewage system. Indicators of employment and local finance showed the highest levels in countie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expected to provide local governments with the appropriate reference for their rural regional development policy.

농촌 여자노인의 BMI 및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 최정숙;권성옥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4.05a
    • /
    • pp.168-168
    • /
    • 2004
  • 평균수명과 노인인구의 증가로 단순한 수명 연장보다는 사는 동안 좀더 나은 신체적 기능을 유지하면서 건강한 삶을 살기를 원하게 되면서 건강관련 삶의 질이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여자노인들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인 요인을 분석하여 노년기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이나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중략)

  • PDF

Comparison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by Settlement Type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성향점수매칭법을 이용한 정주공간 유형별 주관적 삶의 질 수준 비교)

  • Kwon, Inhye;Park, In Kwon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8 no.2
    • /
    • pp.21-41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QoL) perceived by residents in different settlement spaces such as urban vs. rural and Seoul Capital Area (SCA) vs. Non-Capital Area (NCA). Using the data of the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Survey for Balanced Development' conducted nationwide by the Presidential Committee for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in 2018, a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was introduc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ypes of settlement spaces. The results show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found between all the types in satisfaction with local life, and in the case of happiness, rural residents show a higher level than those living in cities. Looking at the quality of life by QoL domain, the QoL of urban residents in SCA is generally the highest in the basic living environment, medical care, and culture/leisure domains, while the QoL of rural residents in the job/income, environment, community, and welfare domains is higher than that of residents of SCA and NCA cities. Interestingly, in no domains NCA cities show their relative strength. These results show the value of rural areas in the face of increasingly prevailing urbanization trends, and suggests that the value of rural areas must be strengthened for rural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pursue policy efforts such as rural regeneration based on spatial planning in order to respond to the disorganized development that damages the value of the rural environment and landscape and to harmoniously maintain and develop the rural settlement.

Networks of Rural Youth Education and Training in Asia (아시아 농촌 청소년 교육과 훈련의 연결망)

  • Kim, Sung-Soo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9 no.1
    • /
    • pp.131-145
    • /
    • 2002
  • 국제연합에서는 $15{\sim}24$세의 젊은이를 청소년이라고 정의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농촌청소년은 미래 농촌발전의 핵심주체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청소년은 그들 부모세대보다 더 높은 교육수준과 도전의식 그리고 더 높은 창의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그들은 미래가 자신의 장래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전망, 미래의 비전에 관심이 크다. 청소년에 대한 교육은 민주사회의 미래에서 한 사회가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투자 중의 하나라고 인식되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고도의 경쟁적인 시장경제로의 진입에서 청소년의 사회경제적 비전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과 훈련의 질적 양적 향상이 최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세계무역기구 출범 이후 농산물 수출국가와 선진국에서의 소득균형은 일반적으로 향상되었으나 순식량 수입국가나 개발도상국가에서는 소득균형이 더 악화되고 농업영역의 쇠퇴를 초래하고 있는 부작용이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 등의 분석이다. 더욱이 식량안전상황은 농산물의 급격한 수입으로 여전히 불안하고 농가 판매의 지속적인 악화, 농촌과 도시간의 소득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유해한 유전자조작 농산물 (GMO)의 교역은 소비자의 식품안전과 잠재적 위해 때문에 합당한 조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업교육, 연구 그리고 지도, 특히 아시아의 주요작물 영역에 대한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며 많은 아시아국가들에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농촌 청소년교육은 빈곤퇴치,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 그리고 지속적이고 균형있는 농촌개발 등이다. 이를 위한 정부와 국민, 특히 농촌 청소년들의 연결망을 통해 함께 협력해야 빈곤퇴치와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 등 농촌의 사회경제적 발전이 가능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아시아지역 농촌사회 및 식량농업의 발전을 위한 청소년 연결망을 예시적으로 검토하고 미래사회에서의 협력을 위한 접근을 탐색하였다.국제연합에서는 $15{\sim}24$세의 젊은이를 청소년이라고 정의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농촌청소년은 미래 농촌발전의 핵심주체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청소년은 그들 부모세대보다 더 높은 교육수준과 도전의식 그리고 더 높은 창의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그들은 미래가 자신의 장래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전망, 미래의 비전에 관심이 크다. 청소년에 대한 교육은 민주사회의 미래에서 한 사회가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투자 중의 하나라고 인식되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고도의 경쟁적인 시장경제로의 진입에서 청소년의 사회경제적 비전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과 훈련의 질적 양적 향상이 최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세계무역기구 출범 이후 농산물 수출국가와 선진국에서의 소득균형은 일반적으로 향상되었으나 순식량 수입국가나 개발도상국가에서는 소득균형이 더 악화되고 농업영역의 쇠퇴를 초래하고 있는 부작용이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 등의 분석이다. 더욱이 식량안전상황은 농산물의 급격한 수입으로 여전히 불안하고 농가 판매의 지속적인 악화, 농촌과 도시간의 소득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유해한 유전자조작 농산물 (GMO)의 교역은 소비자의 식품안전과 잠재적 위해 때문에 합당한 조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업교육, 연구 그리고 지도, 특히 아시아의 주요작물 영역에 대한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며 많은 아시아국가들에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농촌 청소년교육은 빈곤퇴치,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 그리고 지속적이고 균형있는 농촌개발 등이다. 이를 위한 정부와 국민, 특히 농촌 청소년들의 연결망을 통해 함께 협력해야 빈곤퇴치와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 등 농촌의 사회경제적 발전이 가능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아시아지역 농촌사회 및 식량농업의 발전을 위한 청소년 연결망을 예시적으로 검토하고 미래사회에서의 협력을 위한 접근을 탐색하였다.

