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농작물

검색결과 794건 처리시간 0.03초

IoT Sensing을 이용한 농작물 수확 시기 예측 시스템 아키텍처 개발 (Development of crop harvest prediction system architecture using IoT Sensing)

  • 오정원;김행곤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719-729
    • /
    • 2017
  • 최근 농업 분야는 농업 분야에 ICT 기술이 접목 되면서 새로운 도약의 계기가 마련되고 있다. 특히 농업에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팜 [smart farm] 영역이 각광받고 있다. 스마트 팜 [smart farm] 기술은 농작물이 재배 되는 환경의 온도, 습도 등의 정보를 센서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수집, 분석하여 제어장치에서 농작물 수확에 필요한 장치들을 자동으로 구동하여 농작물이 자랄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스마트 팜 [smart farm] 기술이 마치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을 것처럼 주목을 받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농작물의 생산량 증대에만 치중되어 있다. 본 논문 에서는 농작물의 생산량 증대 보다는 우수한 품질의 농작물을 최적기에 수확할 수 있는 시스템의 아키텍처 개발에 중점을 두어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사과나무를 표본으로 아키텍처를 개발 하였으며 사과나무의 수확시기를 예측하는 데이터로는 색상정보와 중량정보를 사용하였다. 색상정보와 중량정보를 수집하여 서버 단으로 전송하는 간이형 보드는 아두이노를 사용하였으며. 개발 방법론으로는 모델 주도 개발(model-driven development :MDD)를 적용하였다. PC 사용자들에게는 웹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Smart Phone 사용자들에게는 하이브리드앱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아키텍처를 개발했다. 또한 비콘 기술을 사용해서 과수원 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도록 아키텍처를 개발했다.

농작물이력추적시스템 정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Establishment and Promotion Strategy of Lifetime Tracing(Traceibility) System of Agricultural Products using RFID)

  • 김종삼;이국철;이성현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15-427
    • /
    • 2009
  • 정보화는 산업, 문화, 환경 등 많은 부분에서 변화와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다. 정보화 기술의 가속화를 기반으로 U-시대로 발전하고 있는 현재 우리 사회는 RFID/USN기술을 적용한 산업 및 생활환경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U-city, U-eco, 모니터링시스템, 유통 및 물류의 위치추적 시스템 등 U-IT 발전은 RFID/USN 기술이 핵심이다. 농업분야 즉 농작물 재배부터 생산, 운송, 유통 등 많은 부분에서 RFID/USN기술 적용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RFID/USN기술 도입 전 후의 농작물이력추적시스템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해 국내 농작물이력추적시스템의 문제점 및 대안을 제시하고, 동시에 RFID/USN기술을 이용한 국내 농산물이력추적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 PDF

풍원광산 지역의 토양 및 농작물 중금속 오염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Soils and Crops in the Poongwon Mine Area)

  • 김좌관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5-11
    • /
    • 2010
  • 폐광산 주변의 광미장, 폐석더미로 인해 주변 지역의 토양 및 농작물들은 중금속으로 오염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주변토양 용도별, 농작물 재배품목별, 광산과의 이격거리별로 분류하여 광산 주변 중금속 오염실태조사를 수행하였다. 갱구인근 지역에서 Zn와 Pb이 토양오염기준치를 초과하였으며 다른 지역에 비해 광미장 지역과 논 경작지 토양의 중금속농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산과의 이격거리에 따른 중금속 농도는 갱구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점차 감소하였다. 토양과 쌀 시료의 중금속 상관관계는 As와 Cd이 상관관계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른 중금속들은 관계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농작물 병해충 진단을 위한 인공지능 앱, Dr. Vegetable (Dr. Vegetable: an AI-based Mobile Application for Diagnosis of Plant Diseases and Insect Pests)

  • 김수환;정대기;이승준;정성엽;양동재;정근영;황석형;황세웅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1호
    • /
    • pp.457-460
    • /
    • 2023
  • 본 연구는 시설작물의 병충해 진단을 위해 딥러닝 모델을 응용한 인공지능 서비스 앱, Dr. Vegetable을 제안하고자 한다. 농업 현장에서 숙련된 농부는 한눈에 농작물의 병충해를 판단할 수 있지만 미숙련된 농부는 병충해 피해를 발견하더라도 그 종류와 해결 방법을 찾아내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아무리 숙련된 농부라고 할지라도 육안검사만으로 병충해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은 쉽지 않다. 한편 시설작물의 경우 병충해에 의한 연쇄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병충해의 조기 발견 및 방제가 매우 중요하다. 즉, 농부의 경험에 따른 농작물 병해충 진단은 정확성을 장담할 수 없으며 비용과 시간적인 측면에서 위험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YOLOv5를 활용하여 상추, 고추, 토마토 등 농작물의 병충해를 진단하는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안한다. 특히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운영하고 있는 AI 통합 플랫폼인 AI 허브에서 제공하는 노지 작물 질병 및 해충 진단 이미지를 사용하여 딥러닝 모델을 학습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실제 시설농장에서 병충해 진단 서비스를 적용한 결과 약 86%의 정확도, F1 Score 0.84, 그리고 0.98의 mAP 값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병충해 진단 딥러닝 모델을 다양한 조도에서 강인하게 동작하도록 개선한다면 농업 현장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이기종 통합 센서형 스마트 태그 기능 구현을 통한 농작물 관리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Crop Management Technology through Implementation of Heterogeneous Integrated Sensor-type Smart Tag Function)

