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업특성화 조사구

Search Result 2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Complex Sampling Design for the Estimation of Korean Livestock Production Cost (축산물생산비조사를 위한 복합표본설계)

  • Kim, Soo-Taek;Kim, Young-Wo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1 no.4
    • /
    • pp.675-694
    • /
    • 2008
  • We propose a new sampling design for the Korean Livestock Production Cost Survey. In this sampling design, the survey population is derived from the 2005’s agricultural census of Korea. And coefficient of variation(CV) is estimated from the current livestock production cost survey data, and the estimated CV’s are used to find the optimal sample size which satisfies the predetermined precision of estimation. In order to save the enumeration cost, the agriculture enumeration districts are used as a primary sampling unit(psu). Final sample is selected by double sampling. Also, we propose the estimator which is able to reflect the change of the population of livestock production households.

Establishing an Appropriate Ridge Width for Mechanization of Ligularia stenocephala Field Culture Harvesting Work (곤달비 노지재배 수확작업 기계화를 위한 적정 이랑폭 설정)

  • Gue-Saeng Yeom;Jung-Seob Moon;Song-Hee Ahn;Se-Hyun Ki;Dong Chun Che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12a
    • /
    • pp.72-72
    • /
    • 2020
  •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는 쌍떡잎식물, 국화과의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한국·일본·타이완·중국 등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는 전남 홍도가 특산 자생지라고 하며 주로 강원도, 경북 경주, 전북 남원 등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곤달비는 어린 부분을 생채, 데친 나물, 국거리, 튀김, 묵나물로 식용한다. 특수 성분으로는 Isopropenyl, dimethoxybenzofuran, Liguhodgsonal, Ligujapon, Ligularinone A, Ligularinone B 등이며 신경을 안정시키는 진정작용, 진통억제, 정기를 보익하고 허약함을 보하는 기능이 있고, 한방에서는 뿌리가 신경통, 유종(乳腫) 등에 쓰인다. 곤달비는 주로 시설하우스나 노동력이 많이 드는 임간에서 재배되어 생산 단가가 높아 소비활성화를 위한 가공제품을 생산하기가 힘들다. 본 연구는 곤달비를 저비용 대량 생산을 위한 노지재배 생력화 재배기술을 확립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2019년 4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허브산채시험장(해발 500m)에서 곤달비 노지재배를 대상으로 이랑폭 90cm, 120cm, 180cm 3처리구로 하여 시기별 생육특성, 수량성, 생리장해 등을 조사하였다. 2019년 4월 정식 후 활착률은 180cm 처리구에서 92.1%로 가장 높았고 120cm 처리에서 90.2%로 가장 낮았으며, 생존율 또한 180cm 처리구에서 87.2%로 가장 높았고 120cm 처리에서 84.4%로 가장 낮았다. 생육특성 결과 1차년도에는 초장, 엽장, 엽폭은 생육 초기부터 후기까지 90cm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엽수는 120cm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다. 2차년에는 180cm 처리구에서 초장 61.2cm, 엽장 32.6cm, 엽폭 31.3cm, 엽수 12.7개/주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좋은 생육상태를 보였다. 이랑폭별 수확량은 180cm에서 1,073.7kg/10a로 120cm 955.7kg/10a, 90cm 923.3/kg/10a 비해 높은 수량성을 보였다. 생리장해는 2020년 3월 저온으로 인한 냉해를 출현 초기에 모든 처리구에서 받았다. 곤달비 노지재배 발생하는 병해충은 나비·나방류, 노린재류 3종류이며 그 중 점무늬병은 모든 처리구에서 30% 이상 피해가 나타났다.

  • PDF

Estimation of the Water Requirement with the Farming Conditions in Paddy Field (영농방식변화에 따른 논용수수요량의 산정 -직파재배, 이앙방법 중심-)

