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농촌개발

검색결과 2,392건 처리시간 0.034초

농촌관광사업의 Stakeholders의 특성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ttributes of Three Stakeholders on the Outcome of the Village-based Rural Tourism Project in Korea)

  • 조경래;박덕병;정구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67-282
    • /
    • 2008
  • 본 연구는 농촌관광사업의 Stakeholders간의 관계 측면에서 참여주민의 특성이 개발기관과 주민조직의 특성과 어떤 관계가 있으며, 이 세 요소가 개발 성과에 어떤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참여주민의 특성으로 사회와 참여주민에 대한 가치체계, 즉 사회자본의 요소들인 신뢰, 규범, 공동체의식 및 네트워크에의 참여를, 개발기관의 특성으로 지원내용과 지원만족도를, 그리고 주민주직의 특성으로 주민조직의 경영역량인 기획, 조직, 지도력, 통제를 측정항목으로 설정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45개 마을에서 227명의 농촌관광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상관분석과 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경로분석 결과 사회자본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는 0.60으로 상당 부분의 영향을 미침을 설명하고 있었다. 반면 개발기관의 지원특성은 주민조직의 경영역량과 유의성 있는 상관이 있었으나 사업성과에 직접적인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발사업의 효과가 외부지원에 의해서가 아니라 주민 자체의 역량에 의해서 결정됨을 설명한다. 농촌관광사업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공동체의식, 주민과 개발기관간의 상호 신뢰감 조성 등 주민의식의 고양이 필요하며, 특히 주민조직체의 경영역량 함량을 위해 제도적 지원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농촌개발사업 영향인지가 지역사회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참여의 조절효과 - (Perceived Impacts Influencing Community Satisfaction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 Moderating Effects on Community Participation -)

  • 안재문;김소윤;박덕병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7권4호
    • /
    • pp.211-225
    • /
    • 2020
  •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at affects community satisfaction. Because community impacts and participation is a central aspect of fostering local community developmen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these processes occur.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community satisfaction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community participation between community perceived impacts and community satisfac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328 usable questionnaires among community residents participating rural development projects in Buyeo and Chungyang county, Chungnam province. Results of a factor analysis yielded four dimensions of community perceived impacts which were negative socio-economic impacts, positive economic impacts, positive environmental impacts, and positive social impac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negative socio-economic impacts, positive economic impacts, and positive environmental impacts affected significantly for community satisfaction. it reveals that there are moderating effects on community participation of negative socio-economic impacts and positive economic impacts. It was suggested that negative socio-economic impacts, positive economic impacts, and community participation should be considered to implement rural development projects and its policy decision making.

풍수해 대비 농촌 주민 재난안전 의식 고취를 위한 연구 (A Study on Promoting the Disaster Safety Consciousness of the Rural Residents Against the Storm and Flood)

  • 박미리;이영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94-94
    • /
    • 2018
  • 풍수해로부터 안전한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국가적인 대책과 함께 지역내 사회구성원이 풍수해에 대한 사전대비의 중요성 인식과 피해를 최소화 시켜야한다는 사회적 인식이 강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농촌의 경우, 지역 개발 정책이 우선순위에 있어 농촌의 풍수해 예방정책이 후순위에 있는 경우가 많다. 더욱이 농촌의 풍수해 피해는 유사한 지역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유형을 가지고 있으며, 지리 지형적, 고령화 인구 비중 등 사회적으로 풍수해에 취약한 지역이다. 또한 농촌 주민들 또한 예방보다는 풍수해 발생 후 복구에 대한 대책이 풍수해 대책이라 생각하는 인식을 지니고 있다. 실제로 농촌주민의 안전 불감증은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통해 나타났으며, 재난 대책에 대해 이장 혹은 관공서 직원에게만 의존하는 등 풍수해대비에 대해 무지하고 낙관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었다. 농촌 주민의 재난 대응에 대한 무지와 무관심등의 인식 변화를 고려하지 않은 채 구조적인 차원의 대응은 풍수해의 예방에 있어 한계성이 발생한다. 농촌의 재난에 대한 인식변화는 주민들의 구조 및 체제에 대한 태도를 변화하게 함으로 써 보다 실효성 있는 변화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현 재난 대책에서는 농촌 주민의 재난대책 등에 대한 의식의 반영이 미비하며, 수준에 대한 정확한 측정 또한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주민의 재난안전 의식의 고취를 위해 현재의 주민의 재난안전 의식의 수준과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모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측정도구를 통해 농촌 주민의 재난안전의식에 측정 결과에 따른 각각 개선방향이 도출되어 농촌의 풍수해 대비 재난 대책에 대한 실효성이 증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농촌시설물 P-C-M(조달-시공-유지관리) 지원 프로토타입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P-C-M (Procurement-Construction-Maintenance) Support Prototype System in Agricultural Facilities)

  • 김미경;신한우;김태희;김광희;손봉기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67-74
    • /
    • 2010
  • 현재 국내 농촌에서는 농업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재배시설의 현대화 및 대형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농촌시설물 관련 안정성 및 기술력의 문제로 인해서 해마다 자연재해로 인한 농촌시설물의 훼손 및 붕괴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위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써 농촌시설물을 건설 및 사용하고자 하는 모든 사람들이 보다 손쉽게 농촌시설물을 건설하고 유지관리 하는데도움을 줄 수 있는 P-C-M 지원 프로토타입 시스템 개발이다. 본 연구에서는 P-C-M 지원 시스템 프로세스 모듈설계 및 지원 시스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최종적으로는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하여 농촌시설물 P-C-M 지원 시스템이 개발된다면 사용자와 업체들이 보다 원활한 정보 공유를 통해서 농촌시설물의 안정성 확보 및 기술력 확보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딥러닝 기반 농촌유역 돌발홍수 예경보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flash flood guidance system for rural area based on deep learning)

  • 류정훈;강문성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309-309
    • /
    • 2018
  •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의 규모와 발생빈도 증가로 농촌유역의 홍수 피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홍수 피해 저감 대책은 도시지역의 대하천 주변으로 집중되어있으며, 소하천 및 농촌유역의 홍수 피해 저감에 대한 관리와 투자 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최근 들어 갑작스런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농촌유역 돌발홍수 피해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홍수 발생 등을 신속하게 파악하기 위한 돌발홍수 예경보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최근 산업의 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4차 산업혁명이 대두되고 있으며,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 AI)을 비롯하여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드론, 슈퍼컴퓨팅 등의 이른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농촌유역 홍수 피해를 저감하고 또한 사전에 대비하기 위해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한 농촌유역 돌발홍수 예경보 시스템을 개발하고 그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우선, 농촌유역의 홍수와 관련된 빅데이터 (기상 자료, 수문 자료, 기후변화 자료, 농업용 수리구조물 자료 등)를 토대로 정형 빅데이터와 비정형 빅데이터를 구분 추출하고 이를 연계 해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추출한 정형 및 비정형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딥러닝을 기반으로 농촌유역의 홍수를 예측하고 홍수 예경보 기준에 따른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과거 강우사상을 홍수 예경보 시스템에 적용하여 홍수 모의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재해연보 등과 비교 분석하여 시스템의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