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촌정책

Search Result 66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Regional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Suburban Rural Areas in the Capital Region for Promoting Area-specific Policies (지역맞춤형 정책 수립을 위한 수도권 근교농촌의 유형화 및 특성 분석)

  • Lee, Da Ye;Lee, Hee Yeon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2 no.2
    • /
    • pp.15-29
    • /
    • 2016
  • Suburbs rural areas in the Capital region have been diversified by the influence of the Seoul and large cities for the last 10 years. This study aims to classify suburban rural areas and to analyze the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types in order to propose more area-specific policy approach to suburban rural areas in the Capital region. Using the cluster analysis method, the suburban rural areas in the Capital region have been classified into four types; garden villages in rural areas, urbanization areas, agricultural-industrial mixed use areas, general rural area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four types of suburban rural areas are much differentiated one another in terms of internal characteristics and local dynamics and problems. In order to suburban rural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Capital region, the policy efforts should be address the area-specific problems and policy demand for each type of suburban rural areas.

Effects of the One-Child Policy on the Second and Third Birth in Three Provinces in China (중국의 한자녀정책이 출산력에 미친 효과분석)

  • Ahn, Nam-Kee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5 no.2
    • /
    • pp.90-103
    • /
    • 1992
  • 본 연구는 중국의 3개지역 (Hebei, Shaanxi, Shanghai)에서 한 자녀가족정책이 둘째 및 셋째 아이의 출산에 미치는 영향을 헤져드(Hazard)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있다. 특히, 그 정책효과의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 현재자녀의 성구조에 따른 격차의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다. 연구자료는 1985년에 완료된 제 1단계 중국의 출산력 심층조사 (In-Depth Fertility Survey in China)를 이용하였다. 이 분석은 해져드 모델에서 각 시점의 한 자녀정책 전인지 후인지를 나타내는 시간에 따른 변동변수(time-varying variable)를 설명변수중의 하나로 포함시키고 그와 더불어 그 변수와 도시/농촌 주거여부를 나타내는 변수와의 혼합변수 (Interactive term) 및 현존자녀의 성구조와의 혼합변수를 포함하므로써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자녀의 사망력이 차후 출산력에 미치는 영향을 비슷한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둘째 및 셋째 아이를 출산할 확률에 있어서 도시와 농촌격차가 한 자녀정책 실시 이후 더욱 커졌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가 생각하는 자녀의 가치가 도시에서 더 많이 저하했음을 제시하거나 정부의 한 자녀정책이 도시에서 더욱더 엄격히 집행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Hebei와 Shanghai에서는 남아가 없는 부부가 남아를 가진 부부보다 둘째 또는 셋째아이를 가질 확률이 훨씬 높게 나타났다. 한편, Shanghai에서는 한 자녀정책 이후 둘째아이의 출산률이 첫째아이의 성에 관계없이 매우 낮았다. 이는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남아선호 성향이 아직 농촌지역에서는 강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도시지역에서는 강력한 정책집행이 이를 억누르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하지만 Shanghai에서도 첫째아이가 사망한 경우 그 아이가 남아였으면 죽은아이가 여아이였을 경우보다 둘째아이의 출산이 훨씬 더 빠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볼 때 도시에서도 여전히 남아선호 성향이 잠재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 PDF

People Inside - 허태웅 청장(농촌진흥청)

  • Jang, Seong-Yeong
    • KOREAN POULTRY JOURNAL
    • /
    • v.53 no.2
    • /
    • pp.104-106
    • /
    • 2021
  • 지난해 8월 농촌진흥청장에 허태웅 신임 청장이 임명되어 농진청의 새로운 기수 역할을 맡게 됐다. 그는 농림수산식품부(현, 농림축산식품부) 축산경영과 과장, 정책기획관을 지내고 대통령비서실 농축산식품비서관, 식품산업정책실장을 거쳐 한국농수산대학 총장을 맡아오면서 다방면에서 농축산업을 살펴온 인물이다. 허태웅 청장으로부터 농촌진흥청의 미래와 운영방안에 대해 들어보았다.

  • PDF

Sam Sang Rural Community Development Model of Lao PDR in Approach to Successful Implementation - Lessons from Korea's Saemual Undong - (라오스 삼상농촌개발모델의 성공적 추진 - 한국 새마을운동의 교훈 -)

  • Vongxay, Vongsakda;Yi, Yangsoo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24 no.2
    • /
    • pp.143-154
    • /
    • 2017
  • Saemaul Undong (SM U) initiated in Korea in the 1970's is widely acknowledged as a successful model for rural community development, despite its limitation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uccess factors of the SMU model and the lessons thereof for Sam Sang Model of Lao PDR, which appears ineffective over the years. Results show that land reforms, social ties among villages, strong institutional support and leadership and incentive system as well as "top-down" and "bottom-up" development approaches are among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success of the SMU. However, rural development program would not be effective if residents are unwilling to participate. Therefore, to successfully achieve rural community development in Lao PDR, the government should through the Sam Sang model employ top-down and bottom-up approaches to enhance local participation and address the exact needs of the local people.