  • PDF

Comparisons of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s among the Elderly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도시와 농촌지역 노인의 건강행태 및 건강수준 비교)

  • Chun, Jong-Duk;Ryu, So Yeon;Han, Mi Ah;Park, Jong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38 no.3
    • /
    • pp.182-194
    • /
    • 2013
  • Objectives: To identify and compare the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using the data of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comprised 3,823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4^{th}$ KNHANES (2007-2009). The areas were classified into "large cities," "cities," and "rural areas" using the administrative and residential areas. The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between the rural and urban areas were compared using a complex sample design with the Rao-Scott chi-square test and weighte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Compared to large cities, the odds ratios (ORs) (95% confidence interval [CI]) of rural areas were as high as 1.58 (1.25-2.01) for the influenza vaccination and as low as 0.47 (0.37-0.59) for flexibility exercises, 0.56 (0.38-0.81) for muscular exercises, and 0.76 (0.62-0.92) for obesity. The ORs (CI) for osteoarthritis and diabetes mellitus were as low as 0.81 (0.66-0.99) and 0.70 (0.55-0.89),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are better in rural areas than in urban areas despite the fact that the socioeconomic conditions in rural areas are poorer that those in urban area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ograms suitable for residential areas should be developed and that studies to explain the differences in residential areas are needed.

Psychosocial Stress Levels and Related Factors in some Rural Residents (일부 농촌지역 주민에서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과 관련요인)

  • Han, Mi-Ah;Kim, Ki-Soon;Park, Jong;Ryu, So-Yeon;Kang, Myung-Geun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33 no.1
    • /
    • pp.46-58
    • /
    • 2008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psychosocial stres and to identify it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1,806 adults aged 40-70 years living in Naju City, Jeollanamd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behavior, social suport and personality were collect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measurement instrument of psychosocial stress was psychosocial well-being index.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16.6% of subjects were categorized as high stress, 63.4% as moderate, and 20.0% as normal. Overall, the mean value of PWI was 17.29.8 and significantly diferent by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behavior, social suport and personality. In the case of men, the income, decreased positive social suport, increased negative social suport, type A behavior pattern, decrease of internal locus of control or poorer self-esteem. In the case of women, the PWI was significantly deteriorated in the subjects with no job, no spouse, decreased positive social suport, increased negative social support, type A behavior pattern, decrease of internal locus of control or poorer self-esteem.Conclusions: The psychosocial stres for rural residents was related with social suport and personality. Thus, these results should be considered to reduce stres levels in rural adults.

