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농촌주민

검색결과 730건 처리시간 0.027초

지역별 주거만족도와 생활환경 만족도 - 도시 , 농촌, 어촌 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 (Satisfaction with Housing , Community , and Living Environment - Comparison among Urban , Rural , and Fishing Village Residents -)

  • 정영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113-121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도시, 농촌, 어촌지역 주민들의 주거만족도와 지역사회 및 생활환경 만족도를 비교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특성은 지역을 하나의 통제변인으로 분석에 포함시켜 제변인들의 영향력의 방향과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는 점이다. 자료는 1993년 6월 부터 1994년 6월 동안 488명의 주부를 대상으로 수집하였으며, 대구에 거주하는 주부 254명과 경북권내의 영천과 청도 등의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주부 124명, 그리고 한산도 섬내에 거주하는 주부 110명을 대상으로 각 가정을 방문하여 면접법을 실행하였다. 회귀분석을 실행한 결과,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주거비와 주거소유형태였으며, 거주하고 있는 지역사회와 생활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주거만족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을 고려할 때, 도시거주자의 주거만족도가 농촌이나 어촌거주자의 주거만족도 보다 높은 반면 지역사회에 대한 만족도와 생활환경 만족도는 농촌거주자와 어촌거주자가 도시거주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을 고려한 주거정책 관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주민이 참여하는 농촌마을 개발을 위한 조사연구 (A research for rural village development that inhabitants participates)

  • 김승근;김정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42-51
    • /
    • 2003
  • Need suitable development project and support, political care in the village for reasonable development of farm village area.. In these process, first of all, important thing is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Because Forwarded businesses had occupied bulk without absolut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 who the biggest problem that appear in government-initiated farm village policy past is real subject of Ready front business and recipient. First departure of these rural development policy plan sees that it is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will. In this study, present role of access method and expert to inculcate inhabitants participation relationship of relevant area as early study for development project establishment that can coincide in special quality of relevant farm village area, role of a concern interested. Investigation area did the Chung chong-bukdo Chung-ju city Ang-seong village to the dimension.

  • PDF

순천시 지역적 특성에 따른 보건의료정보 요구도 비교 (Health services Information Need Differenc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in Sooncheon City)

  • 민혜영;오현주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5권2호
    • /
    • pp.413-425
    • /
    • 2000
  • 1.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특성과 각 주민들의 요구를 고려한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도시지역 주민의 경우 보건소의 업무 중에서 질병예방이 우선이라고 하였으며 농촌지역 주민들의 진료 서비스가 우선이라고 하였다(부표 1 참조). 2. 보건소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재인식할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정보화에 맞추어 지역의료체계의 핵심적인 중추기관으로서의 기능을 재정립해야 한다. 따라서 순천시 역시 주민의 보건소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히 높다는 것을 감안하여 보건소에서 지역주민이 원하는 정보화 서비스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지역보건의료 서비스의 정보화에 관련된 계획을 수립하는데 이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삼아야 한다(부표 2와 부표 3 참조).

  • PDF

<사례보고> 건강격차 해결을 위한 주민참여형 보건사업: 주민자치회 중심 전략개발 (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Project to Reduce Health Disparity: Focusing on the Residents' Autonomy Council)

  • 홍남수;김건엽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8권3호
    • /
    • pp.165-177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신체활동 수준 격차의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서 1) 중재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였으며, 2) 중재모형 평가를 통해 지역 간 격차 해소 전략을 제시하였다. 취약지역 1개동을 선정하여 사업을 진행하였으며 주민자치회를 기반으로 주민건강조직을 구성하고 역량강화 교육을 시행하였다. 리빙랩을 활용하여 주민건강조직 중심으로 사업을 계획하고 추진하였다. 이러한 주민참여 활동을 바탕으로 주민자치회 건강행복분과를 신설하여 지속적인 사업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사업 평가를 통해서 주민자치회 건강분과를 중심으로 보건소, 주민센터 등이 협력하고, 보건영역과 공동체 영역에서 사업을 지원하는 사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주민자치회가 주민건강조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주민참여나 자치활동과의 연계를 통해서 주민참여형 보건사업 전략이 활성화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베트남의 지역사회 산림 관리 현황 분석 (An Analysis of Status Community Forest Management in Vietnam)

  • 뉴엔딩하이;김성수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1권2호
    • /
    • pp.389-395
    • /
    • 2004
  • 베트남은 도이 모이 (Doi Moi) 개혁 정책이 1996년에 도입된 이후, 산림분야에서는 분권적 관리 체계를 받아들였고 국가 경제는 정부의 관리 체제하에 시장지향형(market-oriented)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제 분야에서는 임업활동을 수반할 수 있게 되었고 지속가능한 임업 발전을 위하여 임야와 토지가 개인, 가정 그리고 사회경제적 조직들에게 분배되었다. 지역사회의 주민들은 임업활동에 더 적극적으로 되었고, 사회임업은 베트남에서 점차적으로 발전하며 사람들에 의한 사람들을 위한 임업으로 자리잡고 있다. 지역사회 산림(community forest)의 근본적인 특징은 전과정에 있어서 농민과 지역주민의 참여를 유도한다는 데에 있다. 지역주민에 의한 산림 관리는 새로운 산림 관리 방식으로 각 가정에 의해 관리되는 농업에 있어 급속한 변화들이 나타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본 논문은 지역사회 산림의 현황과 임업 발전에 있어서 지역주민 참여의 이점과 문제점을 SWOT(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and Threats) 분석을 통해 구명하고자 하였다.

  • PDF

주민자치에 의한 마을 만들기 사례분석 -청주지역 『아름다운 마을가꾸기 운동』을 대상으로- (A Study of the Making of Communities Driven by Citizen Autonomy in Cheongju)

  • 원세용;김미연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49-56
    • /
    • 2008
  • Through a case study on The making of communities driven by citizen autonomy in Cheongju, The study is to figure out how it proceeded and how many were finished by project. These projects completed in 2007 and 2008 for "Campaign of making beautiful communities" were driven by people at community center in Cheongju city. This paper consisted of research on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community center, the developing process of "Campaign of making beautiful communities" and an analysis of each project. This study was based on the interviews of the official of Cheongju city for having ideas about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community center and the developing process of "Campaign of making beautiful communities" and also visits each center for investigating actual programs accomplished.

  • PDF

여성농업인의 공동체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지역농업리더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Female Farmers' Sense of Community on Resident Participat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n Regional Agriculture Leader's Capacity-)

  • 최정신;최윤지;정진이;김현영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9권1호
    • /
    • pp.19-31
    • /
    • 2022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regional agricultural leader's capacity between the sense of community of female farmers and the resident participa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312 female farmers from October 20 to November 19, 2020.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the higher the sense of community, the higher the awareness of resident particip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ense of community had a positive effect on resident participation as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was higher, and that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community and the resident participation. Third, regional agricultural leadership capacity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community and the resident particip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