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Female Farmers' Sense of Community on Resident Participat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n Regional Agriculture Leader's Capacity-

여성농업인의 공동체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지역농업리더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최정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촌환경자원과) ;
  • 최윤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촌환경자원과) ;
  • 정진이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촌환경자원과) ;
  • 김현영 (이정심리연구소)
  • Received : 2022.03.03
  • Accepted : 2022.03.25
  • Published : 2022.03.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regional agricultural leader's capacity between the sense of community of female farmers and the resident participa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312 female farmers from October 20 to November 19, 2020.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the higher the sense of community, the higher the awareness of resident particip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ense of community had a positive effect on resident participation as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was higher, and that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community and the resident participation. Third, regional agricultural leadership capacity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community and the resident participation.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과제번호: PJ01511703)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References

  1. 고진영, 김지용, 양민호, 김명일, & 김기성. (2018). 농촌주민의 역량이 농촌개발의 참여 확대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농공학회논문집, 60(1), 37-45. https://doi.org/10.5389/KSAE.2018.60.1.037
  2. 권정미, & 박태영. (2014). 도농지역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 달서구, 경상북도 의성군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51, 127-154. http://dx.doi.org/10.15300/ jcw.2014.51.4.127
  3. 권지윤, 김은수, & 배성의. (2015). 농촌마을 유형별 주민역량교육에 관한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22(1), 1-14. http://dx.doi.org/10.12653/jecd.2015.22.1.0001
  4. 김경준, & 김성수. (1998).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 의식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23(2), 211-232.
  5. 김두순. (2016). 농촌 마을 역량의 축적: 역량단계별 지원체계를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23(4), 431-439. http://dx.doi.org/10.12653/jecd.2016.23.4.0431
  6. 김두순, & 김성록. (2017). 농촌 지역사회 주민역량 특성 분석. 한국지리학회지, 6(3), 465-477. http://dx.doi.org/10.25202/JAKG.6.3.12
  7. 김두순, 김성록, & 박덕병. (2017). 농촌 지역사회 주민역량이 지역사회 만족에 미치는 영향. 농촌지도와 개발, 24(4), 279-293. http://doi.org/10.12653/jecd.2017.24.4.0279
  8. 김영기. (2002). 주민유형과 주민참여 상관성. 사회과학 연구, 20(1), 145-167.
  9. 김정호, & 이병훈. (2005). 지역농업의 역량 분석 : 농업 총조사 통계의 시.군별 자료를 이용하여. 농촌경제, 28(3), 1-16.
  10. 농림축산식품부. (2020). 제5차('21~'25) 여성농업인 육성 기본계획.
  11. 당인숙, & 류진아. (2017). 농촌 마을만들기 참여주민의 공동체의식 영향 요인. 농촌지도와 개발, 24(4), 265-278. http://doi.org/10.12653/jecd.2017.24.4.0265
  12. 민소영, & 이영순. (2014). 지역사회 환경이 여성의 지역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 비판사회정책, 43, 207-235.
  13. 박덕병, 임광명, & 안재문. (2018). 농촌지역주민 공동체 의식의 지역사회참여 영향요인. 농촌지도와 개발, 25(3), 135-148. http://doi.org/10.12653/jecd.2018.25.3.0135
  14. 박은식, 이채식, 고정숙, 조영숙, 황대용, & 박덕병. (2006). 농촌지역사회 리더의 역할지위별 리더십역량 중요도 성취도 분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7(1), 3-10.
  15. 박은식, 이채식, 고정숙, & 황대용. (2005). 농촌리더의 특성 및 리더십역할수행 분석. 한국농촌지도학회지, 12(1), 1-15.
  16. 박은식, 이채식, 박덕병, & 고정숙. (2006). 지역사회리더 리더십역량의 중요-성취도 분석. 농촌계획, 12(1), 59-66.
  17. 박종관. (2011). 의사소통 활성화를 위한 주민참여 방안. 공공행정연구, 12(2), 1-18.
  18. 배은석, & 박해긍. (2016). 도농복합지역 주민의 공동체의식이 지역사회 참여 의향에 미치는 영향: 도시와 농촌지역주민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58, 173-199. http://dx.doi.org/10.15300/jcw.2016.58.3.173
  19. 서재호. (2013). 주민자치 활동 참여와 공동체의식: 부산광역시 4개 동 주민자치센터 주민의 인식조사를 토대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4(2), 437-459.
  20. 성희자, & 이강형. (2013). 농촌지역 주민의 사회참여와 공동체의식이 배타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4(4), 315-332.
  21. 성희자, & 전보경. (2006). 농촌 지역 주민의 공동체 의식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27, 149-170.
  22. 소순열, & 유찬주. (1996). 지역농업의 활성화 조건. 전북대 논문집, 24, 1-14.
  23. 송광태. (2003). 지방의회의 역량강화와 주민참여. 한국공공관리학보, 17(2), 97-118.
  24. 송태수, & 양민석. (2014). 여성정치참여와 여성정치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사회과학연구, 30(4), 235-257. https://doi.org/10.16935/EJSS.2014.30.2.009
  25. 신영선. (2012). 농촌마을 주민 공동체의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안동섭, 이병준, & 정안성(2020). 농촌마을지도자의 리더역량과 주민 간 갈등관리 및 농촌마을 사업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3), 356-369. https://doi.org/10.5392/JKCA.2020.20.03.356
  27. 안태윤. (2012). 제19대 총선과 경기도 여성의 정치참여 현황. 가족여성정책 동향 분석, 67, 1-17.