농업분야 창업 현황과 지원정책

  • Chu, Jeong-Wan;Heo, Cheol-M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131-134
    • /
    • 2018
  • 우리나라의 전체 인구는 증가추세인 반면 농촌과 농업인구는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으며 인구 구조도 급속히 고령화되고 있어 농업경영과 농촌사회의 지속성이 취약해지고 있다. 이에 정부와 각 지자체에서 귀농 귀촌을 권장하고 농업분야의 창업을 권장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으나 정책의 수혜자들에게 노출되지 않아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거나, 지원체계가 혼란스러워 적절한 지원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분야에서의 창업현황을 살펴보고 농업벤처 창업과 6차산업 창업으로 구분하여 해당 분야에 중심이 되는 '6차 산업 창업지원 체계화 방안'과 '6차산업 사업단계별 맞춤형 지원 방안', 그리고 '농식품 벤처창업생태계 활성화대책'을 중심으로 농업분야 창업 지원을 위해 정부와 각 기관에서 시행중인 정책들을 살펴보았으며, 경영체의 설문조사를 통해 창업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들과 보완할 사항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대부분의 정책들을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담당하고 있으나 창업관련 정책은 농촌진흥청에서 기획을 하면서 '농식품 가공' 중심의 창업이 활성화되고 상대적으로 홍보나 판촉 및 유통, 농촌관광 등 서비스업 분야의 지원은 취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창업 지원정책에 대한 세밀한 분석과 경영체별 설문조사를 토대로 실제 창업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준비단계부터 경영체별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과 이론 교육보다는 실제 창업준비를 위한 상담이나 멘토링의 제도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각 시행 기관별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농림축산식품부가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며 각 지자체 중심의 단일화된 지원 창구가 되어 창업단계별로 필요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 PDF

Strategies to Enhance Execution Ability with Rural Landscape Policy Change - Focused on the Rural Development Project - (농촌 경관 정책의 변화에 따른 실행력 강화전략 - 농촌 지역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 Kim, Sang-bum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22 no.1
    • /
    • pp.31-3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model to improve the execution ability of landscape policy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by analyzing the process and contents of the rural landscape policy. First of all, the adaptation stage manages the important and severely damaged landscapes of the village through the landscape agreement, and the rural community promotes the landscape business with the experience of carrying out a certain level of landscape activities based on the landscape agreement. In the mid-to long-term planning of areas where a high level of landscape management is required due to its high performance, it was suggested that the residents voluntarily decided on autonomous goals and activities and, the value of the landscape.

농촌노인의 삶의 질과 복지정책의 문제점

  • 박옥임
    • Proceedings of the SOHE Conference
    • /
    • 2003.10a
    • /
    • pp.72-72
    • /
    • 2003
  • 이 연구는 고령화 사회의 도래에 따른 위기의 상황에서 농촌노인들의 삶의 질의 측면에서 가족 및 사회적 관계는 어떠하며,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농촌노인들의 복지정책의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농촌노인의 삶의 질을 살펴보기 위하여, 농촌 노인의 가족구성을 살펴본 결과 농촌노인들은 노부부만 거주하는 비율이 가장 높고(39.0%), 결혼한 아들 가족과 함께 사는 경우(27.3%), 독거(21.2%), 미혼자녀와 함께 사는(7.9%) 순으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사회적 관계는 따로 사는 자녀와의 관계가 가장 높으며(97.1%), 그 다음으로는 친한 친구나 이웃이 있고(94.8%), 자주 왕래하는 비동거 자녀는 평균 2.4명, 친척은 약 3명, 친구나 이웃은 5.5명으로 총 약 10여명의 가까운 사람들과 교류하여 사회적 관계가 비교적 높은 편으로 나타나고 있다(농림부, 2002). 농촌노인의 삶의 질은 가족간의 관계가 아주 중요한 지원 체계로서 자녀와 동거하는 농촌노인들은 단독가구 노인에 비해 높은 생활만족도, 높은 행복감, 낮은 고독감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한경혜, 2003), 노인의 사회적 지원 망의 크기가 크고 다양할수록 노인의 생활 만족도나 심리적 복지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 PDF

A Study on Promoting the Disaster Safety Consciousness of the Rural Residents Against the Storm and Flood (풍수해 대비 농촌 주민 재난안전 의식 고취를 위한 연구)