  • Kim Jin Taek;Joo Uk Jong;Park Ki Wook;Lee Jong 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445-1449
    • /
    • 2005
  • 벼재배에 있어서 기계이앙은 1970년 이후 급속히 이루어졌으며 90년대에 이르러서는 노동력과 농업용수 절감을 위하여 직파재배의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어 영농방식 변화가 농업용수의 이용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실제 영농상황과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방법간의 차이를 조사 분석하고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을 위한 적절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문헌 및 실제 현장에서의 영농상황을 조사하고 수원공으로부터 관개구역으로 공급하는 용수공급량을 측정하였으며 3개지구를 대상으로 필요수량을 산정하여 비교하였다. 이앙재배에 있어서 기계화의 보급과 비닐하우스 등의 설치에 의하여 이앙기간과 이앙시기에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과거에 비하여 이앙시기는 앞당겨지고 이앙기간은 짧아졌는데 이러한 변화는 지역에 따라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이러한 변화는 과거와 비교하여 농업용수 수요량에 변화를 가져왔으며 변화는 대부분 4월, 5월에 집중되어 나타났다. 직파재배는 이앙재배에 비하여 용수를 많이 필요로 하는데 본답기 이전에 용수수요량의 차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직파재배의 면적은 1997년까지 계속적으로 증가하다 잡초성 벼의 번성, 연작의 피해 등으로 인하여 재배면적이 줄어든 상태이다.

  • PDF

Composting of Livestock Manure Blending Humic Acid Powder and Influences on Growth of Lettuce by Its Application (부식산분말 처리에 따른 가축분의 퇴비화 특성 및 시비효과)

  • Lee, Tae-Soon;Cho, Sung-Hyun;Jeong, Je-Yong;An, Ji-Ye;Lee, Jong-Jin;Han, Ki-Pil;Hong, Joo-Hwa;Kim, Young-Sun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25 no.2
    • /
    • pp.5-14
    • /
    • 2017
  • Humic acid was used soil amendment or functional fertilizer in Korean agriculture, and its cation exchangeable capacity was high enough to increase soil buffering from plant toxica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humic acid powder (HA) on composting of livestock manure (LM) and of its application on growth of lettuce. Treatments were designed as follows; livestock manure compost (LM+sawdust+bark+castor meal; Control), control+0.1% HA (0.1% HA), control+0.5% HA (0.5% HA), control+1.0% HA (1.0% HA), control+3.0% HA (3.0% HA), and control+5.0% HA (5.0% HA). The changes of temperature, water content, organic matter content, total nitrogen and ratio of organic matter and nitrogen in HA treatments were similar to those of control. Although pH of 3.0% HA and 5.0% HA blending with HA and LM was lower than those of others, it unaffected by HA blending during composting. Humic acid content of HA treatments was increased by 1.7~4.4 folds than that of control. As compared with odor index, 3.0% HA and 5% HA were decreased than control for composting time. Application of 3.0% HA increased the dry weight of lettuce by about 7% than that of control.

Analysis of Drying Streams Characteristics in Mankyung Watershed (만경강유역 하천의 건천화 특성분석 연구)

  • Kim, Se Min;Kim, kyung Oh;Lee, Yun Jun;Park, Young 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16-316
    • /
    • 2020
  • 197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과 함께 도시화와 산업구조의 변화로 인간 활동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수환경은 크게 훼손되어 왔다. 특히 인간 활동으로 인한 대량 생산과 소비는 하천의 자정작용을 초과하는 오염물질을 배출하고 오염된 하천은 본래 기능을 상실하였으며 각종 생활 오·폐수의 배수구로서의 역할이 부여되어 대부분 복개되기에 이르렀다. 이처럼 현재 우리나라의 하천은 고유의 기능인 용수원으로의 기능과 도시민의 휴식 및 친수공간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였으며 중소하천의 건천화에 따른 하천 유지유량의 부족은 하천을 중심으로한 각종 용수의 부족, 수질 오염의 증가, 수변환경 친수기능 상실 등의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중소하천의 건천화현상은 2000년대 이후 계속 증가, 진행되어 소하천뿐만 아니라 지방하천도 이미 메마르고 있는 상태이며 이로 인한 2차적 비용증가 등 경제적인 측면의 손실도 매년 심해지고 있어 건천화에 대한 원인 규명과 방지책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새만금유역은 농업용수 사용이 많은 유역의 특성상 하천의 건천화 문제가 지적되었으나, 대부분 새만금유역의 용수이용체계 등에 연구가 추진되어 주로 농업용수 이용실태와 수질측정을 위주로 하고 있으며, 건천화의 실태와 원인, 그리고 건천화로 인한 물환경의 영향 등에 대해 조사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만경강유역 하천에 대하여 대조하천, 도시하천, 준도시하천, 농업하천으로 대표지점을 선정하여 현장조사와 유역모델링을 통해 건천화의 원인별 기여율을 파악하였고, 만경강유역의 건천화 규모를 추정하였다. 건천화 원인을 평가하기 위해 유역 내 인위적인 물이용이 없는 상태인 기준유량(자연유량)을 산정하였고, 댐 및 방류량의 영향, 하수처리수 유입에 의한 영향, 수자원이용에 의한 영향, 수리구조물(수자원이용)에 의한 영향의 조건을 고려하였으며 건천화 평가지수를 활용하여 대상하천 소유역의 건천화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만경강유역의 토지이용도를 고려하여 만경강유역의 건천화 규모를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수리구조물(수자원이용)에 의한 영향이 25.5%, 수자원이용에 의한 영향이 13.9%, 방류량에 의한 영향이 12.3%, 하수처리수 유입에 의한 영향이 6.54%로 나타났으며, 수리구조물(수자원 이용)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크게 평가되었고, 하수처리수 유입에 의한 영향이 가장 작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하천의 건천화현상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고 방지하기 위한 대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hange of Characteristics during Organic Liquid Fertilizer Processing using Ascidian Tunic (우렁쉥이 껍질을 이용한 유기 액비 제조시 발효액의 특성 변화)