  28. 양덕순, & 강영순. (2008). 지역공동체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0(1), 71-89.
  29. 오승영, 박천오, & 진종순. (2010). 농촌관광정책사업 마을리더의 핵심역량에 관한 실증연구: 농촌전통테마마을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9(1), 191-217.
  30. 유찬주, 고경식, & 이용기. (2012). 지역농업 발전을 위한 대응과제. 농업생명과학연구, 43(1), 19-27.
  31. 윤형자, & 정희영. (2020).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부모교육연구, 17(4), 71-84.
  32. 이승종. (1997). 주민참여제도의 확충 방안. 고시계, 42(12), 138-150.
  33. 이유재. (1994). 상호작용효과를 포함한 다중회귀분석에 서 주 효과의 검증에 대한 연구. 경영학연구, 23(4), 183-210.
  34. 임광명. (2017). 농촌지역사회 공동체의식 유형별 지역사회활동 참여 특성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24(4), 237-248. http://doi.org/10.12653/jecd.2017.24.4.0237
  35. 임승빈. (2005). 지방자치론. 파주: 법문사.
  36. 임정빈. (2005). 지역갈등, 주민참여 그리고 거버넌스.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8(11), 125-151.
  37. 전국 시군구 자치구 의회 의장협의회. (2020.10.21). ncac.or.kr
  38. 전정모. (2013).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 방안 연구: 정당공천제 중심으로. 선거연구, 4, 319-354.
  39. 정기수, 채선욱, & 최수지. (2018). 한국형 농업회의소 역할 정립 및 활성화 방안.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40. 정명은. (2012). 지방정부의 주민참여제도 시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열린 조직으로서의 지방정부. 한국행정학보, 46(2), 85-114.
  41. 정용경, & 황정임. (2019). 청년농업인의 정주환경과 농업경영 특성 분석 및 지역농업 리더 육성 방안 연구보고서. 완주: 농촌진흥청.
  42. 조석주, & 강인성. (2006). 지방자치단체의 주민참여수준 진단과 발전방안. 서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43. 최문형, & 정문기. (2015). 공동체 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보, 49(2), 273-306. http://dx.doi.org/10.18333/KPAR.49.2.273
  44. 최정신, & 최윤지. (2020). 여성농업인의 정보화 능력 개발 및 지역 역할 확대 방안 연구보고서. 완주: 농촌진흥청.
  45. 최정신, 최윤지, 윤순덕, 김수림, & 한송희. (2017). 농촌여성의 지역사회활동 참여 영향 요인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8(4), 599-609. http://doi.gor/10.7856/kDOIjcls.2017.28.4.599
  46. 한수정, 정예은, & 정문기. (2019). 공동체의식이 온라인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맑은 아파트 만들기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연구, 35(2), 3-18. https://doi.org/10.22669/krsa.2019.35.2.003
  47. 허장, & 정기환. (2003). 농촌마을의 발전과 새로운 리더십. 농촌사회, 13(1), 51-83.
  48. Hayes, A. F. (2015). PROCESS MACRO를 이용한 매개분석 조절분석 및 조절된 매개분석 (이형권 역). 파주: 신영사. pp. 267-279.
  49. Aref, F. (2011). Sense of community and participation for tourism development. Life Science Journal, 8(1), 20-25.
  50. Boyatzis, R. E. (1982). The competent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51. Chavis, D. M. M., Hogge, J. H., McMillan, D. W., & Wandersman, A. (1986). Sense of community through Brunswick's lens: A first look.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1), 24-40. https://doi.org/10.1002/1520-6629(198601)14:1<24::AID-JCOP2290140104>3.0.CO;2-P
  52. Chavis, D. M. M., & Wandersman. A. (1990). Sense of community in the urban environment: A catalyst for participat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8(1), 55-81. https://doi.org/10.1007/BF00922689
  53. Cunningham, J. V. (1972). Citizen participation in public affair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32, 589-602. https://doi.org/10.2307/975227
  54. Derrett, R. (2003). Making sense of how festivals demonstrate a communities sense of place. Event Management, 8(1), 49-58. https://doi.org/10.3727/152599503108751694
  55. Harrigan, J. J. (1993). Political change in the metropolis (5th ed.). New York: Harper Collins College Publishers.
  56. Huntington, S. P., & Nelson, J. M. (1976). No easy choice: Political particip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57. Kline, R. B. (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 New York: Guilford Press.
  58. Mcmillan, D. W. (1996). Sense of communit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4(4), 315-325. https://doi.org/10.1002/(SICI)1520-6629(199610)24:4<315:AID-JCOP2>3.0.CO;2-T
  59. Mcmillan, D. W., & Chavis, D. M. M. (1986).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1), 6-23. https://doi.org/10.1002/45206629
  60. Moore, L. L., & Rudd, R. D. (2005). Leadership skills and competencies for extension directors and administrator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45(3), 22-33. https://doi.org/10.5032/jae.2004.03022
  61. Spencer, L. M., & Spencer, S. M. (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 Sons.
  62. Webler, T., & Tuler, S. (2001). Public participation in watershed management planning: Views on process from people in the field. Human Ecology Review, 8(2), 29-39.
  63. World Economic Forum. (2020). Global gender gap report 2020. Retrieved September 24, 2021 from http://reports.weforum.org/global-gender-gap-report-2020/dataexplor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