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농촌부부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초

일부 농촌지역 주민들의 부부간 고혈압 위험요인의 일치성 (Concordance of Hypertension in Husband and Wife Living in a Rural Area)

  • 유동균;이소영;이태용;이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634-641
    • /
    • 2009
  •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의 건강관리를 위한 지역 코호트사업으로 금산군 1개읍 9개면에 거주하는 만 40세이상부터 70세까지의 주민 중 본 연구에 참여의사를 밝힌 임의 추출된 총 2,007명(남: 868명, 여: 1,139명) 중 부부가 함께 조사된 297쌍(594명)을 대상으로 배우자의 고혈압 위험요인이 상대 배우자의 고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혈압 위험요인은 아내가 대사증후군이 있는 경우(OR=2.879), 현재 음주자(OR=1.892)에서 높았다. 아내 고혈압에 대한 남편의 고혈압 위험요인은 연령(OR=1.037), 비만(OR=1.922), 대사증후군(OR=4.100), 중성지방(OR=1.793)에서 높았다. 결론적으로 농촌지역 부부들에서 함께 공유하는 공간과 시간에서 고혈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연령, 체질량지수, 대사 증후군이 중요하므로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본다.

농촌생활 장기변화 연구- 마을환경 변화를 중심으로 -

  • 고정숙;이한기;박은식;조영숙;황대용;강경하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4년도 제17차 학술대회
    • /
    • pp.179-180
    • /
    • 2004
  • 본 연구는 '93∼'02년까지 10년 동안 대구ㆍ낙동강권역의 사례지역인 대구시 달성군 다사읍 이천리(도시근교), 경북 상주시 사벌면 원흥3리(평야지), 의성군 봉양면 사부1리(중간지), 문경시 동로면 생달1리(산간지) 4마을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농촌생활의 장기적인 변화를 분석하고, '00년대 바람직한 농촌 미래상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매년조사(인구 및 마을환경변화)와 정기조사(9개 생활영역전수조사 : '93, '97, '02), 5년주기 조사(부부의사결정 : '94, '99, 리더십 및 사회적 친밀도 : '96, '01)로 나누어 실시했다. (중략)

  • PDF

도시근교 농촌부부의 갈등표출행동에 관한 연구 (Conflict Resolution Acts of Rural Spouses)

  • 이정화;최은숙;한경혜
    • 한국농촌생활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1-54
    • /
    • 1995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arital conflict resolution acts (CRA) of rural spouses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A and several important factors : socio-demographic, marital relation and drinking pattern factors.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150 rural women who are married and live with their husband. A modification of the Conflict Tactics Scale is used to measure the CRA of four levels, reasoning, verbal aggression, minor physical violence, and heavy physical violenc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ies of each type of the CRA-reasoning, verbal aggression, minor physical violence and heavy physical violence-are 12.1%, 57.9%, 17.1% and 12.9% respectively. Therefore, the verbal aggression is the most prevalent type of the CRA Second, the result from multiple regression shows that the conflict from husband's whoring, husband's drinking capacity and family type have a meaningful impact on husband's physical violence.

  • PDF

농촌노인부부의 삶에 나타난 '생애사적 진행과정구조'의 재구성 (Reconstruction of 'the Structure of Biographical Processes' on the Lives of the Elderly Couples in the Rural Area)

  • 양영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0권1호
    • /
    • pp.127-157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노인부부들의 삶에 나타난 '생애사적 진행과정구조'를 '젠더관계'에 주목하여 재구성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6쌍의 노인부부들과 개별적으로 생애사적-이야기식 인터뷰를 하였고, 인터뷰자료는 $Sch{\ddot{u}}tze$의 생애사적-이야기식 인터뷰 분석방법에 Dausien의 여성주의적 생애사 분석방법을 절충 응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생애사주체들'의 삶에는 '진행곡선'을 이루는 '생애사적 진행과정구조'가 나타났다. 그런데 이러한 '진행곡선'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차원의 '젠더관계'가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진행곡선'의 미시적 및 거시적 차원에서 '젠더관계'가 나타났는데, 남성노인들의 '진행곡선'에서는 개인적 및 가족적인 맥락만이 아니라 사회구조적인 맥락도 나타난 반면, 여성노인들의 '진행곡선'에서는 주로 개인적 및 가족적인 맥락이 나타난 젠더차이를 보였다. 둘째, '진행곡선'의 미시적 차원에서 '젠더관계'가 나타났는데, 남성노인들은 생애단계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바깥일'을 위주로 하는 단일한 역할을 담당하며 '집안일'을 수행하는 데에 소극적인 반면, 여성노인들은 전 생애에 걸쳐 '집안일'과 '바깥일'의 '이중적 역할'을 적극적으로 담당한 젠더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서 'doing gender'가 생애사에 나타나며, 나아가 이러한 'doing gender'는 생애단계와 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포착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생애사와 '젠더관계'에 주목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PDF

