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농업정보시스템

검색결과 492건 처리시간 0.03초

안성지역 마둔저수지의 농업용수 회귀수량 산정 (Estimation of Irrigation Return Flow from Paddy Fields in Madun Reservoir)

  • 김하영;남원호;문영식;안현욱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80-180
    • /
    • 2020
  • 최근 인구 증가, 도시화 및 산업의 발달로 인해 생활·공업용수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상대적으로 농업용수의 비율은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수자원이용 현황 중 농업용수는 전체 물 사용량의 48%로 여전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환경부 중심의 물관리 일원화 관련법 시행으로 국가 통합물관리 정책이 본격 추진됨에 따라 농업용수 가치의 재평가가 요구되고 있으며, 현재 수원공 확대의 경우 환경보호와 같은 이유로 농업용수 확보에 대한 많은 제약이 발생하고 있다. 공급된 농업용수 중 작물에 의해 소비되지 않고 하천으로 회귀되는 회귀수량은 하천 건천화 방지, 용수공급계획, 하천 유황예측 등 기여하는 바가 크다. 하지만 관개량과 회귀수량의 비로 나타내는 회귀율의 경우 지역에 따라 38.1%에서 70.5%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지역별 회귀율 정량화에도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안성에 위치한 관개면적 429ha인 마둔 저수지를 대상으로 회귀율을 산정하고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 (Rural Agricultural Water Resource Information System, RAWRIS)에서 제공하는 저수지 수위 자료를 활용하여 마둔 저수지의 4월부터 9월 관개기 강수량, 저수율, 증발산량을 구축하였다. 물수지 분석 기반 회귀수량 산정모형으로부터 회귀율을 추정하였으며, 수로 네트워크 기반의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과 비교를 통해 정량적인 회귀수량 및 회귀율을 산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정량적인 회귀수량 및 회귀율 자료가 구축된다면, 농업용수의 재이용, 환경용수 및 하천유지용수, 용수공급계획 등 효율적인 농업 수자원관리에 기초자로로써 활용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 PDF

지능형 농촌용수 시스템의 정보 수준 분석 (Information Level Analysis of Agricultural Water Smart Information System)

  • 김선주;박민우;김남도;강승묵;김필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636-636
    • /
    • 2015
  • 우리나라는 환경용수 수요 증가, 기후변화 등으로 인하여 물이 부족해지고 있으며, 농촌용수와 공업, 생활, 환경용수의 경쟁이 그 어느 때보다 격화되고 있다. 생활, 공업, 농업용수로 나누어서물관리를 하던 과거와는 달리 현재에는 통합물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한 분야만 검토해서는 전반적인 물관리 개선방안의 수립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통합적인 지능형 물관리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농촌용수 지능형 정보화시스템은 직접조작을 위한 원격 제어계측시스템으로 물관리자동화사업 분야와 수리, 수문, 관개배수 프로그램 등의 정보화시스템의 두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농업용 수리시설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와 응용프로그램은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RAWRIS)을 비롯하여 몇몇 시스템에서 구축하고 있으나 만족도는 높지 않고, 이들의 중요성도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농촌용수와 관련된 분야별 목적에 따라 별도로 수집 관리되고 있는 기존 정보시스템의 효율적인 연계 구축 및 활용을 위한 종합적인 정보전략계획(ISP) 수립이 필요하고, 농촌용수 및 시설물 관련 신규 사업과 공정의 체계적 관리, 기존 시설물들의 통합관리, 농촌용수의 수량 및 수질 계측의 실시간 및 장단기 자료관리와 분석, 가뭄과 홍수대비 물관리의사결정 지원, 농촌용수 관련 대국민 정보서비스 제공, 농촌용수 관련 조직들의 업무적 공유와 통합 등을 실현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능형 시스템 정보서비스를 위한 정책지원 등의 정보제공 대상의 수준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스마트 농업 구현을 위한 ICT기반 곡물 재배이력관리 시스템 (Grain cultivation traceability system using ICT for smart agriculture)

  • 김훈;김의웅;이효재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389-396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농업을 구현하기 위한 재배이력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여 구현하였으며, 특히 스마트 팜에서 재배하기 힘든 곡물의 재배이력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고안하였다. 스마트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및 웹 프로그램을 설계하였고, 수집되는 정보는 DB 서버에 저장되어 빅 데이터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모바일 장치의 GPS를 적용한 GIS/LBS기반의 전자지도(Vworld map)를 이용하여 실시간 위치정보와 농업활동 정보의 매칭이 가능하다.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재배이력정보 DB를 설계하여 농가, 농민, 재배정보를 관리자가 활용하기 쉽게 개발하였고, 모바일 및 웹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장에서 구현해보았다. 본 시스템은 노동력절감효과와 기후변화와 같은 변수에 대응하여 품질과 안전관리의 능력을 한 단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농업경영정보시스템 사용의도에 미치는 사회심리학적 요인 분석: 우수농업경영정보시스템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Social-Psychologic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tention to Use the Agricultural Information System "LFcenter System")

  • 홍희연;문정훈;유철우;최영찬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5권4호
    • /
    • pp.659-68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factors that influence farm managers' intentions to use an agricultural farm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It focused on "LFcenter System," a leading information system operat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or farm management.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 group of leading farm managers and a group fo regular farm managers. A total of 192 survey samples on users' intentions are collected; 85 samples from leading farm managers and 107 from regular farm manager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is developed based on Theory of Reasoned Action(TRA),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Diffusion of Innovation(DOI), Social Cognitive Theory(SCT),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Partial Least Squares(PLS) method is used to test a proposed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including nine hypotheses.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are investigated using Smith-Satterthwait test.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First of all, in terms of average comparison of most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a group of leading farm managers shows higher value that the other group in most cases. Second, hypothesis tests how that "subjective norms", "goal to study",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njoyment", and "intention to use" significantly influence the intention to use an agricultural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in the group of leading farm managers. However, "subjective norms", "goal to study",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njoyment", and "intention to use" turned out to significantly influence the intention to use an agricultural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in the group of regular farms managers. Based on the results of Smith-Satterthwait test, compared with a group of leading farms managers, the impact of "goal to study" on "intention to use" is significantly stronger. On the other hand, in the group of leading farms managers,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turned out to be main drivers of "intention to use."