  • Ryoo, Jae-Hwan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22 no.4
    • /
    • pp.683-693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quid fertilizer and find out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s of Effective Microorganisms (EM) including ascidian tunic. During the EM fermentation by adding ascidian tunic, electrical conductivity (EC) was increased, contrast to decrease the pH value, on related to the initial dosage molasses rate. Additionally, the total nitrogen quantity was shown to be increased on EM fermentation and the most effective increasing was recorded up to 220% on more than 15% molasses dosage condition. The phosphorus quantity was to be maximum rate on 21th of EM fermentation, and other contents, such to potassium, calcium, magnesium, sodium, had be shown an increasing patten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After the EM fermentation,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material (Zn, As, Cd, Cu, Cr, Hg, Ni, pb) was measured below than the official criteria for commercial fertilizer. As a effective material in fermentated fertilizer, the 29 kinds free amino acids were detected and their total concentration was measured to 7080.94 mg/L.

Composting of Paper Mill Sludge by the Addition of Urea (제지슬러지 퇴비화를 위한 요소 첨가효과)

  • Lee, In-Bog;Chang, Ki-Woo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3 no.6
    • /
    • pp.453-462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effect of urea addition for composting of paper mill sludge(PMS). For the purpose. PMSs containing 0%, 1.5%, 3%, and 6% urea were composted at aerated static pile(ASP) for about 80day periods. During the composting, the basic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parameters such as temperature, color. C/N ratio,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phytotoxic test were investigated. From the measurement of the parameters, 0~3% urea-containing PMS except for 6% urea-containing PMS showed to be normally stabilized. Thus among these treatments, 0% and 3% urea-containing PMS were applied at agitated bed system(ABS), a pilot plant of a large scale,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use. Considering to the changes of the parameters investigated during composting in ASP and ABS, PMS showed to be successfully stabilized in the two facilities. However, when composted with PMS and urea, even the final PMS compost stabilized for a period enough brought out the bright grayish color. So it may be necessary to add a subsidiary amendments such as animal manure to form brown-colored products.

  • PDF

Changes of the Soil Physic-Chemical Properties and Rice Productions with Methods Applied Organic Materials in Organic Culture (벼 유기재배에 있어서 유기자재 시비방법에 따른 토양 및 수량 특성 변화)