농촌가족의 건강성에 관한 연구 - 자녀청년기 가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Healthness of Korean Rural Families : Rural Married Couples with Adolescent Children)

  • 양순미;유영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0권2호
    • /
    • pp.69-8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ealthy degree of the rural families and the variables that affect it, as well as the differences between husband and wife perceptions on the healthiness of rural families. One hundred and ninety six couples (three hundred and ninety two individuals) were surveyed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the data. First, the degree of the healthiness of rural families was quantified as about 71 points out of 100 possible maximum points. Second, family type ($\beta$=.17), the wife's self-esteem ($\beta$ =.22), the husband's self-esteem ($\beta$ =.17), wife's marital satisfaction ($\beta$ =.32), and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beta$=.15) were the only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the healthiness of rural families. Third, social-psychological variables (for example, self-esteem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couple) had more explanatory power than material and farming-related variable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in order to enhance the healthiness of rural families,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improve social-psychological interactions among family members should be developed.

미국에서 이동시 부분간 지위불일치의 효과 : 경향과 농촌-도시 목적지 선택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tatus Inconsistency between Spouses on Migration in the United States: Propensities and Rural-Urban Destination Selections)

  • 이지연;마이클 토니;헬렌 베리
    • 한국인구학
    • /
    • 제26권2호
    • /
    • pp.197-219
    • /
    • 2003
  • 이 논문은 젊은 맞벌이 부부들 상호간에 교육정도와 소득수준의 차이가 가족의 지리적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지위불일치(status inconsistency)라는 개념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미국의 패널데이타인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of Youth 79를 이용하여 부부간의 지위불일치가 이동 성향과 이동 방향에 미치는 영향을 로지스틱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아내의 교육정도가 남편의 교육정도보다 높은 부부일수록 아내의 교육정도가 낮은 부부에 비해 이동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편과 아내의 지위불일치는 도시와 농촌간의 이동방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지위불일치가 가족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성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배우자의 지위가 높을 경우 이것이 이동성향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지만, 남성의 경우는 배우자의 지위가 상대적으로 높다할지라도 이동확률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자녀 유무와 연령이 통제될때, 가족의 지리적 이동확률과 방향은 아내와 남편간의 인적자본정도와 시장에서의 수익능력 차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인적자본론이나 가족자원론과는 달리 전통적인 성역할 차이로 설명했던 성역할이론과 더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농촌여성의 노동실태와 복지수준

  • 최덕경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999년도 농촌여성의 능력개발과 복지증진 방안 심포지엄(A Symposium on the Development and Welfare for Rural Woman)
    • /
    • pp.49-64
    • /
    • 1999
  • 농촌생활의 질의 풍요로움을 연구하기 위한 일환으로 농가 생활경영을 시점으로 한 농업겨영과 농가주부의 관계, 가사운영과 가계관리를 중심으로 살펴 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경영과 주부와의 관련에 대해 우선 열거할 수 있는것은 생산 노동력의 분담상황에서의 주부노동의 실태이다. 전체평균에서 78.1%의 주부가 남편과 함께 기간노동에 종사하고 있었으며, 농업생활에서 주부의 역할리 매우 큼을 단적으로 지적해 주는 것이었다. 그리고 종사하는 종작업과 경영 참여의 내용은 다양하다. 그 결과 시간적으로 본 주부 담당의 가사작업은 농번기와 농한기의 시기에 영향을 크게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계관리상의 문제점으로 자녀의 교육비나 교제비의 부담이 거론되었고, 수입의 불규칙, 빚과 부채의 부담이 큰 문제로 지적되었다. 셋째, 가정생활의 만족도, 지역생활의 만족도는 모두 만족과 불만의 중간을 보였다. 가정생활에서의 만족도에서 평균점 보다 낮은 항목은 가족 동반의 식사, 부부대화, 내구소비재의 순이었고, 지역생활환경에 관하여는 보건소, 병원에 관하여는 불만족스러운 대답을 보였다. 넷째, 농작업의 효율화 대책은 기계화, 조직화, 공동화, 작업의 계획화이었으며, 가사노동에 있어서는 "주부의 농작업 감량대책"과 함께 "가족의 협력에 의한 가사분담","가족이 신변의 것을 스스로 한다","가사작업의 계획화"등이 요구되어진다.