  • PDF

작물생산정보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 기반 개발 방법론 MCPI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onent Based Development Methodology : MCPI for Crop Production Information System)

  • 박동진;서순모;김인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2D권3호
    • /
    • pp.429-438
    • /
    • 2005
  • 우리나라 농촌의 발전전략중 하나인 정밀과학 기술농업실현을 위해서는 작물별 통합기술정보시스템이 필요하다. 이 시스템은 웹 기반으로 작물생산자와 기술조언자를 위한 협업시스템이어야 하며, 실시간 정보 분석 및 지식제공이 가능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상기 특성과 농업 분야 작물생산정보시스템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이를 지원하는 작물 컴포넌트 등의 개발을 위한 방법론을 만들었다. 특별히 기존의 대단위 프로젝트에 적합한 마르미-III 방법론을 작물생산정보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의 개발 특성에 적합하게 재조직화 하여 MCPI(Method for Crop Production Information system)를 제시하였다. 또한 현실문제의 적용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MCPI에 기초하여 작물생산정보시스템 컴포넌트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타 방법론과 비교하여 농작물분야에 최적화된 단위 컴포넌트 개발방법론이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비교결과를 논문에 기술하였다.

농작물 재배환경을 모니터링 센서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A Sensor System to Monitoring the Growing Environment of Crops)

  • 서신림;이현창;신성윤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17-218
    • /
    • 2015
  • 센서 기술 및 농업 현대화의 발전에 따라서 센서가 시설 농업 중에 응용 상황을 더욱더 넓어지고 있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온 농업 생산 체계의 변혁에게 엄청난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논문은 아두이노 기반에서 온습도 센서랑 LCD결합하여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한다. 농작물의 생장환경을 감시 및 제어한 목적에 이르게 한다.

  • PDF

시설 원예작물 생장예측모델을 위한 데이터 수집 시스템 설계사례 (Design Case on Data Collection System for the GreenHouse Horticultural Crops Growth Forecasting Model)

  • 안성철;김희성;권혜은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212-1214
    • /
    • 2012
  • 생장예측모델이란 작물의 생장 시스템 내에서 일어나는 기작이나 생산과정을 수식으로 묘사하는 것이다. 신뢰성 있는 생장예측모델을 만들기 위해서는 생장과 관련된 대량의 데이터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IT와 농업을 융합한 시설 원예작물 생장예측모델을 위한 생장 및 생장환경 데이터 수집 시스템 설계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네트워크 기반 스마트 농업 생산 모델에서의 인터페이스 구성 요소 (Interface component for smart farming production model based on Network)

  • 김동일;정희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09-512
    • /
    • 2016
  • 스마트 농업의 온실 관제 시스템으로 표현되는 생산 모델에서의 구성요소와 관련 서비스 표준 기능에 IT 기술을 적용함으로서 스마트 농업 전 과정의 효율과 질적 향상을 기대하게 되었고 특히 IT 영역의 정보 분석 기술과 자동제어 기술은 농산물 생산에 많은 장점을 제공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IT와 접목한 스마트 농업 환경 중 생산 모델에서의 표준기능과 인터페이스 구성 요소를 제시한다.

  • PDF

웹 기반 농업생산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시범구축 및 성능평가 (Publishing a Web Based Crop Monitoring System and Performance Test)

  • 이정빈;김정현;박용남;홍석영;허준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91-499
    • /
    • 2015
  • 미국, 유럽 등 해외 선진국에서는 농업생산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작물 생산량 예측, 기상 변화 및 이상치 관측, 작물 재배지 분류 및 면적 산정 등 작물 생산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정보 취득과 분석에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오픈소스 및 상용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웹 기반 시스템이며 원격탐사자료를 활용한 다양한 정보 제공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생산환경 모니터링을 위하여 널리 활용되고 있는 GeoServer, ArcGIS Server를 이용하여 Map Server 및 Web Application Server가 구성되었으며 응답시간 및 데이터 전송량 평가를 통하여 향후 농업생산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 구성과 이에 대한 성능평가를 진행하였다. 동일한 조건에서 구축된 시스템은 응답시간 및 초당 데이터전송량에서 GeoServer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온습도 자동조절 시스템 (Automated Greenhouse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System using RaspberryPi)

  • 하보천;이은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28-129
    • /
    • 2023
  • 해당 논문은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한 온실의 온습도 자동제어 시스템에 관한 연구를 다룬다. 이 시스템은 특정 작물에 대한 최적의 생육환경 제공을 위해 자동으로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고 조절한다. 관리자는 수동으로도 각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온습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 자연환기, 인공환기, 온실내부 물분사, 열선작동의 방법을 사용한다. 자동화된 온습도 제어 시스템으로 농산물의 생산량 및 품질을 늘림과 동시에 온실 관리에 투자되는 자원을 줄일 수 있어 농업인들의 농업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