  • Kim, Hyun-Woo;Kim, Byung-Ho;Yang, Seung-Koo;Kim, Hong-Jae;Son, Bo-Gy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9.12a
    • /
    • pp.285-285
    • /
    • 2009
  • 벼 유기재배에 있어서 녹비작물을 이용하여 화학비료를 대신하고 있으나 녹비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월동 전에 파종하고 이듬해 벼 이앙 전에 토양에 환원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벼 재배 직전에 유기자재를 이용하여 화학비료를 대신하고자 했을 경우 유기자재를 전층시비와 표층시비의 차이에 따른 토양중의 이화학적 특성과 벼의 수량특성의 변화를 구명하였다. 벼 유기재배시 토양양분공급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유기자재 4종을 공시하여 유기자재의 질소 성분량(7kg/10a)을 기준으로 하여 이앙 20일전에 시비방법별로 전층시비와 표층시비 2처리로 구분하여 전량 기비시비하고 경운한 다음 동진1호를 시험품종으로 하여 2년 연속 시비처리와 벼를 재배하면서 일어나는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과 벼 생육 및 특성의 변화를 시기별로 조사하였다. 시험 전 토양의 화학성은 표층시비구의 염류농도, 가리와 석회의 함량이 다소 높아서 염류농도가 전층 시비구 보다 높은 조건의 토양이었다. 유기자재별 무기화 정도는 전층시비보다 표층시비를 할 때 약 20~30일 정도 빨랐다. 토양 중의유기물 잔존함량은 시비방법간의 큰 차이는 없었으나 표층시비를 할 경우 후기로 갈수록 다소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나, 전질소 잔존함량은 감소되었다. 토양 액상과 공극율은 전층시비>표층시비였으며, 입단 형성력도 같은 경향이었다. 토양 효소활성은 PME의 활성은 유기자재를 전층처리하였을 때 촉진되었으며, $\beta$-Glucosidase의 활성은 전층보다 표층처리시 활성이 높았다. 시비방법에 따른 벼의 수량 특성은 시비방법별로는 표층시비를 할 경우 전층시비보다 4~7%의 높은 특성을 보였으며, 관행대비 1년차에는 3~9%의 낮았으나, 2년 연속처리를 할 경우 대조구와 비슷해 지는 경향이었다.

  • PDF

Response of Soil Properties to Land Application of Pig Manure Liquid Fertilizer in a Rice Paddy (돈분뇨 액비가 시용된 논토양 특성 변화)

  • Kim, Min-Kyeong;Kwon, Soon-Ik;Kang, Seong-Soo;Han, Min-Soo;Jung, Goo-Bok;Kang, Kee-Kyung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19 no.4
    • /
    • pp.97-105
    • /
    • 2011
  • A wide diversity of liquid fertilizers and composts produced from the livestock manure in Korea is commonly applied to agricultural lands as an alternative of chemical fertilizers. However, their effects on the crop production and environmental impacts are still vague. The current study was investigated the property changes of paddy soils in sandy loam and silty loam treated with 1) control (no treatment), 2) chemicals, 3) storage liquid fertilizer and 4) SCB liquid fertilizer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Korea.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s in sandy loam and silty loam before the treatment were similar with the ones in the average paddy fields in Korea. Contrary to this, the amount of available phosphorus in sandy loam was higher than the one in the average paddy fields. The number of living organisms in sandy loam and silty loam treated with storage liquid fertilizer and SCB liquid fertilizer were higher than the ones in sandy loam and silty loam with no-treatment and chemicals. Significant difference (P<0.05) among the treatments and no-treatment was observed in sandy loam rather than in silty loam. The amounts of heavy metals were the highest in both sandy loam and silty loam treated with storage liquid fertilizer and SCB liquid fertilizer. The comparison of heavy metals showed that the ones in silty loam were little bit higher than sandy loam. The leaf lengths and dry weights of rices were increased over tim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mong each treament. In addition, the rice yield in sandy loam treated with SCB liquid fertilizer was higher than the ones in sandy loam. The highest rice yield was obtained from sandy loam treated with chemical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orage liquid fertilizer and SCB liquid fertilizer. While the rate of nutrient absorption by rices was the highest in sandy loam and silty loam treated with chemical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andy loam and silty loam treated with livestock liquid manure.

Application Effects of Chitosan Fertilizer on the Growth of Cabbage and GABA Contents in the Cabbage (배추의 생장 및 배추 중의 ${\gamma}-aminobutyric$ acid 함량에 미치는 키토산비료의 시비효과)

  • Seo, Kyung-Won;Choi, Dong-Seong;Han, Kwang-Soo;Choi, Won-Gyu;Oh, Suk-Heung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43 no.1
    • /
    • pp.34-38
    • /
    • 2000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tosan on growth and quality improvement of vegetables, we utilized cabbage as a model plant system and SL-chitosan as a chitosan fertilizer. The chitosan fertilizer treatment increased the leaf lengths of cabbage seedlings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s. In addition, the content of ${\gamma}-aminobutyric$ acid (GABA) in the fertilizer-treated cabbage seedlings was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Peripheral lengths and head weights of cabbages along with their GABA contents were also measured during the growth of cabbages in field. The fertilizer treatment, without changing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ain field soil after the cultivation of cabbag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eripheral length, average weight and GABA content compared with control treatment. These results may suggest that the quality and quantity of cabbage can be improved by chitosan treat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