Securing the agricultural water in Ethiopia and the appropriate technology : in case of Germany's support (에티오피아의 농업용수 확보와 적정기술 - 독일 지원 사례를 중심으로 -)

  • Shin, Sang-Joon;Park, Sung-Je;Ryu, Si-S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47-851
    • /
    • 2012
  • 에티오피아의 수자원은 풍부하지만 그 활용의 수준은 매우 저조하다. 그 중에서 에티오피아의 농업용수 활용 수준은 굉장히 낮게 나타난다. 에티오피아의 농업은 강우량에 의존하는 형태를 지니지만 매우 불규칙한데, 이러한 특징은 에티오피아의 충분한 농업용수 활용을 위해 관개설치로 극복하려고 한다. 여러 선행연구에서는 에티오피아의 경제적 활성화는 근본적으로 농업용수의 충분한 확보가 전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농업용수의 확보는 농업 경제의 활성화로 나타나며, 그 활성화로 농업 생산품이 많아지고 종류가 다양화되기 때문이다. 몇몇 실증적 연구에서는 충분한 농업용수를 갖추고 있는 지역이 농업 경제가 활성화됨에 따라 소득의 증가로 귀결되었음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사실에 입각하여 에티오피아 정부는 관개를 통한 농업용수 확보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지만, 재정적 문제와 인적자본의 결여로 어려움에 봉착하고 있다. 에티오피아의 수자원 개발은 주로 국제적 지원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World Bank를 위시한 UNICEF, 핀란드 등은 에티오피아 농촌 지역의 수자원 개발에 많은 지원을 하였다. 반면, 대부분의 국제적 지원은 도시에 집중되어 있는데, 이러한 점은 에티오피아의 도 농간 수자원 개발이 확연한 차이로 나타나게 되었다. 우리나라 역시 에티오피아의 지원에 동참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적 지원은 에티오피아에 좋은 영향을 미치지만, 수혜자의 입장을 고려하여 지원을 펼친다면 더 좋은 성과로 나타날 것이다. 실제 독일이 볼리비아의 상황을 고려하여 농촌 지역의 빈곤감소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 형성 및 지원은 국제공적개발원조가 어떠한 형태로 나타나야 할 것인지에 대해 큰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독일은 볼리비아의 수자원 지역에서 자연자원 보존과 자연을 훼손하지 않는 방식의 관개를 설치하였다. 더불어 국가 정책과 연관되도록 공무원의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관개 교육을 통해 기술자를 양성하였다. 그 결과 농촌 지역에서는 식량 상황이 개선되었고, 소득의 증가로 귀결되었다. 이와 같이 국제원조에서는 "수원국의 필요"가 전제되어야 하고, 그 나라의 상황에 맞도록 국가 정책과 연동되어야 한다. 우리나라는 과거에 현재 에티오피아가 직면한 수자원 문제에 봉착하였었고, 이를 관개 기술의 발전으로 극복하였다. 이러한 수자원 기술을 에티오피아의 현실에 맞게 지원한다면 독일의 사례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으로 귀결될 것이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dietary behavior and nutrient intake of elderly in urban and rural areas for development of "Village Lunch Table" program: Based on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농촌 노인의 마을 밥상 개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도시와 농촌 노인의 식생활 행태 및 영양소 섭취 상태 비교분석 :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Lee, Youngmi;Choi, Yourim;Park, Hae Ryun;Song, Kyung Hee;Lee, Kyung Eun;Yoo, Chang;Lim, Young Suk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50 no.2
    • /
    • pp.171-179
    • /
    • 2017
  • Purpose: We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of dietary behavior and food and nutrient intakes of Korean elderly in urban and rural areas using the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239 participants (urban elderly: 867, rural elderly: 372) aged 65 years and over who participated in the health examination and nutrition survey in the 6th 2014 KNHANES. Dietary behaviors, including skipping meals, eating out frequencies, and food and nutrient intakes were analyzed using 24-hour recall data. Analysis of complex sample design data through SPSS 19.0 was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The rate of skipping dinner was higher in urban (6.5%) than in rural elderly (3.6%) (p < 0.05), and the frequency of eating out per week of urban elderly (1.73) was higher than that of rural elderly (1.35) (p < 0.001). The rural elderly consumed a greater amount of grain compared to urban elderly, whereas consumption of water, seaweed food, and dairy products was lower in rural than in urban areas (p < 0.05). The rural elderly consumed significantly less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s, n-6 fatty acids, phosphorus, iron, vitamin A, carotene, niacin, and vitamin C in comparison with elderly in urban areas. Comparison of the percentages of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DRIs) between the two groups showed that intakes of vitamin A and vitamin C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rural elderly than in urban elderly. Conclusion: The elderly in rural areas showed unbalanced food and nutrient intakes compared to the elderly in urban areas. Therefore, customized nutrition education according to residential areas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to rural elderly to improve their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