  • 김봉현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61-67
    • /
    • 2024
  • 신품종 농작물 생육 환경 모니터링을 위해 보급형 스마트센서 태그 기술을 활용한 농업 생산 인프라 구축 및 농업 자원 관리 체계 강화가 필요하다. 또한, IoT 기술을 활용한 고품질의 신품종 농작물 개량 인프라 구축 및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해야 하며, 신품종 작물 개량에 필요한 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보급형 스마트 센서 (RFID UHF Sensor Tag) 기술이 스마트팜 환경에서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기종 통합 센서 기반의 스마트 태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통합 센서를 구현하였다. 또한, 구현된 스마트 통합 태그와 스마트폰 연동을 통해 농작물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RFID와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통합형 안테나를 구성하였고, 블루투스 기능을 통하여 스마트폰에서 직접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통신 방법을 병행하였다.

디자인패턴 기반 GIS와 GPS틀 이용한 농작물 작황 모바일 시스템 구축 (Development of Harvest Mobile System using GIS and GPS based on Design Pattern)

  • 문영채;백정현;백정호;이홍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8년도 제39차 동계학술발표논문집 16권2호
    • /
    • pp.117-120
    • /
    • 2009
  • 본 연구는 디자인패턴 설계유형에 따라 Mobile 장치를 이용하여 현장의 농작물 중 벼의 생육 정보 및 생산 정보와 GPS를 이용하여 농작물의 위치정보를 서버에 있는 DB에 사용자의 권한별로 삽입/삭제/수정/검색을 할 수 있고, GI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벼의 위치 정보를 수치지도 상에 보여 주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 PDF

다중 주파수 편광 SAR 자료를 이용한 농작물 분류 (Crop classification using multiple frequency polarimetric SAR data)

  • 박노욱;지광훈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4-237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C 밴드와 L 밴드 다편광 NASA JPL AirSAR 자료를 농작물 구분에 사용함에 있어서 자료 융합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Target decomposition으로부터 얻어지는 산란특성과 관련된 특징들을 입력으로 support vector machines을 개별 파장대 편광 SAR 자료의 분류에 이용하였으며 C 밴드와 L 밴드 자료의 사후확률을 ${\tau}$모델을 이용하여 융합하였다. 적용 결과 L 밴드 자료가 C 밴드 자료에 비해 농작물 구분에 적절한 투과 심도를 나타내어 상대적으로 높은 분류 정확도를 나타내었지만,자료 융합을 통해 보다 향상된 분류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론은 앞으로 이용이 가능할 C 밴드 Radarsat-2 자료와 L 밴드 ALOS 자료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농작물 재배환경을 모니터링 센서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A Sensor System to Monitoring the Growing Environment of Crops)

  • 서신림;이현창;신성윤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17-218
    • /
    • 2015
  • 센서 기술 및 농업 현대화의 발전에 따라서 센서가 시설 농업 중에 응용 상황을 더욱더 넓어지고 있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온 농업 생산 체계의 변혁에게 엄청난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논문은 아두이노 기반에서 온습도 센서랑 LCD결합하여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한다. 농작물의 생장환경을 감시 및 제어한 목적에 이르게 한다.

  • PDF

RFID/USN 기반의 재배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RFID/USN-based Cultivation Monitoring System)

  • 장석철;함성일;황영주;나인묵;윤기포;이용진;이재근;정부만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6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64-1271
    • /
    • 2006
  • 최근 RFID/USN (Radio Frequency IDentity/Ubiquitous Sensor Network) 시장의 급격한 성장으로 비즈니스 영역에서 물류/유통 뿐만 아니라 국방, 창고 및 공정관리 등 영역을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RFID를 이용한 농작물 개체관리와 USN을 이용한 농작물 생장환경 관리를 구현하고 두 시스템을 통합하는 비즈니스 모델(한국형 u-Farm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소비자에게는 농작물 이력데이터를 제공하여 상품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생산자는 생장환경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여 최적의 생산조건을 구현하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 PDF

부산 일부지역 토양과 농작물의 중금속 함량에 관한 연구

  • 정갑섭;이남걸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475-478
    • /
    • 2006
  • 부산 일부지역 토양의 중금속 오염과 농작물로의 전이에 의한 중금속 오염을 측정하고자 산분해에 의한 함량분석을 실험하였다. 대상지역 토양의 pH는 $5.62{\sim}6.71$의 범위였으며, 평균 중금속 함량은 $0.05{\sim}19.39ppm$의 범위에서 Mn(13.82ppm)>Zn(8.33ppm)>Pb(2.89ppm)>Cu(0.99ppm)>Cd (0.07ppm)의 분포로 나타났고, 조사대상 중금속의 토양중의 함량은 모두 Clarke수보다 작은 값으로 측정되어 오염도가 낮은 상태였다. 농작물에는 Cd(0.04ppm)$Pb\;6.6%{\sim}Zn\;87.6%$의 범위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