  • PDF

도시근교 농촌주부의 부부갈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rital Conflict of Wives in Rural Areas)

  • 김영희;한경혜
    • 한국농촌생활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9-138
    • /
    • 1996
  •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conflicts in marriage life, and to analyze their impacts on global marital satisfaction perceived by wives in rural areas. The survey data was gathered from 151 rural wives. The degrees of three types of conflicts were shown to be low. while in terms of the degree of seriousness, environmental, interpersonal and intrapersonal are in descending order. Especially the degree of the environmental types of conflic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family life cycle.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ypes of conflicts and the marital satisfaction,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It was found that the environmental type of conflic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likelihood of satisfaction in the marriage life. On the other hand, one of the control variables,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the husband's job, i.e., farming,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t.

  • PDF

농촌노인들의 돋보기 착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Wearing Glasses or Optical Aid in the Rural Aged Population)

  • 김신자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93-100
    • /
    • 1999
  • 본 연구는 노화의 일반적인 변화인 시력에 대해 우리나라 농촌의 노인인구들이 자각적인 변화정도와 그에 따르는 해결방안, 문제점을 분석하여 노령화되는 사회 특히 농촌의 노인들이 남은 여생을 질적으로 살아가는데 안경사들이 국가안보건사업에 일익을 담당하는데 기여하고자 함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자 236명중 부부 한쪽이 사별(78명 33.3%)하여 홀로사는 노인도 28명(11%)이였다. 2. 시력으로 일상생활에 장애가 있는 경우는 66%로 대다수의 노인들이 시력의 저하로 불편함을 겪고 있다. 3. 특히 시력장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안경 등 돋보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68명(28.8%)로 이들 대부분이 경제적인 이유로 불편함과 사고의 위험속에서 살고 있었다.

  • PDF

농촌여성노인의 배우자 사별 적응과정 (Elderly Women's Adaptation Process on Separation by Death in Rural Areas)

  • 장희선;김윤정
    • 한국노년학
    • /
    • 제31권4호
    • /
    • pp.939-96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근거 이론적 접근을 통하여 농촌지역에 살고 있는 여성 노인의 사별적응을 살펴보고 확인하여 그에 대한 실체이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농촌노인의 배우자를 사별한 여성으로 배우자 상실 후 단독거주자로서 홀로 살고 있으며 배우자를 사별한지 12개월 미만이 되는 14명이었다. 수집기간은 2010년 1월부터 8개월간의 기간이 소요되었고, 인터뷰는 1회기 당 40분-90분까지 소요되었으며 현장메모를 동시에 기록하였고 녹음된 내용은 본 연구자가 직접 필사하였다. 연구 자료는 심층면담과 참여관찰 및 참여자를 돌보는 지역사회 담당간호사의 도움을 받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trauss & Corbin(1998)의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방코딩 과정에서 80개의 개념과 28개의 하위범주, 1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배우자 사별 적응과정은 '울타리가 무너져 내림'의 인과적 조건과 '살아생전부부의 금실정도', '살아생전 부부의 주도권'의 맥락적 조건에 영향을 받아 나타나는 '홀로 여생을 감당해 나감'의 중심현상에 대한 '지원체계', '건강상태가 달라짐', '경제상황 정도'의 중재적 조건에 영향을 받으면서 '상황 끌어안기', '생활의 변화를 시도함'의 전략을 사용하여 '홀로 살아갈 길을 찾음'의 과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적응과정은 충격과 감정분출 단계, 그리움과 원망단계, 체념과 수용단계, 삶의 재구성단계의 4단계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농촌여성의 배우자를 사별하고 살아가야하는 참여자들이 여러 맥락요인들의 영향을 조절하면서 중재전략을 적정하게 사용하여 삶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홀로 살아갈 길을 찾음'의 과정 및 유형에 노인복지 중재의 방향을 제시하고 실질적인 실천적 복지중재를 개발하고 적응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