  • Park, Miri;Lee, Young Kun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94-94
    • /
    • 2018
  • 풍수해로부터 안전한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국가적인 대책과 함께 지역내 사회구성원이 풍수해에 대한 사전대비의 중요성 인식과 피해를 최소화 시켜야한다는 사회적 인식이 강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농촌의 경우, 지역 개발 정책이 우선순위에 있어 농촌의 풍수해 예방정책이 후순위에 있는 경우가 많다. 더욱이 농촌의 풍수해 피해는 유사한 지역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유형을 가지고 있으며, 지리 지형적, 고령화 인구 비중 등 사회적으로 풍수해에 취약한 지역이다. 또한 농촌 주민들 또한 예방보다는 풍수해 발생 후 복구에 대한 대책이 풍수해 대책이라 생각하는 인식을 지니고 있다. 실제로 농촌주민의 안전 불감증은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통해 나타났으며, 재난 대책에 대해 이장 혹은 관공서 직원에게만 의존하는 등 풍수해대비에 대해 무지하고 낙관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었다. 농촌 주민의 재난 대응에 대한 무지와 무관심등의 인식 변화를 고려하지 않은 채 구조적인 차원의 대응은 풍수해의 예방에 있어 한계성이 발생한다. 농촌의 재난에 대한 인식변화는 주민들의 구조 및 체제에 대한 태도를 변화하게 함으로 써 보다 실효성 있는 변화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현 재난 대책에서는 농촌 주민의 재난대책 등에 대한 의식의 반영이 미비하며, 수준에 대한 정확한 측정 또한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주민의 재난안전 의식의 고취를 위해 현재의 주민의 재난안전 의식의 수준과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모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측정도구를 통해 농촌 주민의 재난안전의식에 측정 결과에 따른 각각 개선방향이 도출되어 농촌의 풍수해 대비 재난 대책에 대한 실효성이 증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New Direction of Rural Underemployment and Non-Farm Employment (농촌지역 불완전고용 해소와 농업의 일자리 확대 방향)

  • Lee, M.S.
    • Journal of Practical Agriculture & Fisheries Research
    • /
    • v.20 no.2
    • /
    • pp.13-29
    • /
    • 2018
  • Currently, rural labor markets are undergoing a structural change in which the proportion of non-agricultural industries is increasing, instead of decreasing the proportion of agri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olicy for job creation in rural areas through analyzing the employment situation in Rural Korea in the context of this structural change. Using the Census of Agriculture, Farm Household Economy Survey, we analyzed the increase of low income farmers and self-employed farmers. We analyzed the changes of non-farm employment in rural areas using the Census on Establishment.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rms' pathways are very diverse by the levels of income from their own farming and other gainful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polici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development pathways of farm household. Second, most of the farms are in low-income and self-employment status. In order to increase their incom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non-farm income earning policy. The rural non-farm economy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rural Korea. The growth of the non-farm economy will be crucially important when it comes to creating new jobs in rural areas in rural Korea.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systematic support for rural entrepreneurship as a core policy for expanding jobs beyond agriculture. Rural entrepreneurship has the potential to drive innovations that can reduce poverty and create employment. Fourth, there is a need for measures to increase jobs in the welfare field, which is growing fastest in recent years. In the welfare field, we can find vigorous collective actions in some rural communities such as community business, cooperative movement and various community development activities. Those activities will help increase the employment of aged farmers and low-income farm household.

A Study on Rural Landscape Change by Government's Development Policy (농촌개발정책이 농촌경관 변화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Kang, Young-Eun;Choi, Dong-Wook;Hong, Sung-Hee;Jung, Yun-Hee;Kim, Sang-Bum;Im, Seung-B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9 no.6
    • /
    • pp.21-35
    • /
    • 2011
  • This study is basic research which aims to compare and analyze changes in rural areas in modern tim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the Korean rural landscape and to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of the rural landscape. To help in understanding the rural landscape systematically, it should be divided into six types: housing landscape, cultivation landscape, green landscape, waterside landscape, streetscape and symbolic and religious landscape. According to this step, the contents and the procedures of changes were analyzed generall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 the styles of changes were deduced to be formation, alternation, relocation, damage and restoration on landscape elements. Lastly, it was concluded that complex changes of landscape in rural areas from the government's development policy have been continued from macroscopic changes like overall structure and system of landscape to microscopic changes like shape, material, size and color of each landscape element. Rural villages which have not had the government's development policy applied to them may not be appropriate for this study. Howeve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can suggest the direction for desirable rural planning. Future studies need to consider landscape change through not only the development policy but also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